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宋․遼․金․元 수저(匙箸) 編年硏究 - 어미형숟가락의 출현 - = A study on the Chronology of chinese(Song~Yuan) Spoons - tenancy Fishtail-edge spoon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of the spoons of Song and Won Dynasties, China, have been found from Buddhist temples or sites, tombs, and underground treasure pits. This work is trying to classify the periodical orders of the artefacts which contain the absolute time period an...

      Most of the spoons of Song and Won Dynasties, China, have been found from Buddhist temples or sites, tombs, and underground treasure pits. This work is trying to classify the periodical orders of the artefacts which contain the absolute time period and then the results of this work may be beneficial to understand spoons of Goryeo and Joseon in Korea.
      Spoons of Song Dynasty seemed to maintain the tradition of Tang Dynasty without any big changes in its shape, but the edge of the grip begun to wide in the triangle shape.
      This change can be also found from the Liao Empire, Northern Region, and the decorations were appeared in the wide part of the edge such as pair of fishes or the edge was shaped like the webbed feet of duck. This tendency is definitely different from the broadened spoon edge of North and South Song Dynasties.
      It seemed that this wide edge finally influenced late Liao Empire and the shape of swallowtail (two divided edge) had been launched since then. From the "Chinese Spoon and Chopsticks Chronological Order" research result which was identified by the writer, it can be highly likely that this kind of swallowtail edge had been started from late Liao Empire and then settled in the Jin Dynasty(Jurchen) until Won Dynasty.
      The name of 'swallowtail' has been given as of its two divided edge shape. When it comes to review the ones from Liao Empire and Song Dynasty, the edge seemed to be widened. The spoon found from the Yojinguk Princess Tomb of those periods, has clearly distinctive edge shape with pair of fish decoration. Firstly, it has been widened with the fish body inscription and then secondly the tail of the fishes were added which result broadening the edge shape further. Therefore these two steps of widened edge finally found from the 'swallowtail' edge spoons in Sonhwayo Tomb M3, M1 mural painting, and Jin Dynasty(Jurchen).
      This is also important to signify the fish decoration. Usually fish decoration appeared as a pair and this is because fish pair represent male and female or a couple's amalgamation and happiness which finally draw a large offspring prosperity.
      Particularly the mirrors with pair fish decorations were very popular during the Jin Dynasty(Jurchen). Engraving the pair fish to the spoon edge had been started from the Liao Empire and then it influenced the Jin Dynasty (Jurchen) more broadly. After the decoration was introduced to the Jin, it seemed that people made the decoration more simplified which resulted the swallowtail-edged spoon.
      Therefore, swallowtail-edge was only named because of its shape. But this is more important to point out that its shape is actually descended from the fish pair. The name of swallowtail-edge then can be named as a "fish-tail edge".
      In the mean time, these kinds of fish-tail edges seemed to be found from late 13th Goryeo Dynasty. The "x" shape scissors found from Goryeo tombs were also fall into late 13th century and this result is widely accepted in the archaeological field.
      However, fish-tail edge spoon was already appeared in early 12th century in China and even 'x' shape scissors were found in late 11th or early 12th century. It should be highlighted that Jin Dynasty(Jurchen) and Goryeo had long-time international exchanges without any disruption. Potteries and mirrors were also imported consecutively but the 'fish-tail edge' spoons were imported after a century.


      Big question was lied here. Why those spoons and scissors which were found in 12th century in China had appeared in Korea after late 13th century?It is so difficult to answer this big question right now and there is such a huge gap of a century. I will let the question be answered any time so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 송대~원대 숟가락은 墳墓나 佛敎遺蹟, 窖藏 등에서 출토되고 있는데 이번 글에서는 절대연대가 확인되는 유물들을 중심으로 편년을 시도하고 차후 고려시대나 조선시대 숟가락연구...

      중국 송대~원대 숟가락은 墳墓나 佛敎遺蹟, 窖藏 등에서 출토되고 있는데 이번 글에서는 절대연대가 확인되는 유물들을 중심으로 편년을 시도하고 차후 고려시대나 조선시대 숟가락연구의 비교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송대의 숟가락의 형태는 당대의 숟가락 전통을 이어받아 큰 변화 없이 이어지는 양상이었으나 자루의 끝이 삼각형을 띠면서 넓어지는 변화가 발생한다. 북방의 요에서는 숟가락 자루의 끝에 쌍어를 새기거나 오리의 물갈퀴형 자루가 나타나는데 북송과 남송에서 숟가락의 자루가 넓어지는 경향과는 구별된다.
      遼陳國公主墓의 雙魚紋이 부가된 숟가락의 자루는 쌍어의 몸체를 새기면서 일차로 넓어지고 꼬리를 새기면서 다시 한번 넓어지는 형태이다. 이처럼 2차에 걸쳐 쌍어를 표현하기 위하여 자루가 넓어지는 것이 형식화되어 나타난 예가 요대 말기의 선화요묘M3호의 칠시와 선화요묘 M1호 벽화의 연미형 숟가락, 그리고 금대에 출현하는 연미형숟가락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요대 말기에 이르러 자루의 끝이 좌우로 갈라지는 소위 燕尾形이 출현하게 되는 배경이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필자의 중국수저 편년안을 기준으로 하면 소위 본격적인 연미형의 출현은 요대 말기에 해당되고 연미형은 금대에는 완전히 하나의 형식으로 정착되어 원대까지 이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어문은 공예품에서 주로 쌍어로 나타나며 이는 雌雄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때 夫婦融合과 和睦을 상징하는 개념으로서 결국 子孫繁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요대에는 전기간에 걸쳐 어문을 선호하였으며 특히 금대에는 쌍어문경이 유행하게 되는데 요대 초기에 쌍어문을 숟가락에 새기던 것이 요대 말에서 금대에 이르러 쌍어문이 본격적으로 유행하게 되자 쌍어문을 보다 간략화하여 숟가락에 새긴 것이 연미형숟가락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이와 같이 연미형이라는 용어는 숟가락 자루의 형태만을 두고 붙여진 용어에 불과하고 자루의 끝이 좌우로 갈라진 것이 쌍어문의 변형이라고 볼 수 있다면 쌍어의 상징성과 형태를 아우르는 「魚尾形」이라고 부르는 것이 오히려 타당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편 연미형숟가락은 고려에서는 13세기 전반 경이 되어서야 등장하고 고려분묘에서 출토되는 「X」자형 가위의 부장시기도 13세기 후반 경으로 편년된다. 그러나 중국에서 어미형 숟가락은 12세기 전반에는 이미 나타나고 「X」자형 가위도 11세기 후반 또는 12세기 초반이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문제점은 고려는 요와 금과의 교류가 간단없이 이어지고 있었고 자기나 동경 등은 별 다른 시차없이 수입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에서는 12세기전반에 나타나는 어미형숟가락이나 「X」자형 가위가 어째서 고려에서는 13세기 후반이 되어서야 나타나게 되는가 하는 것이다. 지금으로서는 100년이라는 세월을 쉽게 메울 수 없으므로 차후 연구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內蒙古自治區 文物考古硏究所, "遼陳國公主墓" 文物出版社 1993

