실천적 지식이란 교육과정으로 알 수 있는 지식 외에 개인의 신념, 경험, 생각, 관점도 충분히 지식이 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보는 지식을 뜻한다. 통합교사는 일반학생과 장애학생 모두에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833187
청주 : 청주교육대학교 대학원, 2009
학위논문(석사) -- 청주교육대학교 대학원 , 초등특수교육 , 2009. 8
2009
한국어
충청북도
vi, 104 p. ; 26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실천적 지식이란 교육과정으로 알 수 있는 지식 외에 개인의 신념, 경험, 생각, 관점도 충분히 지식이 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보는 지식을 뜻한다. 통합교사는 일반학생과 장애학생 모두에게...
실천적 지식이란 교육과정으로 알 수 있는 지식 외에 개인의 신념, 경험, 생각, 관점도 충분히 지식이 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보는 지식을 뜻한다. 통합교사는 일반학생과 장애학생 모두에게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학습을 해야 한다. 따라서 일반 교사보다도 더 폭넓은 지식과 전문성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통합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무엇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실천적 지식이 수업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여기서는 초등 통합교사 5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 방법인 심층면담을 활용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평등’이라는 개념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다. 따라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이나 지도 역시도 평등을 실천하기 위한 바탕 위에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통합학급을 운영하는데 있어, 연수와 수업뿐만 아니라 영화, 책, 봉사 경험도 활용하고 있었다. 즉 통합교육을 위해 배우는 지식 외에도 폭넓은 경험을 구체적으로 사용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장애 학생과 장애 학생의 학부모, 교사들과 대부분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로부터 많은 도움을 얻지만, 통합교육의 책임과 몫이 자신에게 우선적으로 있는 만큼 부담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넷째, 통합교사가 학습과 생활 태도 중 어느 것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가에 따라 장애학생이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통합교사는 다소 소홀해지기 쉬운 학습지도 역시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
연구를 통해 통합교사들이 통합교육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통합교사가 더욱 나은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의 논의를 토대로 통합교사가 다양한 실습을 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언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