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저출산 및 초고령화 사회에 대한 대응방안으로서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소고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저출산 및 초고령화 사회가 가속화 되면서, 구도심 쇠퇴와 인구의 감소 등으로 빈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빈집들은 근본적으로 인구감소와 고령화에 따른 인구이동...

      최근 저출산 및 초고령화 사회가 가속화 되면서, 구도심 쇠퇴와 인구의 감소 등으로 빈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빈집들은 근본적으로 인구감소와 고령화에 따른 인구이동에 의해 발생되며, 대부분은 주택의 노후화나 주거환경의 악화, 불량한 접근성 등으로 크게 증가하게 된다. 그로 인하여 빈집 주변은 쓰레기투기 등 주변생활 악화와 도시미관의 저해, 화재 ․ 붕괴 등의 위험증가, 범죄유발, 심각한 낙서나 기물훼손과 같은 반달리즘(Vandalism) 등이 발생하여 새로운 사회적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이나 영국에서도 이미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어 빈집에 대한 다양한 지원 정책과 제도들이 시행되고 있다. 실제 일본과 영국의 주택보급률은 115.2%와 106.1%이다. 우리나라의 주택보급률 역시 이미 2008년에 100%를 넘어섰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도 2017년 2월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이하 빈집특례법)이 제정되어, 2018년 2월 9일 시행을 앞두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의 법적 근거(Ⅱ)에 대해서 살펴 본 다음, 일본과 영국 등의 해외동향(Ⅲ) 및 우리나라의 현황(Ⅳ)에 대해 고찰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의 법적 근거
      • Ⅲ.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와 관련한 해외의 동향
      • Ⅳ.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와 관련한 우리나라의 현황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의 법적 근거
      • Ⅲ.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와 관련한 해외의 동향
      • Ⅳ.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와 관련한 우리나라의 현황
      • Ⅴ. 나오며
      • 참고문헌
      • 日文要約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2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13

      3 계희열, "헌법학(중)" 박영사 2007

      4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5

      5 하성규, "한국인의 주거 빈곤과 공공주택" 집문당 2007

      6 李殷祈, "프랑스의 주거기본권 실현형태로서의 사회주택에 관한 법적 고찰 : H.L.M.(저임료주택)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7 이은기, "주거기본법의 제정과 주거권, 그 함의" 한국공법학회 44 (44): 267-299, 2016

      8 이득진, "주거권의 헌법적 보장과 실현방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9 김남진, "재산권의 가치보장과 존속보장"

      10 남지현, "일본의 빈집형성의 원인과 대처 방안 - 일본 국토교통성의 장기우량주택등유지환경정비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학회 22 (22): 187-215, 2014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2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13

      3 계희열, "헌법학(중)" 박영사 2007

      4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5

      5 하성규, "한국인의 주거 빈곤과 공공주택" 집문당 2007

      6 李殷祈, "프랑스의 주거기본권 실현형태로서의 사회주택에 관한 법적 고찰 : H.L.M.(저임료주택)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7 이은기, "주거기본법의 제정과 주거권, 그 함의" 한국공법학회 44 (44): 267-299, 2016

      8 이득진, "주거권의 헌법적 보장과 실현방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9 김남진, "재산권의 가치보장과 존속보장"

      10 남지현, "일본의 빈집형성의 원인과 대처 방안 - 일본 국토교통성의 장기우량주택등유지환경정비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학회 22 (22): 187-215, 2014

      11 임준홍, "일본의 빈집정비 사례와 시사점"

      12 이동훈, "일본의 빈집문제 대응체계에 관한 고찰" 한국도시설계학회 18 (18): 51-61, 2017

      13 이재우, "영국의 빈집 정비‧활용 체계와 수단 고찰"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95-115, 2013

      14 나준영, "서울시 빈집현황과 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일반대학원

      15 김영, "생각, 더하다" 2017

      16 허전, "빈집대책조례의 의의와 쟁점" 법학연구소 27 (27): 33-57, 2016

      17 권혁삼, "빈집 활용과 임대주택 확충, 법안제정 동향" (109) : 2016

      18 한상훈, "방치건축물 정비를 위한 제도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 35 (35): 21-41, 2017

      19 김진하, "도시쇠퇴지역의 빈집 분포현황과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학회 32 (32): 105-122, 2016

      20 강미나, "농촌지역 빈집정비 실태와 정책방향" (434) : 2013

      21 조규범, "강제철거에서의 주거권 보호를 위한 입법론적 소고" 미국헌법학회 20 (20): 346-374, 2009

      22 岩﨑, "自治体の空き家対策の検証と今後の課題" 2017

      23 北村喜宣, "空家法の実施{と条例対応"

      24 北村喜宣, "空き家等の適正管理條例" 地域科學硏究會 2012

      25 박정훈, "日本의 住宅法制에 관한 硏究" 한국토지공법학회 22 : 159-194, 2004

      26 이현석, "住宅法과 社會保障法의 連繫" 한국토지공법학회 27 : 199-217, 2005

      27 南川和宣, "「空き家対策条例の制定にかかる行政法上の問題点" 岡山大学大学院法務研究科 2014

      28 Jessie, Hohmann, "The Right to Housing : Law, Concepts, Possibilities" Hart Publishing Ltd 2014

      29 K. Hesse, "Grundaüge des Verfassungsrechts"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5-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angwon Law Review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86 1.122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