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창의노동: 여성 게임개발자 사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019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여성 게임개발자 사례에 대한 질적 연구를 통해 디지털 창의노동의 양가적이고 복합적인 현실을 논의하고 있다. 우선, 여성 게임개발자들의 성장기와 청년기에 놀이나 여가로 경...

      이 연구는 여성 게임개발자 사례에 대한 질적 연구를 통해 디지털 창의노동의 양가적이고 복합적인 현실을 논의하고 있다. 우선, 여성 게임개발자들의 성장기와 청년기에 놀이나 여가로 경험한 게임하기는 디지털친화적인 세대의 보편적 특징과 함께, 게임하는 여성이 잘 보이지 않는 상황이라는 성별로 다르게 경험되는 세대 내부의 차이 역시 보여준다. 둘째, 여성이 보이지 않는 상황은 여성 게임 개발자들의 ‘게임 만들기’ 경험에서도 지속되며 이는 창조적 역할의 성별화와 비명시적이고 미묘한 배제관행과 관련되어 있다. 셋째, 여성 개발자들의 창의노동 주체성은 합리성, 창의적 열정, 평등주의과 같은 특성 일반을 보여주는 한편, 한층 강화된 자기착취라는 상이한 인식과 노동경험으로도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임신·출산 이후 여성게임개발자에게 창의노동 정체성은 ‘낮아지는 기술적 능력’을 설명하는 근거가 되는 한편, 성차별주의와 교차되면서 창의조직 내 여성에 대한 사회적 폐쇄를 정당화하는 데 활용되는 경향을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iscusses the ambivalent and complex reality of digital creative labor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on the case of women game developers. First, playing games experienced by women game developers in their growth and youth shows the universa...

      This study discusses the ambivalent and complex reality of digital creative labor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on the case of women game developers. First, playing games experienced by women game developers in their growth and youth shows the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friendly generation, while also showing the differences of gendered experiences within the generation such as the situation where female gamers are barely visible. Second, the situation in which women are invisible also persists in the experience of game making of women game developers, which is related to the gendering of creative roles and the practice of non-explicit and subtle exclusion. Third, the creative labor identity of women game developers, along with characteristics such as rationality, creative passion, and equality, also appears in different perceptions and labor experiences of more enhanced self-exploitation. Finally, after pregnancy and childbirth of women game developers, creative labor identity serves as a basis for explaining their "lowering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it tends to be used in creative organizations to justify social closure to women game developers, intersecting with gender discrimin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디지털 창의노동, 새로운 변화?
      • Ⅱ. 창의산업에서 창의노동까지
      • Ⅲ. 디지털창의노동과 성불평등
      • Ⅳ. 디지털 창의노동의 실제: 여성 게임개발자 사례를 중심으로
      • Ⅴ. 살아내고, 버티는 존재들, 그 이후
      • Ⅰ. 디지털 창의노동, 새로운 변화?
      • Ⅱ. 창의산업에서 창의노동까지
      • Ⅲ. 디지털창의노동과 성불평등
      • Ⅳ. 디지털 창의노동의 실제: 여성 게임개발자 사례를 중심으로
      • Ⅴ. 살아내고, 버티는 존재들, 그 이후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두헌, "한국 남녀 청년 게이머의 플레이 취향과 성차 및 성 고정관념" 한국정보통신학회 21 (21): 72-81, 2017

      2 스탠딩, "프레카리아트: 새로운 위험한 계급" 박종철출판사 2014

      3 채석진, "테크놀로지, 노동, 그리고 삶의 취약성" 한국언론정보학회 79 (79): 226-259, 2016

      4 정승혜, "크리에이티브 작업과 젠더 연구: 여성 광고제작자의 인식 및 업무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9 (29): 131-157, 2018

      5 박진선, "크리에이터는 어떻게 노동하는가? 1인 미디어 생산 경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주)에스비에스 18 (18): 73-110, 2020

      6 헤스몬달프, "창의노동과 미디어 산업"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7 쉬빈저, "젠더분석: 과학과 기술을 바꾼다" 연세대학교 출판부 11-48, 2010

