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직 동일시와 교육성과간의 관계 : 자기감시성향의 조절효과 =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educational performance :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monitor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8514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조직 동일시와 교육성과간의 관계에서 자기감시성향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첫째, 조직 동일시는 교육성과와 정(+)의 관계가 있을 것이며 둘째, 자기감시성향은 조직 동일시와 교육성과간의 긍정적 관계를 부정적으로 조절할 것이다. 즉, 자기감시성향이 높은 경우 조직 동일시와 교육성과간의 긍정적 관계가 나타나지 않고, 자기감시성향이 낮은 경우 조직 동일시와 교육성과간의 긍정적 관계가 더 크게 나타날 것이라고 보고 이를 실증분석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서울지역 4개 대학 학군사관 후보생 300명을 대상으로 2012년 2월 13일부터 2012년 3월 2일까지 3주간 설문조사와 인구통계학적 자료는 각 대학 실무 담당자에게 협조하여 획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성 분석, 주요 변수간의 상관관계분석,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추가적으로 상호작용그래프와 집단구분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직 동일시는 교육성과와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지지되었다. 이는 조직과 동일시된 후보생은 군(軍)에 대한 목표와 가치를 수용하고 학군단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감을 가지며, 교육 목표 달성 위한 긍정적 태도를 나타냄으로써 조직 동일시가 교육성과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 동일시와 교육성과간의 관계에서 자기감시성향의 조절효과는 자기감시성향이 높은 경우 조직 동일시와 교육성과간의 긍정적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고, 자기감시성향이 낮은 경우 조직 동일시와 교육성과의 긍정적 관계가 더 크게 나타나 자기감시성향은 조직 동일시와 교육성과간의 긍정적 관계를 부정적으로 조절한다는 가설 2도 지지되었다. 이는 개인의 성격은 조직에서의 강력한 통제를 통해 특정 방향으로 구성원의 행동을 유도하는 상황에서는 직접적으로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없기 때문에 조직 동일시가 높은 경우 자기감시성향이 낮게 형성되어 조직 동일시가 교육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반면에 부드러운 조직 환경에서는 자신의 독특한 스타일을 살리면서 활동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감시성향이 개인의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조직 동일시가 낮게 형성되어 조직 동일시가 교육성과에 미치는 효과가 나타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자기감시성향은 주어진 상황에 따라 개인의 성격특성이나 태도에 가장 적합한 행동을 하려는 경향을 설명해 주는 대표적인 변수이며, 특히 학군사관 후보생의 교육훈련이 대부분 조직단위로 구성되어 즉각적인 상황판단과 다양한 역할을 통한 행동위주의 실습 및 발표로 진행됨에 따라 자기감시성향과 관련성이 높다. 따라서 자기감시성향이 높은 후보생은 조직과 동일시를 유도하는 환경에서도 높은 교육성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먼저 조직 동일시가 교육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줌으로써 이를 높여주기 위한 영향요인에 관해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둘째, 자기감시성향이 높은 경우 조직 동일시가 높거나 낮음에 관계없이 교육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자기감시성향을 높이기 위한 교육, 상담 및 지도에 대한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학군사관 후보생의 선발과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러한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아래와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의 환경이나 문화에 따라 조직 동일시의 수준이 다르고 학군사관 후보생을 대상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기업을 대상으로 조직 동일시와 개인의 직무성과, 조직성과 및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연구한다면 산업 전반에 걸쳐 인적자원관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둘째, 조직 동일시만으로 교육성과를 예측하는 데는 내·외부적으로도 많은 변수가 존재한다. 즉 후보생을 교육하는 교관의 열의, 행정적 지원, 대학의 재정 및 복지 지원, 교육시설과 설비 등 다양한 변수들이 존재하며 조직 동일시만으로 교육성과를 판단하고 일반화 시키는 데는 다소 제한이 있다. 이에 교육성과에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셋째, 조직 동일시와 교육성과간의 관계에서 자기감시성향만이 조직 동일시와 성과와의 긍정적 관계를 부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인지 다른 조직 태도변수와 성격특성 변수에 대해서 연구해 볼 필요성이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조직 동일시와 교육성과간의 관계에서 자기감시성향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첫째, 조직 동일시는 교육성과와 정(+)의 관계가 있을 것이며 둘째, 자기감시...

