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이 사회에 진출하였을 때 국어와 관련하여 어떠한 능력이 필요한지, 그리고 그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무엇을’, ‘어떻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746646
청주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 2018. 2
2018
한국어
특성화고 ; 학생 요구 ; 국어과 성취기준 ; 성취기준 설정 방안
충청북도
ⅹ, 183 p. : 삽도 ;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박영민
참고문헌 : p.163-16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이 사회에 진출하였을 때 국어와 관련하여 어떠한 능력이 필요한지, 그리고 그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무엇을’, ‘어떻게...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이 사회에 진출하였을 때 국어와 관련하여 어떠한 능력이 필요한지, 그리고 그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무엇을’, ‘어떻게’ 배워야 하는지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여 학교 단위의 성취 기준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개정하거나, 학교 단위에서 성취 기준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려는 자료 개발은 주로 국어 전문가들의 참여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학교에서 학생들의 역량을 키우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에 초점을 둔다면 실제 학교 교육을 받는 졸업생들의 의견을 수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특히 특성화 고등학교는 졸업 후 취업하는 경우가 많아 지식을 많이 알고 있는 것보다 알고 있는 것을 바탕으로 실제 무엇을 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학습자의 역량을 키우기 위한 성취기준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졸업생들이 받았던 국어 교육이 실제로 얼마나 도움이 되었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졸업생들의 의견이 중요한 이유는 특성화고 국어 교육이 졸업 후 실제 자신들의 생활에 도움이 된 것과 도움이 되지 않은 것의 원인을 파악하여 ‘무엇을’, ‘어떻게’ 보완해야 하는지에 대한 가장 실제적인 의견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대상들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교육과정 내용과 성취기준 개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있었으나 교수 학습의 주체인 학습자를 중심에 둔 연구가 부족하였기에 이 연구는 특성화고 학생 요구를 반영한 국어과 성취기준 설정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고등학교 졸업생들은 국어 공부를 왜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어떻게 국어 공부했는가?
둘째, 특성화 고등학교 졸업생들의 현재 교육과정 성취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셋째, 국어 시간에 ‘무엇을’, ‘어떻게’ 배우고 평가해야 졸업 후에 필요한 국어 능력을 갖출 수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특성화고 졸업생 대상 설문지를 검사 도구로 삼았다. 특성화 고등학교 졸업생들과 면담, 국어교육 전공 교수와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3년 이상 지도한 현직 교사 7명의 조언을 받는 등 세 번에 걸친 수정 작업을 거쳐 총 72문항의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설문 문항은 특성화고 졸업생들의 국어 공부에 대한 인식과 태도, 국어과 성취기준과 특성화고 졸업생들의 현재 성취 수준 정도, 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국어 수업 방안으로 구성했다.
이후 대구의 특성화고 졸업생들에게 설문지를 투입, 그중 설문에 성실히 응답한 127명을 대상으로 결과를 분석했다. 분석에는 SPSS for Windows 21.0 ve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먼저 각 설문 문항에 대한 기술 통계 결과를 제시하고, 이후 진로 현황, 취업 종류, 진학 종류별로 졸업생들의 요구에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졸업생들의 요구를 반영한 성취기준 설정 방안을 마련하기 위함에 있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집단의 특성을 반영해야 하는 특수한 환경의 성취 기준 마련에 의미가 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경우는 집단 요인에 상관없이 보편적으로 요구이므로 이 또한 성취 기준 마련에 중요한 의미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특성화고 학생들이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려한 성취기준 마련을 위한 설정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미를 둔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특성화고 졸업생들의 요구를 반영한 성취기준 설정 방안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국어 수업은 졸업 이후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를 실제로 잘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성취기준을 설정하여야 하고 취업과 진학을 위한 시험을 대비한 기초적인 지식 교육도 맞춤형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을 위해서 국어 교과는 도구 교과로서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기능을 학습 방법과도 연계하여 정보를 습득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내면화할 수 있는 능력도 성취기준에 반영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학생들의 동기가 유발될 수 있도록 그들의 필요성과 목적에 맞게 성취기준을 설정하여 수업에 참여할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학업 성취가 높은 학생들을 위해서는 자신의 전공과 연결 짓는 것이 중요하고, 학업 성취가 낮은 학생들에게는 자신의 삶과 관련을 지어 개별화된 과제를 제공하여 난이도를 맞출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 각자 자신의 성향에 맞는 개별화된 과제를 제공하여 선택할 수 있게 성취기준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학교 졸업생들의 일반적인 취업과 진학의 성향과 종류를 파악하여 해당 취업처와 대학 진학에 필요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공통으로 필요한 능력과 개별적으로 필요한 능력으로 나누어 각각의 역량을 병행하여 키울 수 있도록 고려하여 학교 단위의 성취기준을 설정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문학의 경우 본래의 문학 교육의 목적인 자기 자신에 대한 성찰과 타인의 이해를 통해 공동체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힘을 기르도록 성취기준을 설정하여야 할 것이다. 문학 영역의 성취기준에서도 학생들에게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자신이 기르고자 하는 역량을 키울 수 있게 맞춤형 과제가 제공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문학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설정할 때에도 문학을 제재를 활용하여 취업을 희망하는 학습자들에게는 이해 능력인 듣기와 읽기 능력에 관하여, 진학을 희망하는 학습자들에게는 표현 능력인 말하기와 쓰기 그리고 문법 능력에 관한 역량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실제적인 국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수 확보가 필요하고, 수업 시간에는 정답이 없는 개방형 과제를 제공하여 다른 학생들과 협력하며 해결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평가에서도 선다형 지필 평가의 비중을 줄이고, 과정형 수행평가의 비중을 높여 배우는 과정에서 피드백을 받아 학생의 성장과 발전을 도울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성취기준을 설정할 때는 학교 단위의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역량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국어 시간에는 어떤 역량을 키울 수 있을지 파악 후 그 역량을 키우기에 적합한 수업 방법과 평가 방법을 함께 계획하여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정리하자면 특성화고에 적합한 국어과 성취 기준을 설정할 때에는 우선 학습자들의 특성을 파악하여 그들에게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 역량을 어떻게 키울 것인지를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국어’와 ‘실용 국어’ 과목에서 제시하고 있는 국가 단위의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해당 학교의 학생들에게 맞게 학교 단위의 성취기준으로 재구성하여야 한다. 이때, 학습자들에게 필요로 하는 역량과 학습 요소가 무엇인지 추출하여, 어떻게 그 역량을 키울 수 있을지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학생들의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는 교과서에 나오는 학습 요소를 단편적으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교과 내 또는 교과 간 융합을 통하여 어떠한 주제를 중심으로 학습자들 개인의 삶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취기준을 설정할 때는 이렇게 학습자들 개인의 삶과 연결이 되어 학습의 동기가 유발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렇게 설정된 성취 기준은 반드시 수업과 평가와 일체화되어 학생들이 키우고자 하는 역량을 중심으로 수업이 진행되고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밑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다.
졸업생들의 요구는 곧 재학생들의 미래에 갖추어야 할 역량이 무엇인지 알기 위한 중요한 잣대이므로 그들의 요구를 반영하는 성취기준 설정 방안을 통해 교사는 학생들의 어떤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고, 평가하면 될지 생각해 보고 방향을 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