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브랜드 관리가 농산물 브랜드 자산가치에 미치는 실증적 관계 = The Value of National and Local Brand Equity Assets and Brand Management of Rice, Apple and Beef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665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브랜드 자산과 브랜드 관리의 개념과 측정방법을 소개하며 이를 근거로 브랜드 자산가치에 미치는 브랜드 관리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농산물 브랜드별 브랜드 자산과 브랜드 관리 수준은 각각 소비자 설문조사와 경영자 설문조사를 통해서 측정하였고, 농산물 브랜드별 대표 브랜드 구성은 전국 선도 농산물 브랜드 l개와 경남 선도 농산물 브랜드 2~3개로 선정하였으며, 품목은 곡류중에서 쌀, 과일류중에서 사과, 축산물중에서 쇠고기로 구분·선정하여 품목별 브랜드별로 차이가 있는지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인지도·지각된 품질·브랜드 이미지·시장행동과 브랜드 충성도간에 유의적이면서 상당한 정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전국 선도 브랜드와 경남 브랜드의 자산가치 간에는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자산가치 격차는 상당부분 낮은 브랜드 인지도에서 기인하고 있어 브랜드 인지도의 자산 형성에 대한 기여율이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브랜드 관리와 브랜드 자산가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0.503으로 유의적인 결과가 제시되어 브랜드 관리가 브랜드 자산가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브랜드 자산과 브랜드 관리의 개념과 측정방법을 소개하며 이를 근거로 브랜드 자산가치에 미치는 브랜드 관리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농산물 브랜드별 브랜드 자산과 ...

      본 연구는 브랜드 자산과 브랜드 관리의 개념과 측정방법을 소개하며 이를 근거로 브랜드 자산가치에 미치는 브랜드 관리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농산물 브랜드별 브랜드 자산과 브랜드 관리 수준은 각각 소비자 설문조사와 경영자 설문조사를 통해서 측정하였고, 농산물 브랜드별 대표 브랜드 구성은 전국 선도 농산물 브랜드 l개와 경남 선도 농산물 브랜드 2~3개로 선정하였으며, 품목은 곡류중에서 쌀, 과일류중에서 사과, 축산물중에서 쇠고기로 구분·선정하여 품목별 브랜드별로 차이가 있는지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인지도·지각된 품질·브랜드 이미지·시장행동과 브랜드 충성도간에 유의적이면서 상당한 정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전국 선도 브랜드와 경남 브랜드의 자산가치 간에는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자산가치 격차는 상당부분 낮은 브랜드 인지도에서 기인하고 있어 브랜드 인지도의 자산 형성에 대한 기여율이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브랜드 관리와 브랜드 자산가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0.503으로 유의적인 결과가 제시되어 브랜드 관리가 브랜드 자산가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f national and local brand equity and brand management of domestic rice, apple and beef in Korea. Multi-attributes composition model and correlation analysis are used to assess the value of brand equity assets and to measure this relationship.
      The research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high levels of brand awareness and a positive brand image increase the probability of brand choice, as well as produce greater consumer loyalty.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s of national and local brand equity assets depends upon low level of brand awareness. Strong brand awareness and brand image require reinforcement through marketing communications to increase the value of brand equity assets. Third, high levels of brand management have a positive effects on the value of brand equity assets.
      Accordingly,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 that the value of local brand equity assets depends upon how to manage the brand value chain(marketing program investment, customer mindset, brand performance, shareholder value). The brand value chain shows considerable promise both as the conceptual level to organize managerial decisions and as a basis for measuring and assessing marketing performan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f national and local brand equity and brand management of domestic rice, apple and beef in Korea. Multi-attributes composition model and correlation analysis are used to assess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f national and local brand equity and brand management of domestic rice, apple and beef in Korea. Multi-attributes composition model and correlation analysis are used to assess the value of brand equity assets and to measure this relationship.
      The research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high levels of brand awareness and a positive brand image increase the probability of brand choice, as well as produce greater consumer loyalty.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s of national and local brand equity assets depends upon low level of brand awareness. Strong brand awareness and brand image require reinforcement through marketing communications to increase the value of brand equity assets. Third, high levels of brand management have a positive effects on the value of brand equity assets.
      Accordingly,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 that the value of local brand equity assets depends upon how to manage the brand value chain(marketing program investment, customer mindset, brand performance, shareholder value). The brand value chain shows considerable promise both as the conceptual level to organize managerial decisions and as a basis for measuring and assessing marketing perform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조사 및 측정 개요
      • Ⅳ. 분석결과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조사 및 측정 개요
      • Ⅳ. 분석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능률협회, "한국산업의 파위브랜드 조사"

