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초록】
- 1. 들어가는 글
- 2. 서울대학교 국악과 작곡전공의 성과와 과제
- 3. 국악계 창작음악의 전개와 변화
- 4. 한국 창작음악에서 혼재하는 구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505920
윤혜진 (전남대학교)
2019
Korean
국악작곡 ; 창작음악 ; 창작국악 ; 특수성 ; 정체성 ; Gugak Composition ; New Music ; Changjak Gugak ; Specificity ; Identity.
670
KCI등재
학술저널
91-120(3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민족문화대사전"
2 이성천, "한국전통음악형성론" 민속원 2004
3 국립국악원, "한국음악 창작곡 작품 목록(2006~2017)"
4 이성천, "한국 한국인 한국음악" 풍남 2003
5 윤혜진, "한국 창작음악의 전개에서 나타난국악의 배치와 의미" 한국음악사학회 (59) : 117-152, 2017
6 전인평, "창작분야의 회고와 전망" 동양음악연구소 11 : 39-56, 1989
7 전인평, "창작국악" 한국음악평론가협회 1 : 1987
8 이희경, "일반1:1960년대 한국 현대음악의 재구성" 민족음악학회 (52) : 7-41, 2016
9 이해식, "이해식의 작곡노트 넘겨보기"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6
10 "서울대학교 홈페이지"
1 "한민족문화대사전"
2 이성천, "한국전통음악형성론" 민속원 2004
3 국립국악원, "한국음악 창작곡 작품 목록(2006~2017)"
4 이성천, "한국 한국인 한국음악" 풍남 2003
5 윤혜진, "한국 창작음악의 전개에서 나타난국악의 배치와 의미" 한국음악사학회 (59) : 117-152, 2017
6 전인평, "창작분야의 회고와 전망" 동양음악연구소 11 : 39-56, 1989
7 전인평, "창작국악" 한국음악평론가협회 1 : 1987
8 이희경, "일반1:1960년대 한국 현대음악의 재구성" 민족음악학회 (52) : 7-41, 2016
9 이해식, "이해식의 작곡노트 넘겨보기"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6
10 "서울대학교 홈페이지"
11 황준연, "서울大學校國樂科五十年史"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2009
12 서울大學校 音樂大學, "서울大學校 音樂大學 國樂科 40年史" 서울대학교음악대학 1999
13 서울大學校 音樂大學, "서울大學校 音樂大學 國樂科 30年史" 서울대학교음악대학 1989
14 이해식, "민요와 작곡" 영남대학교 출판부 2014
15 윤혜진, "국악작곡 교육에 관한 논의와 관점" 한국음악사학회 (60) : 71-96, 2018
16 국립국악원, "국악연감 2015-국악현황 Ⅱ"
17 국립국악원, "국악연감 2014"
18 윤지영, "국악 작곡 지도방안 연구 : 국립국악고등학교와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9 변계원, "致和平 一, 二, 三과 醉豊亨에 관한 연구 : 세종시대 창작기법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20 전인평, "國樂作曲入門" 현대음악출판사 1988
21 이혜구, "喜壽紀念晩堂續文債錄" 天豈印刷株式會社 1985
22 金美林, "保太平 定大業의 확대 및 축소원리 : 보태평, 정대업 및 고려향악곡의 구조와 확대, 축소원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23 윤혜진, "<鳳凰吟> 一・二・三의 악곡구조 연구" 서울대학교 1996
24 국립국악원, "2017 국악연감-국악현황 Ⅱ"
25 전지영, "1950-60년대 국악 대중화·현대화 담론 고찰" 한국음악사학회 (53) : 345-372, 2014
만당 이혜구와 운초 장사훈의 음악학 규정과 한국음악 연구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60년, 국악 정기연주회의 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