      본 논문은 조직 동일시와 교육성과간의 관계에서 자기감시성향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첫째, 조직 동일시는 교육성과와 정(+)의 관계가 있을 것이며 둘째, 자기감시성향은 조직 동일시와 교육성과간의 긍정적 관계를 부정적으로 조절할 것이다. 즉, 자기감시성향이 높은 경우 조직 동일시와 교육성과간의 긍정적 관계가 나타나지 않고, 자기감시성향이 낮은 경우 조직 동일시와 교육성과간의 긍정적 관계가 더 크게 나타날 것이라고 보고 이를 실증분석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서울지역 4개 대학 학군사관 후보생 300명을 대상으로 2012년 2월 13일부터 2012년 3월 2일까지 3주간 설문조사와 인구통계학적 자료는 각 대학 실무 담당자에게 협조하여 획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성 분석, 주요 변수간의 상관관계분석,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추가적으로 상호작용그래프와 집단구분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직 동일시는 교육성과와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지지되었다. 이는 조직과 동일시된 후보생은 군(軍)에 대한 목표와 가치를 수용하고 학군단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감을 가지며, 교육 목표 달성 위한 긍정적 태도를 나타냄으로써 조직 동일시가 교육성과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 동일시와 교육성과간의 관계에서 자기감시성향의 조절효과는 자기감시성향이 높은 경우 조직 동일시와 교육성과간의 긍정적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고, 자기감시성향이 낮은 경우 조직 동일시와 교육성과의 긍정적 관계가 더 크게 나타나 자기감시성향은 조직 동일시와 교육성과간의 긍정적 관계를 부정적으로 조절한다는 가설 2도 지지되었다. 이는 개인의 성격은 조직에서의 강력한 통제를 통해 특정 방향으로 구성원의 행동을 유도하는 상황에서는 직접적으로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없기 때문에 조직 동일시가 높은 경우 자기감시성향이 낮게 형성되어 조직 동일시가 교육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반면에 부드러운 조직 환경에서는 자신의 독특한 스타일을 살리면서 활동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감시성향이 개인의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조직 동일시가 낮게 형성되어 조직 동일시가 교육성과에 미치는 효과가 나타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자기감시성향은 주어진 상황에 따라 개인의 성격특성이나 태도에 가장 적합한 행동을 하려는 경향을 설명해 주는 대표적인 변수이며, 특히 학군사관 후보생의 교육훈련이 대부분 조직단위로 구성되어 즉각적인 상황판단과 다양한 역할을 통한 행동위주의 실습 및 발표로 진행됨에 따라 자기감시성향과 관련성이 높다. 따라서 자기감시성향이 높은 후보생은 조직과 동일시를 유도하는 환경에서도 높은 교육성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먼저 조직 동일시가 교육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줌으로써 이를 높여주기 위한 영향요인에 관해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둘째, 자기감시성향이 높은 경우 조직 동일시가 높거나 낮음에 관계없이 교육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자기감시성향을 높이기 위한 교육, 상담 및 지도에 대한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학군사관 후보생의 선발과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러한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아래와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의 환경이나 문화에 따라 조직 동일시의 수준이 다르고 학군사관 후보생을 대상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기업을 대상으로 조직 동일시와 개인의 직무성과, 조직성과 및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연구한다면 산업 전반에 걸쳐 인적자원관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둘째, 조직 동일시만으로 교육성과를 예측하는 데는 내·외부적으로도 많은 변수가 존재한다. 즉 후보생을 교육하는 교관의 열의, 행정적 지원, 대학의 재정 및 복지 지원, 교육시설과 설비 등 다양한 변수들이 존재하며 조직 동일시만으로 교육성과를 판단하고 일반화 시키는 데는 다소 제한이 있다. 이에 교육성과에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셋째, 조직 동일시와 교육성과간의 관계에서 자기감시성향만이 조직 동일시와 성과와의 긍정적 관계를 부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인지 다른 조직 태도변수와 성격특성 변수에 대해서 연구해 볼 필요성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monitoring and its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educational performance.

