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난시량에 따른 수차와 대비 감도가 시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Aberrations and Contrast Sensitivity due to the Amount of Astigmatism on Vi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095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the effect of aberrations and contrast sensitivity due to the amount of astigmatism on vision.
      Methods: 44 patients (males: 29, females: 15) of the mean age 21.0(±1.2) years without ocular disease were examined.
      The aberration was measured with a Wave-Front Analyzer KR-1W(TOPCON) instrument and the contrast sensitivity was measured with a Contrast Sensitivity Chart (HDC-9000N/PF, Huvitz). Results: High-order aberration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creasing astigmatism, a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differences of astigmatism axis.
      Contrast sensitivity was a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amount of astigmatism but it was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astigmatism axis. Contrast sensitivity in astigmatism correction also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pherical equivalent(S.E) correction and correction by cylinder lenses. Contrast sensitivity in same spatial frequency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E correction and correction by cylinder lenses. Conclusions: The contrast sensitivity was affected by the amount of astigmatism and the astigmatic correction method. The contrast sensitivity was not influenced by the astigmatism axis. And it needs to improve the quality of vision by raising the contrast sensitivity with accurate astigmatism correction.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was the effect of aberrations and contrast sensitivity due to the amount of astigmatism on vision. Methods: 44 patients (males: 29, females: 15) of the mean age 21.0(±1.2) years without ocular disease were examined. The aberration...

      Purpose: This study was the effect of aberrations and contrast sensitivity due to the amount of astigmatism on vision.
      Methods: 44 patients (males: 29, females: 15) of the mean age 21.0(±1.2) years without ocular disease were examined.
      The aberration was measured with a Wave-Front Analyzer KR-1W(TOPCON) instrument and the contrast sensitivity was measured with a Contrast Sensitivity Chart (HDC-9000N/PF, Huvitz). Results: High-order aberration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creasing astigmatism, a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differences of astigmatism axis.
      Contrast sensitivity was a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amount of astigmatism but it was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astigmatism axis. Contrast sensitivity in astigmatism correction also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pherical equivalent(S.E) correction and correction by cylinder lenses. Contrast sensitivity in same spatial frequency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E correction and correction by cylinder lenses. Conclusions: The contrast sensitivity was affected by the amount of astigmatism and the astigmatic correction method. The contrast sensitivity was not influenced by the astigmatism axis. And it needs to improve the quality of vision by raising the contrast sensitivity with accurate astigmatism corre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난시가 시력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수차와 대비 감도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는 평균 나이 21.0(±1.2)세의 44명(남:29명 여:15명)을 대상으로 검사하였다. 실험은 Wave-Front Analyzer KR-1W (TOPCON) 기기로 수차를 측정하였고 Contrast Sensitivity Chart(HDC-9000N/PF, Huvitz)로 대비 감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고위 수차는 난시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난시 축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는 유의하지 않았다. 대비 감도의 측정에서 난시량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난시 축으로 나누었을 때는 유의하지 않았다.
      난시량을 등가구면 교정하였을 때와 난시교정 했을 때 대비 감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등가구면 교정과 난시교정 하였을 때는 동일한 공간 주파수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비 감도는 난시량과 난시 교정방법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비 감도는 난시 축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정확한난시 교정으로 대비 감도를 높여 시력의 질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목적: 난시가 시력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수차와 대비 감도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는 평균 나이 21.0(±1.2)세의 44명(남:29명 여:15명)을 대상으로 검사하였다. 실험은 Wa...

      목적: 난시가 시력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수차와 대비 감도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는 평균 나이 21.0(±1.2)세의 44명(남:29명 여:15명)을 대상으로 검사하였다. 실험은 Wave-Front Analyzer KR-1W (TOPCON) 기기로 수차를 측정하였고 Contrast Sensitivity Chart(HDC-9000N/PF, Huvitz)로 대비 감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고위 수차는 난시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난시 축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는 유의하지 않았다. 대비 감도의 측정에서 난시량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난시 축으로 나누었을 때는 유의하지 않았다.
      난시량을 등가구면 교정하였을 때와 난시교정 했을 때 대비 감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등가구면 교정과 난시교정 하였을 때는 동일한 공간 주파수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비 감도는 난시량과 난시 교정방법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비 감도는 난시 축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정확한난시 교정으로 대비 감도를 높여 시력의 질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윤영, "한국인의 각막 파면고위수차에 관한 분석" 대한시과학회 14 (14): 279-288, 2012

