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특별자치도 사례를 중심으로 본 도시외교의 방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767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글로벌화 된 오늘날 세계의 주요 특징 가운데 하나는 도시가 주체가 되는 국제적인교류·협력의 활성화이다. 국가를 초월해서 도시 간 국제적 연대가 점차 확대되면서 도시외교(city diplomacy)나 지방외교(local diplomacy) 같은 신조어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 글은 중국의 부상에 따른 동북아 환경 변화가 한편으로는 동북아의 안보정세를 유동적으로 만들고, 다른 한편으로는 역내 국가들에게 경제적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정세 인식을 기초로 도시외교를 통한 도시 발전의 활로를 모색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따라서 이 글은 제주특별자치도 사례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동북아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조응한 도시발전, 특히 도시외교정책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도시외교 차원에서 경제 도시외교, 평화 도시외교, 소프트파워 도시외교 등 세 부문으로 나누어 제주의 발전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번역하기

      글로벌화 된 오늘날 세계의 주요 특징 가운데 하나는 도시가 주체가 되는 국제적인교류·협력의 활성화이다. 국가를 초월해서 도시 간 국제적 연대가 점차 확대되면서 도시외교(city diplomacy)�...

      글로벌화 된 오늘날 세계의 주요 특징 가운데 하나는 도시가 주체가 되는 국제적인교류·협력의 활성화이다. 국가를 초월해서 도시 간 국제적 연대가 점차 확대되면서 도시외교(city diplomacy)나 지방외교(local diplomacy) 같은 신조어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 글은 중국의 부상에 따른 동북아 환경 변화가 한편으로는 동북아의 안보정세를 유동적으로 만들고, 다른 한편으로는 역내 국가들에게 경제적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정세 인식을 기초로 도시외교를 통한 도시 발전의 활로를 모색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따라서 이 글은 제주특별자치도 사례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동북아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조응한 도시발전, 특히 도시외교정책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도시외교 차원에서 경제 도시외교, 평화 도시외교, 소프트파워 도시외교 등 세 부문으로 나누어 제주의 발전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기준, "헬싱키와 제주: 그리고 핵 프로세스" 2009

      2 김현철, "해외제주인 네트워크 구축" 제주특별자치도 2008

      3 장세길, "친선교류에서 지방외교로: 전라북도 사례로 본 지방외교의 형성과 변화" 사회과학연구소 16 (16): 462-495, 2008

      4 문정인, "제주프로세스의 추진: 그 이상과 현실" 2009

      5 고봉준, "제주프로세스 추진 방향에 대한 일고: 네트워크 이론의 관점에서" 2009

      6 고성윤, "제주프로세스 구상과 OSCE의 협력 방향에 대한 고찰" JPI 2007

      7 백승주, "제주도 발전을 위한 민선 6기 도정의 과제" 2014

      8 제주도,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2002~2011)" 2002

      9 정수연, "제주국제자유도시 투자유치제도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17) : 315-351, 2013

      10 제주도, "제주 세계평화의 섬 지정계획(1월)" 2005

      1 홍기준, "헬싱키와 제주: 그리고 핵 프로세스" 2009

      2 김현철, "해외제주인 네트워크 구축" 제주특별자치도 2008

      3 장세길, "친선교류에서 지방외교로: 전라북도 사례로 본 지방외교의 형성과 변화" 사회과학연구소 16 (16): 462-495, 2008

      4 문정인, "제주프로세스의 추진: 그 이상과 현실" 2009

      5 고봉준, "제주프로세스 추진 방향에 대한 일고: 네트워크 이론의 관점에서" 2009

      6 고성윤, "제주프로세스 구상과 OSCE의 협력 방향에 대한 고찰" JPI 2007

      7 백승주, "제주도 발전을 위한 민선 6기 도정의 과제" 2014

      8 제주도,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2002~2011)" 2002

      9 정수연, "제주국제자유도시 투자유치제도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17) : 315-351, 2013

      10 제주도, "제주 세계평화의 섬 지정계획(1월)" 2005

      11 제주특별자치도, "제2차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2011

      12 고경민, "재외도민과 지방의 글로벌 네트워크 : ‘제상대회’ 사례와 제주의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방향" 한국동북아학회 15 (15): 263-295, 2010

      13 라도삼, "소프트 파워 강화를 위한 서울시 추진전략" 2010

      14 차우진, "민선5기 도정목표와 방침, 그리고 과제" (가을) : 4-9, 2010

      15 고경민, "공적개발원조(ODA)와 국익: 한국 ODA 정책의 발전을 위한 함의" 극동문제연구소 26 (26): 95-128, 2010

      16 평화협력과, "공약사업 세부실천계획"

      17 Brzezinski, Zbigniew, "거대한 체스판: 21세기 미국의 세계전략과 유라시아" 삼인 2002

      18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 "개방・연계・화합의 신성장지대 구축을 위한 초광역개발권 발전 추진방향"

      19 이용완, "‘수출 1조원시대’를 향한 정책적 제언" (가을) : 10-19, 2010

      20 Ahn, Choong Young, "Transborder Regional Cooperation for East Asia Community Building" 7 : 7-9, 2010

      21 D’Amore, Louis, "Tourism: A Vital Force for Peace" 9 (9): 1988

      22 Davenport, David, "The New Diplomacy" 116 : 17-30, 2002

      23 United Cities and Local Governments, "The Hague Agenda on City Diplomacy"

      24 Glocal Forum, "The Glocalization Manifesto"

      25 Langhorne, Richard, "The Diplomacy of Non-State Actors" 16 (16): 331-339, 2005

      26 Yang, Kee-Ho, "Summary: Institutional Framework for Supporting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7 : 7-9, 2010

      27 Glocal Forum, "Glocalization: Research Study and Policy Recommendations" 2003

      28 Newsom, David D, "Diplomacy And The American Democracy" Indiana University Press 1988

      29 Sizoo, Alexandra, "Concept Paper on City Diplomacy" Committee on City Diplomacy, Peace-Building of United Cities and Local Governments Policy Statement 2007

      30 van der Pluijm, R, "City Diplomacy: the Expanding Role of Cities in International Politics" 2007

      31 van der Pluijm, Rogier, "City Diplomacy: The Expanding Role of Cities in International Politics" April, Netherlands Institute of International Relations 2007

      32 Sizoo, Alexandra, "City Diplomacy" VNG International 7-25, 2008

      33 김태환, "21세기 신공공외교와 포럼외교" 2011 (2011): 1-18,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3-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5 0.904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