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후변화 대응 동부지역 주요수종 모니터링 연구 : 소나무ㆍ낙엽송ㆍ잣나무의 임분구조 및 생장특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Monitoring of Main Coniferous Species in Eastern Region for Climate Chan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546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동부지방산림청 관내 국유림을 경영하는 산림자원으로서의 비중과 가치, 활용도가 높은 소나무, 낙엽송, 잣나무를 연구대상 수종으로 선정하였으며. 소나무 6개, 낙엽송 15개, 잣나무 15개 지역의 영구고정표준지를 설치해 흉고직경, 수고, 재적, 영급별 흉고직경 및 수고 분포현황, 수간석해를 이용한 생장량 변화 등 임분구조 및 생장특성을 조사ㆍ분석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소나무, 낙엽송, 잣나무의 표준지별 생장을 분석하였으며, 소나무림의 경우 천연림과 인공림을 구분하여 임황현황을 분석하였다. 소나무 인공림은 천연림보다 평균 흉고직경, 평균수고, 평균단목재적이 높게 나타났다.
      수종별 직경분포 현황을 분석한 결과, 평균직경이 커질수록 단위면적 당 입목본수는 감소하였으며, 임령이 증가할수록 평균경급이 커지며 흩어진 정도(표준편차)가 더욱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종별 영급에 따른 흉고직경과 수고의 관계는 흉고직경이 커질수록 수고도 높아졌다. 세 수종을 상관계수로 비교하면 소나무 0.79, 낙엽송 0.83, 잣나무 0.85로 잣나무가 가장 상관관계가 높았다.
      단목재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세 수종 모두 수고보다 흉고직경이 더 직접적이었으며, 흉고직경과 단목재적의 상관계수를 비교하면 소나무 0.9477, 낙엽송 0.9526, 잣나무 0.9523로 낙엽송의 흉고직경이 세 수종 중 단목재적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가장 컸다.
      수간석해를 이용한 생장량 분석 결과, 세 수종 모두 초기에는 생장이 증가를 보이다가 점차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직경생장량이 감소하였다. 소나무 인공림이 천연림보다 임령이 20년까지 직경생장량이 뛰어났다. 수종별 연년 직경생장량 비교 결과는 잣나무가 6.54㎜로 가장 높은 생장량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낙엽송이 6.50㎜, 소나무가 5.38㎜의 생장량을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동부지방산림청 관내 주요 수종인 소나무와 낙엽송, 잣나무의 임분구조 및 생장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나 단기간의 조사를 통하여 이러한 특성을 규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장기간에 걸친 반복조사를 통해 임분의 동태적 변화를 파악할 필요가 있으므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동부지방산림청 관내 국유림을 경영하는 산림자원으로서의 비중과 가치, 활용도가 높은 소나무, 낙엽송, 잣나무를 연구대상 수종으로 선정하였으며. 소나무 6개, 낙엽송 15개, 잣...

      본 연구는 동부지방산림청 관내 국유림을 경영하는 산림자원으로서의 비중과 가치, 활용도가 높은 소나무, 낙엽송, 잣나무를 연구대상 수종으로 선정하였으며. 소나무 6개, 낙엽송 15개, 잣나무 15개 지역의 영구고정표준지를 설치해 흉고직경, 수고, 재적, 영급별 흉고직경 및 수고 분포현황, 수간석해를 이용한 생장량 변화 등 임분구조 및 생장특성을 조사ㆍ분석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소나무, 낙엽송, 잣나무의 표준지별 생장을 분석하였으며, 소나무림의 경우 천연림과 인공림을 구분하여 임황현황을 분석하였다. 소나무 인공림은 천연림보다 평균 흉고직경, 평균수고, 평균단목재적이 높게 나타났다.
      수종별 직경분포 현황을 분석한 결과, 평균직경이 커질수록 단위면적 당 입목본수는 감소하였으며, 임령이 증가할수록 평균경급이 커지며 흩어진 정도(표준편차)가 더욱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종별 영급에 따른 흉고직경과 수고의 관계는 흉고직경이 커질수록 수고도 높아졌다. 세 수종을 상관계수로 비교하면 소나무 0.79, 낙엽송 0.83, 잣나무 0.85로 잣나무가 가장 상관관계가 높았다.
      단목재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세 수종 모두 수고보다 흉고직경이 더 직접적이었으며, 흉고직경과 단목재적의 상관계수를 비교하면 소나무 0.9477, 낙엽송 0.9526, 잣나무 0.9523로 낙엽송의 흉고직경이 세 수종 중 단목재적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가장 컸다.
      수간석해를 이용한 생장량 분석 결과, 세 수종 모두 초기에는 생장이 증가를 보이다가 점차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직경생장량이 감소하였다. 소나무 인공림이 천연림보다 임령이 20년까지 직경생장량이 뛰어났다. 수종별 연년 직경생장량 비교 결과는 잣나무가 6.54㎜로 가장 높은 생장량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낙엽송이 6.50㎜, 소나무가 5.38㎜의 생장량을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동부지방산림청 관내 주요 수종인 소나무와 낙엽송, 잣나무의 임분구조 및 생장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나 단기간의 조사를 통하여 이러한 특성을 규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장기간에 걸친 반복조사를 통해 임분의 동태적 변화를 파악할 필요가 있으므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Pinus densiflora,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were selected as target species for this study because these species were valuable and practical in the region of national forest of Eastern Regional Korea Forest Service. Permanent plots were installed in 6 sites for Pinus densiflora, 15 sites for Larix kaempferi, and 15 sites for Pinus koraiensis. DBH, height, volume, distribution of DBH and height by age class, and growth change were analyzed in order to cope with the climate chan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growth pattern and characteristics for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Growth of Pinus densiflora,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was analyzed by permanent plot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artificial forest and natural forest in Pinus densiflora, DBH, height, and volume was higher in artificial forests.
      In analyzing the DBH distribution by species, the number of trees per unit area decreased as average DBH increased. Also,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DBH increased as trees age. The correlation between DBH and height by species and age class was positive. the correlation of coefficient was 0.79 in Pinus densiflora, 0.83 in Larix kaempferi, 0.85 in Pinus koraiensis.
      Individual stem volume was more directly related with dbh than height in all of three species. Correlation of coefficient was 0.9477 in Pinus densiflora, 0.9526 in Larix kaempferi, 0.9523 in Pinus koraiensis.
      In analysis of tree growth using stem analysis, the growth of all species increased at early years, but it was decreased as trees age. For Pinus densiflora, DBH growth was higher in artificial forest than natural forest. The mean annual growth of DBH for Pinus koraiensis was 6.54㎜, and the growth for Larix kaempferi was 6.50㎜, and the growth for Pinus densiflora was 5.38㎜.
      Finall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stand structur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main coniferous species, Pinus densiflora,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in the region of Eastern Regional Korea Forest Service. It was not easy to find out the growth characteristics in a short period. Thus, long-term monitoring data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tand dynamics using periodic inventory in a long period.
      번역하기