      8 이항우, "자유/무료 노동의 화폐적 보상: 소액 결제 혹은 보편적 기본 소득" 비판사회학회 (107) : 323-351, 2015

      9 커런, "인터넷, 신화를 넘어 공공성으로" 컬처룩 2017

      10 버거, "의심에 대한 옹호" 산책자 2010

      1 송두헌, "한국 남녀 청년 게이머의 플레이 취향과 성차 및 성 고정관념" 한국정보통신학회 21 (21): 72-81, 2017

      2 스탠딩, "프레카리아트: 새로운 위험한 계급" 박종철출판사 2014

      3 채석진, "테크놀로지, 노동, 그리고 삶의 취약성" 한국언론정보학회 79 (79): 226-259, 2016

      4 정승혜, "크리에이티브 작업과 젠더 연구: 여성 광고제작자의 인식 및 업무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9 (29): 131-157, 2018

      5 박진선, "크리에이터는 어떻게 노동하는가? 1인 미디어 생산 경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주)에스비에스 18 (18): 73-110, 2020

      6 헤스몬달프, "창의노동과 미디어 산업"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7 쉬빈저, "젠더분석: 과학과 기술을 바꾼다" 연세대학교 출판부 11-48, 2010

      8 이항우, "자유/무료 노동의 화폐적 보상: 소액 결제 혹은 보편적 기본 소득" 비판사회학회 (107) : 323-351, 2015

      9 커런, "인터넷, 신화를 넘어 공공성으로" 컬처룩 2017

      10 버거, "의심에 대한 옹호" 산책자 2010

      11 박진우, "유연성, 창의성, 불안정성 : 미디어 노동 연구의 새로운 문제 설정"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9 (19): 41-86, 2011

      12 정종은, "영국 창조산업 정책의 부상 - 개념들의 변천에 관한 고찰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7 (27): 123-145, 2013

      13 심선애, "여성게이머의 특성에 관한 연구-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27 (27): 43-54, 2014

      14 전경란, "여성 게이머의 게임하기와 그 문화적 의미에 대한 연구: 고 레벨 여성 게이머의 게임하기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2 (22): 83-118, 2007

      15 박범기, "아마추어 웹툰 작가의 생산 노동의 성격에 대한 연구: 네이버<베스트 도전> 연재 작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16

      16 이문수, "신자유주의적 통치성의 계보학과 공공성의 문제" 한국조직학회 17 (17): 1-34, 2020

      17 김현미, "성별화된 시공간적 노동 개념과 한국 여성노동의‘유연화’" 한국여성학회 19 (19): 63-96, 2003

      18 장희은, "불안정 창의노동자들의 정체성과 고용형태의 변화: A사 프리랜서 구성작가의 정규직화 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산업노동학회 25 (25): 253-298, 2019

      19 김현미, "문화산업과 성별화된 노동: TV 방송프로그램 여성작가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1 (21): 69-103, 2005

      20 강이수, "문화노동의 특성과 젠더의 문제: 영국 창조산업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31 (31): 181-211, 2015

      21 김예란, "디지털 창의노동 - 젊은 세대의 노동 윤리와 주체성에 관한 한 시각" 한국언론정보학회 69 (69): 71-110, 2015

      22 이희은, "디지털 노동의 불안과 희망: 대학생의 ‘대외활동’에 대한 심층 인터뷰" 한국언론정보학회 66 (66): 211-241, 2014

      23 크라우즈, "노동세계의 디지털화" 15 (15): 9-21, 2017

      24 김순영, "노동과정과 노동조건을 통해 본 방송 작가의 노동자성 : 지상파 방송국 구성작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7 (7): 175-212, 2007

      25 윤태진, "고스톱 치는 아줌마들: 중년 기혼 여성들의 웹보드 게임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62 (62): 51-73, 2013

      26 최성락, "게임이 청소년 행복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게임학회 17 (17): 107-116, 2017

      27 이수인, "게임산업에서 여성으로 살아남기" (겨울) : 24-30, 2006

      28 김민규, "게임백서의 이용자 통계를 토대로 한 게임이용자 동향 및 게임시장의 성격 연구"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36) : 39-67, 2018

