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우수등재

      凌壺觀 李麟祥(1710-1760)의 山水畵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748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凌壺觀 李麟祥(1710-1760)은 朝鮮 英祖 연간(1724-1776)에 살았던 조선 후기의 대표적 文人書畵家 였다. 그는 유행을 따르기보다는 뚜렷한 자의식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회화세계를 펼쳤고, 그 회...

      凌壺觀 李麟祥(1710-1760)은 朝鮮 英祖 연간(1724-1776)에 살았던 조선 후기의 대표적 文人書畵家 였다. 그는 유행을 따르기보다는 뚜렷한 자의식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회화세계를 펼쳤고, 그 회화 세계의 精髓는 山水畵였다.
      李麟祥은 初年期(1740년경까지)에 畵譜를 학습하면서 타고난 재능을 체계화하기 시작했으며, 같은 시대에 유행했던 산수기행을 통한 眞景山水畵를 제작하기도 했다. 그런데 진경산수화를 제작하기는 했으나 당시의 鄭敾 일파가 실경의 핍진함을 추구했던 것과는 달리 그는 寫意的인 성격이 강한 작품을 남겼다. 이러한 면모는 1737년 금강산 기행 후에 제작한 것으로 보이는 〈隱僊臺〉등의 작품에서 살필 수 있다. 한편, 1738년작 〈樹石圖〉에서는 이념적 주제와 표현의 기법, 그리고 서예를 통합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이인상 산수화의 진면목이 드러나기 시작함을 잘 보여준다.
      中年期(1740년경-1751년경)에는 내ㆍ외직을 도는 관직생활과 활발한 교유활동 속에 다양한 형식의 산수화를 제작했는데, 특히 선면화를 많이 만들어 선물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에 그는 이미 明末淸初 문인화가들의 작품에 익숙했던 것으로 보이며, 특히 吳派와 安徽派 화가들의 작품과 친연성이 있는 작품을 여러 점 제작했다. 오파화풍의 구도를 즐겨 사용하거나, 경물의 묘사가 안휘파 화가들의 작품과 유사한, 양식적 특징을 보이는데 이는 그의 崇明的 세계관에 기인한 것으로 여길 수 있다. 특히 안휘파 화가들의 간일한 묘사는 그의 후년기 산수화가 지향했던 바와 양식적ㆍ정신적 연관성이 크다.
      後年期(1752년경-서거) 산수화는 寫意性의 극치를 보여준다. 이 시기 그는 초ㆍ중년기를 거치면서 익힌 다양한 양식요소들을 자기화하고, 뚜렷한 자의식을 작품에 담아내어 자신의 文人精神을 투철하게 드러내었다. 그러한 양상이 잘 드러나는 작품으로 〈松下觀瀑>,<道峯溪流>,〈九龍淵>,<長白山〉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작품에서 마음속의 이미지를 구도나 경물의 양식적 요소로 포착하여 나타내는 데 성공하고 있다. 그 마음속의 이미지를 그는 ‘心會’라고 지칭하기도 했으며, 표현 기법을 ‘放筆’로 말하기도 했으나 이들을 하나로 꿰는 것은 ‘拙樸’과 ‘淡泊’이었다. 그가 추구했던 ‘졸박’과 ‘담박’은 그의 산수화를 관통하는 원리이기도 했지만, 그 이전에 그의 삶을 규정할 수 있는 개념이기도 하다.
      인간 내면의 정직성과 그것의 꾸밈없는 표출로서 인간과 예술의 합일을 실현해 보인 이인상의 산수화는 18세기 朝鮮 文人畵의 핵심요체가 되기에 충분한 자격을 지녔으며, 그 영향은 후대에도 강하게 미쳤다. 나아가 그의 산수화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도 자신을 비추어 볼 수 있는 거울과 같은, 고전적 가치를 지니기에도 충분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eunghogwan 凌壺觀 Lee In-sang 李麟祥 (1710-1760), who lived in the period of King Yongjo 英祖, is a representative literary artist in the last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朝鮮, He explored his own art world based on his strong self-conscio...

      Neunghogwan 凌壺觀 Lee In-sang 李麟祥 (1710-1760), who lived in the period of King Yongjo 英祖, is a representative literary artist in the last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朝鮮, He explored his own art world based on his strong self-consciousness rather than chased after trends. The essence of his art world is landscape painting.
      Lee In-Sang began to refine his inborn talent as he learned painting in his early childhood (until about 1740) and he produced true-view landscape painting while he traveled many mountains and livers as many artists did those days. Even though he produced true-view landscape painting, unlike artists in Jeongseon School 鄭敾派, who pursued reproducing a real view as closely as possible, he freely interpreted the view and reflected his insights on his works. His trend can be found in (Eunseondae 隱僊臺), which is assumed to have been produced after his travel to Gumgang Mountain in 1737. Meanwhile, in his work (Suseokdo 樹石圖) in 1738, it is shown that he putted his ideologic theme, expression techniques and caligraphy together and this integration reveals the true characteristic of his landscape painting.
      During his middle ages (1740-1751), he kept producing various types of landscape painting while he carried out his public service and actively built a dose relationship with others, especially, he seemed to draw and give many pictures on fans for gifts. He seemed familiar with literary artists in China (at the end of the Ming Dynasty and in the beginning of the Qing Dynasty), especially, he produced several pieces of painting that had a affinity with works of the artists in Wu School 吳派 and Anhui School 安徽派. He mainly used the composition of Wu School style but his depiction of objects reveals several formative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ose of works produced by artists of Anhui School and this seemed a result of his respect for the Ming Dynasty. Especially, the simple depiction of the artists in Anhui School is closely related to what his landscape painting pursued in his later years in terms of style and ideology. His landscape painting produced in his later years (1752-died) shows the peak of the expression of his personal intention. During that period, he strictly revealed his literary spirit, interpreting various style factors in his own way and holding his clear self-consciousness in his works, which had been reinforced and cleared over times. 〈Songhagwanpok 松下觀瀑〉, 〈Dobonggyeryu 道峯溪流〉, 〈Guryongyeon 九龍淵〉 and 〈Jangbaeksan 長白山〉 are well portrayed this trend and he successfully caught the images in his mind in composition or style factors of landscape objects to express in those works. He used to call images in his mind 'Simhoe 心會' and expression techniques ‘Bangpil 放筆(it means Unbridled Brush)'. He also said that putting them together into one was referred to 'Jolbak 拙樸' and ’Dambak 澹泊'. ‘Jolbak' and 'Dambak' he was seeking for are not only the principle that had penetrated through his works but also the concept that defined his life itself. Lee In-sang's landscape painting, which realized the convergence of human and arts as the honest inside human and straightforward expression of it, is fully qualified to be a key secret of the Joseon literary arts in the 18th century, and he also strongly influenced on next generations. Futhermore. his landscape paintings deserve our praising as what is like a mirror that we can reflect ourselves 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생애와 교유
      • Ⅲ. 李麟祥의 山水畵
      • Ⅳ. 李麟祥 山水畵의 位相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생애와 교유
      • Ⅲ. 李麟祥의 山水畵
      • Ⅳ. 李麟祥 山水畵의 位相
      • Ⅴ. 맺음말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