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대의민주제의 대안 내지 보완방안으로 직접민주제가 제시되는 것은 근대대의민주제가 국가의사결정을 대표자에게 양도하고, 이에 대한 국민의 통제도 간접적으로 행사할 수밖에 없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585821
2011
-
360
KCI등재
학술저널
255-289(35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근대대의민주제의 대안 내지 보완방안으로 직접민주제가 제시되는 것은 근대대의민주제가 국가의사결정을 대표자에게 양도하고, 이에 대한 국민의 통제도 간접적으로 행사할 수밖에 없어 ...
근대대의민주제의 대안 내지 보완방안으로 직접민주제가 제시되는 것은 근대대의민주제가 국가의사결정을 대표자에게 양도하고, 이에 대한 국민의 통제도 간접적으로 행사할 수밖에 없어 국민주권원리가 형해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우리헌법도 이러한 배경에서 직접민주제에 해당하는 국민투표제를 채택하고 있다. 헌법 제72조의 정책국민투표와 헌법 제130조 제2항의 헌법개정투표가 그것이다.
헌법 제130조 제2항이 규정하는 국민투표는 헌법개정절차에서 주권자인 국민이 그 개정여부를 최종적으로 확정하는 절차로서 그 해석에 관하여 커다란 다툼이 없지만, 정책국민투표에 대해서는 헌법 제72조가 “대통령은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외교ㆍ국방ㆍ통일 기타 국가안위에 관한 중요정책을 국민투표에 붙일 수 있다.”라고만 규정하고 있을 뿐이어서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즉 국민투표의 발의권한이 대통령에 있음만을 분명히 하고 있지, 국민투표의 대상, 요건 내지 효력에 대해서는 명확한 규정이 없어 해석에 있어 다툼의 여지를 두고 있다. 실제로도 지난 수년 동안 이를 둘러싸고 정치적인 공방이 벌어지기도 했다. 결국 헌법 제72조의 정책 국민투표의 성격과 대상, 요건 내지 효력 등은 헌법의 전체체계와의 유기적 관련, 국민투표제도의 역사적 경험과 기능, 정치문화적 환경을 고려하는 해석론을 통하여 규명되어야 하는 과제라고 하겠다. 이 과제와 관련하여 이 글은 먼저 헌법 제72조 정책국민투표와 관련된 종전의 논의를 자세히 검토하고, 정책국민투표의 기능을 바탕으로 정책국민투표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모색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현실에서 현행헌법이 규정하고 있는 직접민주주의의 대표적인 제도인 정책국민투표가 어느 정도 기능을 할 수 있는가는 회의적이다. 이중 가장 큰 문제는 정책국민투표의 부의권자가 대통령에 국한되어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권자에 의하여 제안되는 국민투표에서 국민이 정치적 영향력을 실제로 행사할 수 경우는 드물고, 국민투표의 결과는 집권자의 의도대로 나타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역기능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언론의 자유와 공정한 투표가 전제조건이 되며, 국민이 실제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국민발의나 국민거부와 같은 제도의 보완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로써 정책국민투표는 대통령의 위기관리수단으로만 행사되는 것이 아니라, 국민에게 정치적 참여의 기회를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국민의 정치적 기본권으로서의 본래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ticle 72 of the Korean Constitution clearly states that the president can hold a referendum on “important policies” relating to the national interest such as diplomacy, national defence, or unification, only if he feels it necessary to do so. It...
Article 72 of the Korean Constitution clearly states that the president can hold a referendum on “important policies” relating to the national interest such as diplomacy, national defence, or unification, only if he feels it necessary to do so. It also defines the president's referendum on “important policies”. A referendum can show the justification of a democratic government as well as a dictatorial government. It can also supplement or exacerbate both the functions of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the party system. Thus, preconditions like freedom of speech and a fair vote are needed for the proper function of the referendum on “important policies”. In addition, the most important problem is how to reconcile the democratic aspects for maximizing participation with the needs of the political system for rational and effective decision-making.
In reality, it is doubtful that the referendum has played a certain role as the representative system for the direct democracy that the Constitution of Korea defines. Related to the referendum,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limitation of Article 72 of the Constitution that defines the referendum on “important policies”.