      29 이준영, "게임 플레이어 유형에 따른 몰입 및 충성도 연구" 한국게임학회 17 (17): 71-80, 2017

      30 박상민, "게임 이용이 자기 효능감 및 사회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게임학회 17 (17): 55-62, 2017

      31 이상규, "게임 생산자의 노동 불안정성 연구: 보상 및 경력전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 (19): 337-352, 2019

      32 Hartley, John, "The ‘Value Chain of Meaning’ and the New Economy" 7 (7): 129-141, 2004

      33 Maxwell, Richard, "The Routledge Companion to Labor and Media" Routledge 2015

      34 Oakley, Kate, "The Disappearing Arts: Creativity and Innovation after the Creative Industries" 15 (15): 403-413, 2009

      35 Pratt, Andy C, "The Cultural Economy: A Call for Spatialised ‘Production of Culture’ Perspectives" 7 (7): 117-128, 2004

      36 Hesmondhalgh, David, "Sex, Gender and Work Segregation on the Cultural Industries" 63 (63): 23-36, 2015

      37 윤명희, "PC방의 네트워크 일상풍경" 한국문화사회학회 10 (10): 67-95, 2011

      38 Oakley, Kate, "Not So Cool Britannia: The Role of the Creative Industries in Economic Development" 7 (7): 67-77, 2004

      39 Banks, Mark, "Looking for Work in Creative Industries Policy" 15 (15): 415-430, 2009

      40 Fuchs, Christian, "Internet and Society: Social Theory in the Information Age" Routledge 2008

      41 Banks, Mark, "Individualization, Gender and Cultural Work" 18 (18): 73-89, 2011

      42 Conor, Bridget, "Gender and Creative Labour" 63 (63): 1-22, 2015

      43 Bielby, Denise D, "Gender Inequality in Culture Industries : Women and Men Writers in Film and Television" 51 (51): 237-252, 2009

      44 Neilson, Brett, "From Precarity to Precariousness and Back Again: Labour, Life and Unstable Networks" 5 (5): 10-13, 2005

      45 Garnham, Nicholas, "From Cultural to Creative Industries" 11 (11): 15-29, 2005

      46 Miller, Toby, "From Creative Industries to Cultural Industries: Not all Industries are Cultural, and Industries are Creative" 23 (23): 88-99, 2009

      47 Fuchs, Christian, "Foundations of Critical Media and Information Studies" Routledge 2011

      48 Commonwealth of Australia, "Creative Nation: Commonwealth Cultural Policy"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and the Arts 1994

      49 Hesmondhalgh, David, "Creative Labour: Media Work in Three Cultural Industries" Communicationbooks 2011

      50 Gill, Rosalind, "Cool, Creative and Egalitarian?: Exploring Gender in Project-based New Media Work" 5 (5): 70-89, 2002

      51 플로리다, "CREATIVE CLASS: 창조적 변화를 주도하는 사람들" 전자신문사 2002

      52 Peuter, Greig de, "Beyond the Model Worker: Surveying a Creative Precariat" 6 (6): 263-284, 2014

      53 Higgs, Peter, "Beyond the Creative Industries: Mapping the Creative Economy in the United Kingdom" NESTA 2008

      54 Miller, Toby, "A View from a Fossil" 1 : 55-65, 2004

      55 Hesmondhalgh, David, "A Very Complicated Version of Freedom: Conditions and Experiences of Creative Labour in Three Cultural Industries" 38 (38): 4-20, 2010

      56 범유경, "<오버워치>, 그리고 다른 목소리: 게임 <오버워치> 내 여성 게이머에 대한 폭력적 발화 분석" 17 : 283-337, 2017

      57 한국콘텐츠진흥원, "2020 대한민국 게임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20

      58 한국콘텐츠진흥원, "2020 게임이용자 실태조사 보고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20

      59 한국콘텐츠진흥원, "2019 대한민국 게임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9

      60 한국콘텐츠진흥원, "2019 게임이용자 실태조사 보고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9

      61 한국콘텐츠진흥원, "2018 대한민국 게임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8

      62 한국콘텐츠진흥원, "2018 게임이용자 실태조사 보고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8

      63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 게임이용자 실태조사 보고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Cultural Sociology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5 1.70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