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삼국유사』 소재 불화 기록과 신라의 불화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삼국유사』 속 불화 기록을 통해 신라시대 불화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삼국유사』속 불화 기록은 8점에 불과하지만 기록은 대부분 벽화인 것으로 보아 당시에는 벽에 거는 ...

      본고는 『삼국유사』 속 불화 기록을 통해 신라시대 불화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삼국유사』속 불화 기록은 8점에 불과하지만 기록은 대부분 벽화인 것으로 보아 당시에는 벽에 거는 족자형 불화보다는 전각의 내부 혹은 외벽에 그리는 벽화가 유행한 듯하다.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불화의 주제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6세기 말~7세기 초 안흥사에 벽화로 그려졌던 53佛圖, 六類聖衆圖, 諸 天神圖, 五嶽神君圖로 이를 통해 사찰에 불교와 민간신앙적인 그림들이 함께 봉안되었으며, 또 이곳에서 占察法會를 열었다는 것으로 보아 불교의식과 관련된 불화가 조성되었음을 말해준다. 둘째, 미륵불화와 미륵보살도가 많이 조성되었는데, 그것은 미륵신앙이 우세했던 신라 불교신앙의 경향과도 부합된다. 또한 미륵관련 불화는 대부분 神異的인 이야기와 결부되어 ‘기적을 일으키거나’ ‘영험을 지닌’ 존상으로서 신앙되었음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관음보살도에 대한 기록이 많은데, 눈먼 아이의 눈을 뜨게 한 분황사의 千手觀音壁畵를 비롯하여 웃음으로 경흥법사의 병을 고쳐준 11면관음보살도처럼 관음보살도 역시 영험과 관련되어 기록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처럼 『삼국유사』 속 신라시대 불화에 관한 기록은 대부분 神異 및 靈驗과 관련되어 있다. 많은 불화들이 영험을 보였다는 것은 불화 속 불, 보살의 모습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었음을 짐작케 한다. 화려한 채색과 금을 써서 사실적으로 그린 불, 보살의 모습은 실제로 불, 보살이 현신한 것처럼 느끼게 했을 것이며, 이것은 곧 불, 보살을 그린 그림이 영험을 보인다고 믿게 했을 것이다. 즉 당시 불화는 단순히 예배대상 또는 사원을 장식하는 그림을 넘어서 신라인들에게 종교적인 영험과 기적을 보여주는 마법의 그림 바로 그 자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Shilla era through records related to Buddhist paintings appearing in “Samgukyusa (the Heritage of the Three Kingdoms History)”. There are only 10 records related to Buddha paint...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Shilla era through records related to Buddhist paintings appearing in “Samgukyusa (the Heritage of the Three Kingdoms History)”. There are only 10 records related to Buddha paintings in “Samgukyusa”, but most of the records are considered to be mural paintings, showing that at that time, mural paintings on the interior or exterior walls of the pavilion seemed more popular than the hanging Buddha paintings on the wall. The subject of Buddha paintings in “Samgukyusa”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in the late 6th century and early 7th century, there were 53 Buddhas painting, which were painted as mural paintings at Ahnheungsa temple, and mural paintings of six sacred groups(六類聖衆), various heavenly gods(諸 天神), and 5 Mountain’s gods(五嶽神君), and through this, it is believed that Buddhist and folk faith paintings were enshrined together in temples, and that penitentiary rites(占察法會) was held here, indicating that Buddha paintings related to Buddhist rituals were created. Second, many Maitreya Buddha paintings and Maitreya Bodhisattva paintings were created, and it is also consistent with the tendency of the Shilla Buddhist faith, where the Maitreya faith predominated. In addition, Buddha paintings related to Maitreya are mostly associated with miraculous stories,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y were worshiped as ‘raising a miracle’ or worship images ‘having a divine response’. Third, there are many records of Avalokiteśvara painting, including Thousand‐Armed Avalokiteśvara Mural Painting at Bunhwangsa temple, which opened the eyes of blind children, and like 11‐faced‐Avalokiteśvara‐painting, which healed Monk Gyeongheung’s disease with laughter, most of the Avalokiteśvara paintings were recorded in relation to divine responses.
      Most of the records of Buddha paintings of Shilla era in “Samgukyusa” are related to miracle(神異) and divine response(靈驗). The fact that many Buddha paintings showed a divine response suggests that the appearance of Buddha or Bodhisattva in Buddha paintings is a realistic expression. The realistic appearance of Buddha or Bodhisattva, painted in brilliant colors and gold, would have made people feel as if the Buddha or Bodhisattva was actually incarnated, which would soon have convinced the Buddha or Bodhisattva painting to show a divine response. In other words, Buddha paintings at that time went beyond simply paintings to decorate objects of worship or temples, and they were the magical painting itself, showing the religious divine response and miracle to the Shilla peop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삼국유사』 소재 불화 기록
      • Ⅲ. 『삼국유사』 소재 불화의 도상과 내용
      • Ⅳ. 『삼국유사』를 통해 본 신라 불화의 특징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삼국유사』 소재 불화 기록
      • Ⅲ. 『삼국유사』 소재 불화의 도상과 내용
      • Ⅳ. 『삼국유사』를 통해 본 신라 불화의 특징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희, "한국의 千手觀音 信仰과 千手觀音圖" 한국정토학회 (17) : 149-196, 2012

