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돌발성 난청 환자에서 청력변화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Hearing Recovery Patterns in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Pat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623762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 2002. 2

      • 발행연도

        200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15.4 판사항(4)

      • DDC

        617.51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22p. : 삽도 ; 30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조용범
        참고문헌수록

      • 소장기관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돌발성 난청은 수 시간 내지 수일 만에 청력의 갑작스러운 소실을 초래하지만 아직 병인이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질병이며,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서 다양한 치료방법들이 소개되고 있고, 이...

      돌발성 난청은 수 시간 내지 수일 만에 청력의 갑작스러운 소실을 초래하지만 아직 병인이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질병이며,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서 다양한 치료방법들이 소개되고 있고, 이 질환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에는, 아직 통일된 의견이 없지만, 나이, 치료시작의 시기, 난청의 정도, 청력도의 모양, 동반 증상의 유무, 상기도 감염의 병력 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돌발성 난청으로 진단 받은 173명의 환자에서 이들 예후 추정인자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하였고, 이러한 추정인자들이 부신 피질 호르몬 요법을 받은 돌발성 난청 환자의 청각 회복과 청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아직 정립되지 않은 예후 추정 인자들(성별, 이폐색감, 소음폭로, 정신적 스트레스, 병변 부위, 기저 질환, 적혈구 침강속도)과 청력 회복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1996년부터 2001년 7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돌발성 난청으로 진단되어 입원치료를 받은 173명을 대상으로 통계학적 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총 173명의 환자 중 104명이 호전되어, 전체적인 회복율은 60.1%였다.
      2. 연령이 50세 이하인 경우 105예 중 67예(63.8)가 회복되었으며, 50세 이상에서는 68예 중 37예(54.4%)가 회복되었으나 통계적 유의가 없었다.
      3. 전체 173예 중 1주 이내에 치료를 시작한 경우가 129예(74.6%)였고, 이 중 87예(67.4%)가 회복되었으며, 1주 이후에 치료를 시작한 경우에는 44예 중 17예(38.6%)가 회복되어, 1주 이내에 치료를 시작한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4. 초기의 청력손실 정도는 경도가 6예(3.5%), 중등도가 15예(8.7%), 중등고도가 27예(15.6%), 고도가 50예(28.7%), 농이 75예(43.4%)이었다. 회복율은 경도에서 66.7%와 중등도에서 40%, 중고등도에서 77.8%, 고도에서 72%, 농에서 49.3%로, 경도와 중등고도, 그리고 고도인 경우에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5).
      5. 초기 청력도상 상승형이 40예(23.1%), 수평형이 29예(16.8%), 하강형이 35예(20.2%), 농형이 57예(32.9%), V형이 12예(6.9%)였다. 회복율은 상승형에서 72.5%, 수평형에서 65.5%, 하강형에서 62.9%, 농형에서 42.1%, V형에서 83.3%를 보여 농형을 제외한 다른 유형의 청력도에서 회복율이 높았다(p≤0.05).
      6. 동반 증상으로 현훈이 있었던 73예 중 39예(53.4%)가 회복하였고, 동반하지 않는 100예 중 65예(65.0%)가 회복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가 없었다. 그러나 1주 이내에 치료를 시작했던 129예 중 현훈이 55예 있었고, 이 중 31예(56.4%)가 회복하였으며, 현훈이 없었던 74예 중 56예(75.7%)가 회복되어 현훈이 없었던 환자군에서 더 높은 회복율을 보였다(p≤0.05).
      7. 이명, 상기도 감염은 병력, 성별, 이폐색간, 소음폭로, 정신적 스트레스, 병변 부위, 기저질환, 적혈구 침강속도 등의 인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is a disease that is developed within several hours to several days but its etiology is not verified yet. Therefore no specific regimen is available for the treatment of this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is a disease that is developed within several hours to several days but its etiology is not verified yet. Therefore no specific regimen is available for the treatment of this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therapeutic effect of the corticosteroid on the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patients through many variable (age, interval between onset of disease and initial treatment, degree of hearing loss, type of initial audiogram, accompanying symptom, history of URI) known as prognostic factors. The author also try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ring recovery patterns and the prognostic factors (the sex, ear fullness, the history of exposure to noise, the emotional stress, the site of involvement, and underlying diseases) that were not established yet.
      Clinical analysis was performed in 173 patients with sudden hearing loss admitted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6 to July 200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Recovery was seen in 104 cases out of 173 cases and the total recovery rate is 60.1%.
      2. In patients aged less than fifty, 67 cases(63.8%) recovered out of 105 cases. In those over fifty, 37 cases(54.4%) recovered out of 68 cases without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3.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within a week after the symptoms had a better recovery rate(67.4%, 87 cases out of 129 cases) than those treated after a week(38.6%, 17 cases out of 44 cases)(p≤0.05).
      4. The recovery rate for patients whose initial hearing loss was mild was 66.7%. 40% for the moderate, 77.8% for the moderate-severe, 72% for the severe, and 49.3% for the profound hearing loss. As a result, the recovery rate was better for the mild, moderate-severe, and severe hearing loss(p≤0.05).
      5. The recovery rate was 72.5% for the patients whose initial audiogram is upsloping. 65.5% for flat, 62.9% for downsloping, 83.3% for V-shape, and 42.1% for profound audiogram. Patients of all audiogram except the profound one had a better recovery rate(p≤0.05).
      6. Among the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within a week, the dizzy patients had the lower recovery rate than the non-dizzy patients(75.7%)(p≤0.05).
      7. In order factors such as the history of URI, the sex, the tinnitus and ear fullness as a accompanying symptom, the history of noise exposure, the history of emotional stress, the site of disease, and the presence of underlying disease were not related with prognosi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 서론 = 3
      • 대상 및 방법 = 4
      • 결과 = 6
      • 고찰 = 13
      • 국문초록 = 1
      • 서론 = 3
      • 대상 및 방법 = 4
      • 결과 = 6
      • 고찰 = 13
      • 참고문헌 = 17
      • 영문초록 = 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