      2 김재민, "콘택트렌즈와 안경 착용자의 대비감도 비교" 한국안광학회 12 (12): 119-125, 2007

      3 주헌식, "컴퓨터 사용 시간에 따른 초등학생의 시력저하 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1 (11): 477-486, 2011

      4 유영철, "연령에 따른 정상 대비감도" 대한안과학회 44 (44): 23-156, 2003

      5 정진호, "레이져 레이 트레이싱 방식 수차계와 쉑-하트만 방식 수차계의 임상 비교" 대한안과학회 47 (47): 1911-1919, 2006

      6 문귀형, "두 구면수차 제거 비구면 인공수정체 삽입안에서 임상결과 비교" 대한안과학회 51 (51): 670-676, 2010

      7 김현진, "다른 종류의 후낭 혼탁에서 ACV(Visual Capacity Analyzer)를 이용한 대비감도의 비교" 대한안과학회 45 (45): 11-11, 2004

      8 이민아, "구면과 토릭 소프트 렌즈로 교정한 약도 난시안의 대비감도와 눈부심" 한국안광학회 14 (14): 39-45, 2009

      9 Resan M, "Wavefront Aberrations, Advance in ophthalmology" Intech 191-204, 2012

      10 김진영, "RGP 렌즈의 형상에 따른 파면수차 분석" 대한시과학회 13 (13): 139-148, 2011

      1 송윤영, "한국인의 각막 파면고위수차에 관한 분석" 대한시과학회 14 (14): 279-288, 2012

      2 김재민, "콘택트렌즈와 안경 착용자의 대비감도 비교" 한국안광학회 12 (12): 119-125, 2007

      3 주헌식, "컴퓨터 사용 시간에 따른 초등학생의 시력저하 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1 (11): 477-486, 2011

      4 유영철, "연령에 따른 정상 대비감도" 대한안과학회 44 (44): 23-156, 2003

      5 정진호, "레이져 레이 트레이싱 방식 수차계와 쉑-하트만 방식 수차계의 임상 비교" 대한안과학회 47 (47): 1911-1919, 2006

      6 문귀형, "두 구면수차 제거 비구면 인공수정체 삽입안에서 임상결과 비교" 대한안과학회 51 (51): 670-676, 2010

      7 김현진, "다른 종류의 후낭 혼탁에서 ACV(Visual Capacity Analyzer)를 이용한 대비감도의 비교" 대한안과학회 45 (45): 11-11, 2004

      8 이민아, "구면과 토릭 소프트 렌즈로 교정한 약도 난시안의 대비감도와 눈부심" 한국안광학회 14 (14): 39-45, 2009

      9 Resan M, "Wavefront Aberrations, Advance in ophthalmology" Intech 191-204, 2012

      10 김진영, "RGP 렌즈의 형상에 따른 파면수차 분석" 대한시과학회 13 (13): 139-148, 2011

      11 Liang J, "Objective measurement of wave aberrations of the human eye with the use of a hartmann-shack wave-front sensor" 11 (11): 1949-1957, 1994

      12 Ginsburg AP, "Large sample norms for contrast sensitivity" 61 : 80-84, 1984

      13 Kang HS, "Introduction to Optometry" Sinkwang Publishing Company 188-, 2004

      14 Jindra LF, "Contrast sensitivity testing, A more complete assessment of vision" 15 : 141-148, 1989

      15 Ginsburg AP., "Contrast sensitivity and functional vis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43 (43): 5-15, 2003

      16 Cynthia Owsley., "Contrast sensitivity Ophthalmol" 16 : 171-177, 2003

      17 김정미, "Change of Spherical Aberration with Aspheric Soft Contact Lens Wear" 한국안광학회 17 (17): 365-372, 2012

      18 Ginsburg AP, "A new contrast sensitivity vision test chart" 61 : 403-407, 1984

      19 Yun CH, "A Comparative Study of High School Students Visual Atten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Ophalmic Optics Society -> The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8 0.691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