      In this study, Pinus densiflora,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were selected as target species for this study because these species were valuable and practical in the region of national forest of Eastern Regional Korea Forest Service. Permanen...

      In this study, Pinus densiflora,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were selected as target species for this study because these species were valuable and practical in the region of national forest of Eastern Regional Korea Forest Service. Permanent plots were installed in 6 sites for Pinus densiflora, 15 sites for Larix kaempferi, and 15 sites for Pinus koraiensis. DBH, height, volume, distribution of DBH and height by age class, and growth change were analyzed in order to cope with the climate chan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growth pattern and characteristics for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Growth of Pinus densiflora,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was analyzed by permanent plot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artificial forest and natural forest in Pinus densiflora, DBH, height, and volume was higher in artificial forests.
      In analyzing the DBH distribution by species, the number of trees per unit area decreased as average DBH increased. Also,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DBH increased as trees age. The correlation between DBH and height by species and age class was positive. the correlation of coefficient was 0.79 in Pinus densiflora, 0.83 in Larix kaempferi, 0.85 in Pinus koraiensis.
      Individual stem volume was more directly related with dbh than height in all of three species. Correlation of coefficient was 0.9477 in Pinus densiflora, 0.9526 in Larix kaempferi, 0.9523 in Pinus koraiensis.
      In analysis of tree growth using stem analysis, the growth of all species increased at early years, but it was decreased as trees age. For Pinus densiflora, DBH growth was higher in artificial forest than natural forest. The mean annual growth of DBH for Pinus koraiensis was 6.54㎜, and the growth for Larix kaempferi was 6.50㎜, and the growth for Pinus densiflora was 5.38㎜.
      Finall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stand structur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main coniferous species, Pinus densiflora,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in the region of Eastern Regional Korea Forest Service. It was not easy to find out the growth characteristics in a short period. Thus, long-term monitoring data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tand dynamics using periodic inventory in a long perio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II. 자료 및 방법 3
      • 1. 조사지 개황 3
      • I. 서 론 1
      • II. 자료 및 방법 3
      • 1. 조사지 개황 3
      • 1) 동부지방산림청 국유림 현황 3
      • 2) 주요 침엽수종 분포현황 4
      • 2. 연구방법 10
      • 1) 영구고정표준지 설정 10
      • 2) 조사방법 및 분석방법 19
      • III. 결과 및 고찰 21
      • 1. 임분 현황 21
      • 2. 수종별 평균 생장비교 26
      • 1) 소나무 26
      • 2) 낙엽송 29
      • 3) 잣나무 31
      • 3. 지역별?영급별 직경과 수고 분석 34
      • 1) 표준지별 직경과 수고 분석 34
      • 2) 영급별 직경과 수고 분석 53
      • 4. 수종별 직경과 수고의 관계 59
      • 5. 직경과 수고에 따른 재적 관계 61
      • 6. 수간석해를 이용한 생장량 분석 62
      • 1) 소나무 62
      • 2) 낙엽송 64
      • 3) 잣나무 66
      • 4) 수종별 연년 직경생장량 비교 67
      • IV. 결론 및 제언 69
      • V. 참고문헌 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