      2 李錫厚, "遼金西夏史 in: 中國斷代史系列" 上海人民出版社 2003

      3 김한규, "한중관계사Ⅰ" 아르케 422 : 2002

      4 배진달, "중국의 불상" 일지사 2005

      5 姜敬淑, "단양현곡리고분출토 도자기" 서울시립대학교 박물관․한국도로공사 4 : 2008

      6 國立中央博物館, "다시 보는 역사편지 高麗墓誌銘"

      7 朴漢男, "거란 및 금과의 통교 in: 고려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국사편찬위원회 15 : 2003

      8 李蘭瑛, "高麗鏡硏究" 도서출판 신유 2003

      9 韓國美術史學會, "高麗美術의 對外交涉" 예경 2004

      10 鄭義道, "高麗時代 鐵製가위(鐵鋏)硏究"

      1 內蒙古自治區 文物考古硏究所, "遼陳國公主墓" 文物出版社 1993

      2 李錫厚, "遼金西夏史 in: 中國斷代史系列" 上海人民出版社 2003

      3 김한규, "한중관계사Ⅰ" 아르케 422 : 2002

      4 배진달, "중국의 불상" 일지사 2005

      5 姜敬淑, "단양현곡리고분출토 도자기" 서울시립대학교 박물관․한국도로공사 4 : 2008

      6 國立中央博物館, "다시 보는 역사편지 高麗墓誌銘"

      7 朴漢男, "거란 및 금과의 통교 in: 고려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국사편찬위원회 15 : 2003

      8 李蘭瑛, "高麗鏡硏究" 도서출판 신유 2003

      9 韓國美術史學會, "高麗美術의 對外交涉" 예경 2004

      10 鄭義道, "高麗時代 鐵製가위(鐵鋏)硏究"

      11 안귀숙, "高麗時代 金屬工藝의 對中 交涉 in: 高麗 美術의 對外 交涉" 예경 2004

      12 장동익, "高麗時代 對外關係史 綜合年表" 동북아역사재단 16 : 2009

      13 金龍善, "高麗墓誌銘集成"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0 : 2001

      14 황정숙, "高麗中․後期 思想을 통해 본 銅鏡文樣의 象徵性 硏究" 대구카톨릭대학교 2006

      15 정의도, "韓國古代靑銅匙箸硏究- 高麗時代 -" 석당학술원 38 (38): 61-140, 2007

      16 李蘭瑛, "韓國古代金屬工藝硏究" 일지사 1992

      17 "考古學報"

      18 "考古"

      19 陜西省考古硏究院, "法門寺考古發掘報告 上․下 in 陜西省考古硏究院田野考古報告 第45號" 文物出版社 2007

      20 河北省文物硏究所編, "河北古代墓葬壁畵" 文物出版社 2000

      21 "文物"

      22 東京國立博物館, "宮廷の榮華 唐女帝․則天武后とその時代展"

      23 河北省文物硏究所編, "宣化遼墓壁畵" 文物出版社 2001

      24 河北省文物硏究所, "宣化遼墓 1974~1993년 發掘調査報告書 上․下" 文物出版社 2001

      25 정의도, "宋·遼·金·元墓 匙箸 및 鐵鋏 出土傾向- 高麗墓 副葬品과 關聯하여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15 (15): 53-136, 2009

      26 中國歷史博物館, "內蒙古遼代文物精華 契丹王朝" 中國藏學出版社 2002

      27 서울시립대학교 박물관, "丹陽玄谷里 高麗古墳群" 4 : 2008

      28 徐海榮, "中國飮食史" 華夏出版社 1999

      29 孔星祥, "中國銅鏡圖典" 文物出版社 1992

      30 "中國考古集成"

      31 "中國考古集成"

      32 劉雲, "中國箸文化大觀" 科學出版社 1996

      33 劉雲, "中國箸文化史" 中華書局 2006

      34 "中國社會科學院 主辦․譚其驤 主編"

      35 孔星祥, "中國古代銅鏡" 圖書出版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 동아시아문물연구소
      영문명 : The Research Foundation of Cultural Relics in East Asia -> The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Relics in East Asia
      KCI등재후보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4 0.24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2 0.56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