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법적 규제대상으로서 온라인 플랫폼의 유형에 관한 연구 - EU법과 2021년 전자상거래법 전부개정안의 분석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Types of Online Platforms as Subject of legal Regulations -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EU law and Amendment to the korean E-commerce Act in 2021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088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법에 의거하여 전자상거래 영역에서의 플랫폼을 적절히 규제하기 위해서는 규제 영역을 한정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법률용어로서의 온라인 플랫폼 개념을 사용해야만 한다. 이처럼 온라인 ...

      법에 의거하여 전자상거래 영역에서의 플랫폼을 적절히 규제하기 위해서는 규제 영역을 한정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법률용어로서의 온라인 플랫폼 개념을 사용해야만 한다. 이처럼 온라인 플랫폼 개념을 법률용어로서 정의해야 한다면 그것은 반드시 해당 법률의 입법목적 및 법률효과와 연계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온라인 플랫폼을 규율하고자 하는 법의 목적은 매우 다양할 수밖에 없어서 온라인 플랫폼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법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특별법을 제·개정할 시온라인 플랫폼을 어떻게 정의하고, 궁극적으로 어느 범위의 온라인 플랫폼까지 규제할 것인지는 면밀한 연구와 검토가 필요한 문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이 문제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된 바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내 입법에 있어 비교법 자료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EU 입법례를 비교·검토하면서 2021년 공정거래위원회에 의해 마련된 전자상거래법 전부개정안 내용 중 온라인 플랫폼 내지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개념을 규제대상 획정 차원에서 분석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국내 전자상거래법 전부개정안은 단순히 플랫폼 내에서 체결되는 원거리계약에서의 정보비대칭성 문제 해결만을 규율목적으로 하지 않고, 판매사업자와 소비자 간의 계약의 체결을 쉽게 하거나 계약의 체결에 영향을 미치는 분야에 발생하는 문제까지도 해결하고자 온라인 플랫폼 범위를 넓게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전자게시판서비스 제공자도 정보매개형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자로 규정하여 SNS 상의 소비자 거래 관련 문제를 규율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적정 수준의 규제 설정이 필요해 보이고, 향후 거래 매칭형 플랫폼서비스의 정의와 소규모 플랫폼 서비스에 대한 규제 면제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properly regulate a platform in the field of e-commerce, it is necessary to use the concept of an online platform as a legal term to limit the area of regulation. If the online platform concept is to be defined as a legal term, it must tak...

      In order to properly regulate a platform in the field of e-commerce, it is necessary to use the concept of an online platform as a legal term to limit the area of regulation. If the online platform concept is to be defined as a legal term, it must take into account the legislative purpose and legal effect of the relevant law. However, the purpose of acts to regulate online platforms is very diverse, so it is a question that needs research on how to define an online platform. In this paper, EU legislation was compared and reviewed, and the concept of online platform service in the amendment to the E-Commerce Act prepared by the korean Fair Trade Commission in 2021 was analyzed.
      The amendment to the Korean e-commerce act does not merely deal with information asymmetry in distance contracts concluded within the platform. Rather, the scope of online platforms is broadly defined to regulate platforms that facilitate the conclusion of contracts between sellers and consumers, or platforms that affect the conclusion of contracts. In addition, so-called electronic bulletin board service providers are defined as online platform service providers, and problems related to consumer transactions on SNS are subject to regulation. It seems that sufficient research is needed on the definition of online platform services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세준, "전자상거래법 전부개정안의 몇 가지 쟁점에 대한 검토 - 온라인 플랫폼 운영사업자를 중심으로 -" 한국소비자법학회 7 : 9-32, 2021

      2 고형석, "전자상거래법 전부개정안에 대한 연구 - 체계 및 총칙을 중심으로 -" 한국소비자법학회 7 : 129-164, 2021

      3 서종희, "입법원칙을 기초로 바라본 전자상거래법 전부개정안의 의미와 한계" 한국소비자법학회 7 : 33-61, 2021

      4 이상윤, "유럽연합의 플랫폼 규제 동향 - “Digital Services Act”와 “New Competition Tool” -" 법학연구소 44 (44): 301-333, 2020