      Along with previous studies, I thought that there will be main effects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to enhance educational performance. And I also thought that the level of self-monitoring will be able to negatively moderat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educational performance.

      To test the hypotheses empirically, I analyzed 300 samples of ROTC cadets from 4 different universities in Kyung-gi province and Seoul. As a result, I foun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educational performance.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results betwee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educational performance when the level of self-monitoring is high.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results betwee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educational performance when the level of self-monitoring is low. Also, ROTC cadets with high level of self-monitoring showed still high educational performance whether the level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s high or low.

      The empir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a study about factors which elevates ROTC cadets'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should be done. Second, we should search for a teaching method which improves ROTC cadets' self-monitoring.

      In conclusion, ROTC cadets' improvement on educational performance through this study will enhance our military force's combat power and efficiency in the long ru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monitoring and its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educational performance. Along with previous studies, I thought that there will be main effects of 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monitoring and its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educational performance.

      Along with previous studies, I thought that there will be main effects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to enhance educational performance. And I also thought that the level of self-monitoring will be able to negatively moderat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educational performance.

      To test the hypotheses empirically, I analyzed 300 samples of ROTC cadets from 4 different universities in Kyung-gi province and Seoul. As a result, I foun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educational performance.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results betwee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educational performance when the level of self-monitoring is high.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results betwee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educational performance when the level of self-monitoring is low. Also, ROTC cadets with high level of self-monitoring showed still high educational performance whether the level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s high or low.

      The empir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a study about factors which elevates ROTC cadets'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should be done. Second, we should search for a teaching method which improves ROTC cadets' self-monitoring.

      In conclusion, ROTC cadets' improvement on educational performance through this study will enhance our military force's combat power and efficiency in the long ru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논 문 개 요
      • Ⅰ. 서 론 1
      • 2.1 연구의 목적 및 과제 1
      • 2.1 연구의 범위 및 구성 4
      • 목 차
      • 논 문 개 요
      • Ⅰ. 서 론 1
      • 2.1 연구의 목적 및 과제 1
      • 2.1 연구의 범위 및 구성 4
      • Ⅱ. 이론적 배경 5
      • 2.1 조직 동일시 5
      • 2.1.1 조직 동일시의 개념 5
      • 2.1.2 조직 동일시의 영향요인 7
      • 2.2 자기감시성향 10
      • 2.2.1 자기감시성향의 개념 10
      • 2.2.2 자기감시성향에 관한 선행연구 12
      • 2.3 교육성과 15
      • 2.3.1 성과의 개념 15
      • 2.3.2 학군사관 후보생 교육성과 16
      • 2.4 조직 동일시와 교육성과간의 관계 19
      • Ⅲ. 연구모형 및 가설 21
      • 3.1 연구모형 21
      • 3.2 연구가설 22
      • 3.2.1 조직 동일시와 교육성과간의 관계 22
      • 3.2.2 자기감시성향의 조절효과 23
      • Ⅳ. 연구 방법 25
      • 4.1 분석대상 25
      • 4.2 변수의 측정방법 26
      • 4.2.1 독립변수 : 조직 동일시 26
      • 4.2.2 종속변수 : 교육성과 26
      • 4.2.3 조절변수 : 자기감시성향 26
      • 4.2.4 통제변수 27
      • 4.3 설문의 구성 및 자료수집 28
      • Ⅴ. 분석 결과 29
      • 5.1 표본의 구성 29
      • 5.2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 30
      • 5.2.1 신뢰성 분석 30
      • 5.2.2 타당성 분석 31
      • 5.3 상관관계 분석 33
      • 5.4 가설의 검정 34
      • 5.4.1 조직 동일시와 교육성과간의 관계 34
      • 5.4.2 자기감시성향의 조절효과 36
      • 5.5 추가분석 37
      • Ⅵ. 결론 39
      • 6.1 연구결과 요약 39
      • 6.2 연구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 41
      • 6.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42
      • REFERENCES 43
      • 국내참고문헌 47
      • 부록(설문지) 48
      • ABSTRACT 5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