      2 윤훈현, "최신 마케팅원론(Marketing:An Introduction,Kotler,P.and Armstrong,G.),제6판" 도서출판 석정 2003

      3 김동훈, "촉진관리: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접근" 학현사 2001

      4 이정석, "지역브랜드-그 성공의 조건은?"

      5 이태형, "쌀의 브랜드화를 통한 상품성 제고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1999

      6 농촌진흥청, "쌀 품질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조사"

      7 이병서, "소비자의 과일 브랜드 인지수준과 개선방안" 21 (21): 103-119, 2004

      8 여운승, "브랜드자산과 그 구성요소들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19 (19): 155-184, 2004

      9 박천규, "브랜드관리의 새로운 트랜드" LG경제연구소 2006

      10 최승철, "돈육브랜드 자산가치와 소비자 구매의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농업경제학회 45 (45): 33-51, 2004

      1 한국능률협회, "한국산업의 파위브랜드 조사"

      2 윤훈현, "최신 마케팅원론(Marketing:An Introduction,Kotler,P.and Armstrong,G.),제6판" 도서출판 석정 2003

      3 김동훈, "촉진관리: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접근" 학현사 2001

      4 이정석, "지역브랜드-그 성공의 조건은?"

      5 이태형, "쌀의 브랜드화를 통한 상품성 제고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1999

      6 농촌진흥청, "쌀 품질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조사"

      7 이병서, "소비자의 과일 브랜드 인지수준과 개선방안" 21 (21): 103-119, 2004

      8 여운승, "브랜드자산과 그 구성요소들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19 (19): 155-184, 2004

      9 박천규, "브랜드관리의 새로운 트랜드" LG경제연구소 2006

      10 최승철, "돈육브랜드 자산가치와 소비자 구매의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농업경제학회 45 (45): 33-51, 2004

      11 이정희, "농축산물 브랜드화의 개선방안" 한국농업정책학회 30 (30): 18-34, 2003

      12 농수산물유통공사, "농산물브랜드의 모든 것"

      13 황윤재, "농산물 브랜드 가치분석(농협 하나로 클럽 축산물 브랜드를 중심으로)"

      14 전창곤, "농산물 공동브랜드화 실태와 발전 전망"

      15 "日本獨立行政法人中小企業基盤整備機構"

      16 Aaker,D.A, "The Value of brand Equity" 13 (13): 27-32, 1992

      17 Kumar,N, "The Revolution in Retailing:from Market Driven to Market Driving" 30 (30): 830-835, 1997

      18 Aaker,D.A, "Measuring Brand Equity Across Products and Markets" 38 (38): 102-120, 1996

      19 Keller,K.L, "How Do Brands Create Value?" 12 : 26-31, 2003

      20 김천길, "DECOMPOSITION에 의한 브랜드자산의 측정방법" 한국마케팅관리학회 13 (13): 93-115, 2008

      21 Keller,K.L, "Conceptualizing,Measuring,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57 : 1-22, 1993

      22 Fishbein,B, "Belief,Attitude,Intention,and Behavior: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son-Wesley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Industrial Economics Association -> Korean Industrial Economic Association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Review of Business & Economics ->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KCI등재
      2006-06-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Industrial Economics Association -> Korean Industrial Economic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97 1.23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