      2 강희정, "통일신라 관음보살상 연구 시론" 인문학연구원 (63) : 3-33, 2010

      3 강삼혜, "토함산석굴의 11면관음보살상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4) : 65-96, 2015

      4 주수완, "토함산 석굴 문수·보현보살상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4) : 97-120, 2015

      5 김혜완, "신라의 화랑과 미륵신앙의 관계에 대한 연구-반가사유상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사학회 3 : 1978

      6 홍선표, "신라의 조각과 회화" 경상북도 2016

      7 김정희, "신라의 조각과 회화" 경상북도 2016

      8 박남수, "신라 하대 흥륜사 벽화 보현보살상과 순지의 보현행"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36 : 2015

      9 김영태, "신라 진흥왕대의 信佛과 그 사상 연구"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5 : 1967

      10 박광연, "신라 진표(眞表)의 미륵신앙 재고찰" 불교학연구회 37 : 273-304, 2013

      1 김정희, "한국의 千手觀音 信仰과 千手觀音圖" 한국정토학회 (17) : 149-196, 2012

      2 강희정, "통일신라 관음보살상 연구 시론" 인문학연구원 (63) : 3-33, 2010

      3 강삼혜, "토함산석굴의 11면관음보살상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4) : 65-96, 2015

      4 주수완, "토함산 석굴 문수·보현보살상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4) : 97-120, 2015

      5 김혜완, "신라의 화랑과 미륵신앙의 관계에 대한 연구-반가사유상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사학회 3 : 1978

      6 홍선표, "신라의 조각과 회화" 경상북도 2016

      7 김정희, "신라의 조각과 회화" 경상북도 2016

      8 박남수, "신라 하대 흥륜사 벽화 보현보살상과 순지의 보현행"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36 : 2015

      9 김영태, "신라 진흥왕대의 信佛과 그 사상 연구"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5 : 1967

      10 박광연, "신라 진표(眞表)의 미륵신앙 재고찰" 불교학연구회 37 : 273-304, 2013

      11 김창호, "신라 興輪寺의 伽藍 배치 문제" 신라문화연구소 (20) : 139-152, 2002

      12 김민구, "閔漬와 楡岾寺 五十三佛의 成立" 불교문화연구원 (55) : 567-604, 2010

      13 홍승기, "觀音信仰과 新羅社會"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8 : 1976

      14 정병삼, "統一新羅 觀音信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8 : 1982

      15 김혜완, "新羅 下代의 彌勒信仰" 성균관대학교 사학회 8 : 1992

      16 조인성, "彌勒信仰과 新羅社會:眞表의 彌勒信仰과 新羅末 農民蜂起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4 : 1997

      17 신종원, "圓光과 眞平王代의 占察法會"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2 : 1991

      18 박형국, "中國における騎獅文殊と騎象普賢の成立と一對化過程に關する一試論" 密敎圖像學會 23 : 2004

      19 김열규, "三國遺事의 神話論的인 문제점" 신라문화선양회 1 : 1980

      20 "三國遺事(卷第3 塔像篇, 卷第4 義解篇, 卷第5 神呪篇, 卷第5 感通篇)"

      21 김영태, "三國遺事 所傳의 觀音信仰" 신라문화선양회 1 : 1980

      22 라정숙, "『삼국유사』를 통해 본 신라와 고려의 관음신앙" 한국역사연구회 (71) : 153-184, 2009

      23 최성은, "『삼국유사』를 통해 본 분황사(芬皇寺)의 중대신라 불교미술" 국립문화재연구소 47 (47): 136-161, 2014

      24 양정석, "『三國遺事』 所載 芬皇寺 關聯 史料를 통해 본 芬皇寺址의 재검토"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37 : 2016

      25 신종원, "<<三國遺事>>에 실린 芬皇寺觀音菩薩 說話 譯註" 신라문화선양회 20 : 1999

      26 박광연, "7~8세기 신라 미륵상 조상의 역사적 의미" 이화사학연구소 (50) : 175-200,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 0.831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