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Dīwān Abī al-Ṭayyib al-Mutanabbī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아랍문학사에서 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에 대한 전문 지식이 요구됨에 따라 국내에서 아랍 고전시의 번역과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양적으로 매우 부족한 편이다. 참고로, ...

      아랍문학사에서 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에 대한 전문 지식이 요구됨에 따라 국내에서 아랍 고전시의 번역과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양적으로 매우 부족한 편이다. 참고로, 국내 학자에 의해 번역된 고전 아랍시 작품의 예를 들면 『무알라까트』, 『중세 아랍시로 본 이슬람 진영의 대(對)십자군 전쟁』 단 두 권이 있다. 또한 고전 아랍시에 관한 연구 논문의 수도 많지 않으며, 예로는 「자힐리야 시대의 까시다에 관한 연구: 까시다의 형식과 패턴을 중심으로」, 「무알라까트에 나타난 ‘죽음의 운명’ 모티프 연구」, 「아랍 가잘(연애시)의 발전과정 연구」, 「자힐리야-이슬람 전환기의 아랍시 연구」 등의 10여 편이 있다. 저술로는 『아랍 문학사』(R. A. 니콜슨), 『아랍 문학사』(송경숙 외)에서 고전 아랍 시인들을 간략히 소개하고 시 작품의 일부 행을 소개하고 있는 정도이다. 더욱이 본 과제의 대상인 알무타납비와 그의 시에 관한 본격적인 선행 연구는 없으며, 다만 한 연구자가 「무타납비의 사이프 다울라 칭송시: ‘기사(騎士) 중의 기사’」라는 제하에 알무타납비의 작품 1편을 번역해 소개한 예가 있을 뿐이다.
      반면에, 아랍 국가나 외국에서 알무타납비에 관한 연구나 번역, 주해는 많은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져왔다. 아랍 국가에서의 연구는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많아 이집트의 대문호이자 대학자인 따하 후세인의 명저 『알무타납비와 함께(Maʿa al-Mutanabbī)』를 예시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할 것이다. 서구 동양 학자들의 학술 작업도 활발하여 그 예로 Poems of Al-Mutanabbī(A. J. Arberry), Three Great Abbasid Poets Abu Nuwas, al-Mutanabbi & al-Maʿarri: Lives & Poems(Paul Smith), Abou-t-Tayyib al-Motanabbi(R. Blachere) 등을 들 수 있다.
      이처럼 이미 지난 한 세기 동안 아랍 현지와 서구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번역되어 왔다는 점에서 이제 국내 학계에서도 알무타납비의 시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역자는 외국 문학 연구를 위해서는 가능한 한 해당 작품의 우리말 번역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왔다. 현대 아랍 문학에 비해 고어(古語)의 사용과 표현의 함축성으로 난이도가 한층 높은 고대·중세 아랍시의 경우 시 한편을 번역하고 분석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본 과제를 통해 알무타납비의 시집에서 중요한 다수의 작품이 번역된다면 향후 역자를 포함하는 아랍문학 연구자들이 번역의 수고를 덜고 한국어판 번역본을 참고하여 까시다의 전형(典型)을 살펴봄으로써 중세 아랍시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번역 과제는 방대한 양(시 326편, 1611쪽)의 원서 전체를 번역하지 않으며, 그중 사이프 알다울라에 관련된 시를 중심으로 아랍 연구서에서 인용 빈도가 높고 명확한 주제와 우수한 표현이 나타난 작품을 일정 편수(약 30~40편) 선별해 번역할 계획이다.
      본 과제에서 번역하는 까시다는 운율이 엄격히 지켜지는 정형시로 아랍어로 낭송하면 그 음악적 효과를 느낄 수 있다. 반면, 까시다를 한국어를 포함해 기타 외국어로 번역하는 경우 아랍어 고유의 음악적 특성은 살리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에 역자는 번역 작업에서 각 시행의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최대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윤문을 시도하되 원문의 내용을 보이기 위해 필요한 경우 각주에 직역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까시다는 각 시행마다 독립적인 의미를 갖는 특징이 있는 만큼 각 시행 앞에 역자가 임의로 번호를 부가할 것이다.
      본 계획서에 첨부된 시 번역 예시에서는 아래한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기에 아랍어 용어를 아랍어 글자로 표기하는 대신 로마자로 전사했다. 향후 번역본의 경우 아랍어 어휘나 표현을 원문대로 제시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면 아랍어 입력이 가능한 MS WORD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도 고려할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