The biggest problem is that the person who has the right for referring to the referendum on important policies is confined to the president. In general, it is rare for the people to exercise their political influence under the referendum offered by the leader, and the result is that the referendum would appear as the leader intended. In order to prevent these adverse effects of the referendum, more than all, some political processes like the initiative or the abrogative referendum are needed for the people to exercise their political influence. Therefore, the referendum on “important policies” could perform the basic function that ensures the opportunities of political participation for the people in an institutional sett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전, "현행헌법상의 국민투표제" 충북대법학연구소 1 (1): 1989
2 정종섭, "헌법학원론 제6판" 박영사 2011
3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07
4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0
5 변종화, "헌법학개론" 두오출판미디어 2007
6 홍성방, "헌법학(상)(중)(하)" 박영사 2010
7 성낙인, "헌법학 제11판(개정판)" 법문사 2011
8 한태연, "헌법학" 법문사 1973
9 백윤철, "헌법요해" 신영사 2002
10 양건, "헌법강의" 법문사 2011
1 허전, "현행헌법상의 국민투표제" 충북대법학연구소 1 (1): 1989
2 정종섭, "헌법학원론 제6판" 박영사 2011
3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07
4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0
5 변종화, "헌법학개론" 두오출판미디어 2007
6 홍성방, "헌법학(상)(중)(하)" 박영사 2010
7 성낙인, "헌법학 제11판(개정판)" 법문사 2011
8 한태연, "헌법학" 법문사 1973
9 백윤철, "헌법요해" 신영사 2002
10 양건, "헌법강의" 법문사 2011
11 황도수, "헌법 제72조 국민투표의 법적 성격 - 레퍼렌덤과 플레비시트의 구분"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6 (16): 571-598, 2010
12 전광석, "한국헌법론 제7판" 집현재 2011
13 음선필, "한국헌법과 국민투표" 한국토지공법학회 33 : 441-464, 2006
14 김호기, "한국 시민사회의 현단계와 참여민주주의의 과제, In 한국시민사회와 참여민주주의" 참여사회연구소 1998
15 김종서, "직접민주제소고" 배제대학교 비교법연구소 3 : 2008
16 김선택, "정책국민투표의 성격과 효력" 헌법재판소 11 : 2000
17 김선택, "재신임국민투표의 법률적 무의미성과 정치적 유의미성" 한국공법학회 32 (32): 21-54, 2004
18 갈봉근, "유신헌법론" 한국헌법학회 출판부 1977
19 이경주, "유권자의 권리찾기, 국민소환제" 책세상 2005
20 안성호, "스위스연방민주주의연구" 대영문화사 2001
21 한태연, "레퍼렌덤과 뿔레비시뜨" 동아대법학연구소 (5) : 1987
22 음선필, "대통령 재신임 국민투표의 위헌성 논의" 한국공법학회 32 (32): 55-86, 2004
23 박병섭, "대의제에 대한 비판적 연구" 민주주의법학연구회 (14) : 1998
24 박경철, "대의민주주의국가에서 직접민주제적 제도의 헌법적 의미" 한국토지공법학회 29 : 483-510, 2005
25 김병록, "국민투표제도소고: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연세법학회 8 (8): 2001
26 김대현, "국민투표의 이론과 그 실시사례" 국회사무처 (176) : 1989
27 박인수, "국민투표에 관한 헌법이론적 연구" 한국공법학회 19 : 1991
28 구병삭, "국민투표" 민음사 1991
29 조재현, "新行政首都特別法 違憲決定에 대한 批判的 檢討 -관습헌법의 변경절차와 국민투표권" 한국토지공법학회 27 : 387-408, 2005
30 Hermann K. Heussner, "Volksgesetzgebung in den USA und in Deutschland" Carl Heymanns Verlag 1992
31 Otmar Jung, "Volksgesetzgebung in Deutschland" 15 : 1987
32 Roland Geitmann, "Volksentscheide auch Bundesebene" 4 : 1988
33 Peter Krause, "Verfassungsrechtliche Möglichkeiten unmittelbarer Demokratie, In Handbuch des Staatsrechts Bd.II" C.H.Müller Juristische Verlag 39-, 1987
34 Ekkehart Stein, "Staatsrecht, Tübingen, Art.20 Abs.1-3 II, In Kommentar zum Grundgesetz für die Bundesrepublik Deutschland (Alternativkommentar) Bd.I" Hermann Luchterhand Verlag 1989
35 Ekkehart Stein, "Staatsrecht" J.C.B.Mohr(Paul Siebeck) 1990
36 Gunther Jürgens, "Direkte Demokratie in den Bundesländern" Richard Boorberg Verlag 1992
37 Joachim Giehl, "Direkte Demokratie Verfassungsrechtliche, verfassungshistorische Überlegungen zu einer Einführung plebiszitärer Elemente auf Bundesebene" 독일 뮌헨대학교 1996
38 W. Schmitt Glaeser, "Die grundrechtliche Freiheit des Bürgers zur Mitwirkung an der Willensbildung, In Handbuch des Staatsrechts Bd.II" C.H.Müller Juristische Verlag 31-, 1987
미국 헌법재판제도의 성립의 초기배경 및 마샬 대법원장의 헌법재판권 정당화 논의의 재조명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2 | 1.02 | 0.8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9 | 0.87 | 0.967 | 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