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목적은 교육실습 경험이 없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모의수업의 의미와 어려움을 분석하고, 모의수업의 바람직한 운영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3년 9월에서 12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140639
2024
-
30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53-76(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목적은 교육실습 경험이 없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모의수업의 의미와 어려움을 분석하고, 모의수업의 바람직한 운영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3년 9월에서 12월...
본 연구목적은 교육실습 경험이 없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모의수업의 의미와 어려움을 분석하고, 모의수업의 바람직한 운영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3년 9월에서 12월까지 유아교육과 2학년 60명을 대상으로 모의수업을 실시 후, 성찰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성찰지를 바탕으로 범주화, 부호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이 생각하는 모의수업의 의미는 자신의 능력 파악, 동료와 교류, 추후 개선방법 모색, 예비유아교사로서 성장의 4가지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들이 생각하는 모의수업의 어려움은 모의수업 전개에 대한 어려움, 교재교구 제작에 대한 어려움, 유아 발달 수준 파악에 대한 어려움, 유아-교사 상호작용의 어려움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실습 경험이 없는 예비유아교사들이 모의수업을 수행하며 자신의 역량을 진단하고 수업 전문성을 증진 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모의수업 과정에서 동료나 교수의 평가, 성찰지 등을 통해 반성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 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aning of and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mock teaching perceived by aspiring early childhood educators who have no experience in educational practicum, and to explore desirable methods of conducting moc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aning of and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mock teaching perceived by aspiring early childhood educators who have no experience in educational practicum, and to explore desirable methods of conducting mock teaching. To achieve this, mock teaching was conducted with 60 second-year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3, and reflective journals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journals were categorized, coded, and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the worth of mock teaching perceived by aspiring early childhood educators was categorized into four aspects: self-assessment of abilities, interaction with peers, seeking improvement strategies, and personal growth as aspiring educators. The difficulties perceived by aspiring early childhood educators in mock teaching were also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difficulties in conducting mock teaching, difficulties in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s, and challenges in child-teacher interaction. These results mean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out educational practicum experience can diagnose their own capabilities and improve their teaching expertise by conducting mock classes. Furthermore, it was noted that providing opportunities for reflective thinking through peer or instructor evaluation and reflective journals during mock teaching may help enhance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aspiring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build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through mock teaching.
기초체력 중심의 동작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력과 대학적응 간 관계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매개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