      5 이병준, "유럽연합 전자상거래 플랫폼 규제동향과 시사점" 법학연구소 42 (42): 1-38, 2018

      6 김진우, "유럽연합 및 일본의 온라인 플랫폼 규율과 국내 추진법안의 비교 및 시사점 - 온라인 플랫폼과 영업적 이용자 간의 법률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소비자법학회 7 (7): 197-262, 2021

      7 이병준, "유럽연합 디지털 서비스법을 통한 플랫폼 규제-디지털 서비스법 초안과 그 시사점을 중심으로-" 2021

      8 김상중, "유럽법연구소(European Law Institute) 보고서: 온라인 플랫폼 모델법" 한국소비자법학회 7 (7): 383-452, 2021

      9 이병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개인간 거래와 소비자보호 - 당근마켓과 연관된 전자상거래법 전부개정안 제29조를 중심으로 -" 한국소비자법학회 7 : 93-126, 2021

      10 황태희, "온라인 중개플랫폼 사업자 규제에 대한 EU 및 국내 입법 동향에 관한 소고" 부설법학연구소 63 : 449-468, 2020

      1 김세준, "전자상거래법 전부개정안의 몇 가지 쟁점에 대한 검토 - 온라인 플랫폼 운영사업자를 중심으로 -" 한국소비자법학회 7 : 9-32, 2021

      2 고형석, "전자상거래법 전부개정안에 대한 연구 - 체계 및 총칙을 중심으로 -" 한국소비자법학회 7 : 129-164, 2021

      3 서종희, "입법원칙을 기초로 바라본 전자상거래법 전부개정안의 의미와 한계" 한국소비자법학회 7 : 33-61, 2021

      4 이상윤, "유럽연합의 플랫폼 규제 동향 - “Digital Services Act”와 “New Competition Tool” -" 법학연구소 44 (44): 301-333, 2020

      5 이병준, "유럽연합 전자상거래 플랫폼 규제동향과 시사점" 법학연구소 42 (42): 1-38, 2018

      6 김진우, "유럽연합 및 일본의 온라인 플랫폼 규율과 국내 추진법안의 비교 및 시사점 - 온라인 플랫폼과 영업적 이용자 간의 법률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소비자법학회 7 (7): 197-262, 2021

      7 이병준, "유럽연합 디지털 서비스법을 통한 플랫폼 규제-디지털 서비스법 초안과 그 시사점을 중심으로-" 2021

      8 김상중, "유럽법연구소(European Law Institute) 보고서: 온라인 플랫폼 모델법" 한국소비자법학회 7 (7): 383-452, 2021

      9 이병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개인간 거래와 소비자보호 - 당근마켓과 연관된 전자상거래법 전부개정안 제29조를 중심으로 -" 한국소비자법학회 7 : 93-126, 2021

      10 황태희, "온라인 중개플랫폼 사업자 규제에 대한 EU 및 국내 입법 동향에 관한 소고" 부설법학연구소 63 : 449-468, 2020

      11 칼 엥기쉬, "법학방법론" 세창출판사 2011

      12 "Research group on the Law of Digital Services: Discussion Draft of a Directive on Online Intermediary Platforms"

      13 Busch, "Mehr Fainess und Transparenz in der Plattformökonomie?" 788-, 2019

      14 Busch, "Europäische Modellregeln für Online- Vermittlungsplattformen in Online-Vermittlungsplattformen in der Rechtspraxis" 2018

      15 강지원, "EU의 온라인 플랫폼 규칙 시행이 유통분야에 주는 시사점" 한국유통법학회 7 (7): 41-79, 2020

      16 손영화, "EU의 디지털플랫폼규칙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소 25 (25): 365-390, 2020

      17 Härting, "Digital Services Act - ein Überblick" 165-, 2021

      18 Rössel, "Digital Services Act" 35-, 2021

      19 정신동, "2021년 전자상거래법 전부개정안의 주요 쟁점과 향후 과제" 한국소비자법학회 7 : 63-92,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