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남방언의 합성명사에서 의미 보충 양상 = Aspects of semantic supplementation in compound nouns of Jeonnam Dial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462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전남방언의 합성명사를 대상으로 하여, 의미를 중복하거나 의미를 보충하는 어기를 추가하여 합성명사를 이루는 양상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그동안 동의 중복현상이나 의미 보충 어휘는 잉여성을 가진 어휘로 간주하여 쓸모없는 말이라는 의미로 해석될 여지가 있었다. 본고는 이러한 합성명사를 의미핵에 대한 의미 보충 양상으로 보고 방언 화자들의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보고자 한다.
      전남방언의 합성명사에서 의미 보충 양상을 살피면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합성명사의 N1과 N2가 동의 중복으로 의미를 보충하는 유형이 있다(게와주마니, 숭허물). 또한 N1과 N2가 결합하여 합성명사가 될 때 N2가 의미핵이 되고 N1이 의미 보충을 하는 유형(데광주리, 독자갈)이 있다. 반대로 N1과 N2가 결합하여 합성명사가 될 때 N1이 의미핵이 되고 N2가 의미 보충을 하는 유형(가레춤, 구시통)이 있다.
      합성명사를 어종을 기준으로 하여 [고유어+고유어] 구성, [고유어+한자어] 구성, [한자어+고유어] 구성으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한다. [고유어+고유어] 구성에서 동의 중복은 방언형끼리의 결합, 방언형과 표준어의 결합, 표준어끼리 결합하는 모습을 보이고 이러한 유형은 전남방언 합성명사의 중요한 특징이 된다. [한자어+고유어] 구성에서 많은 예가 보였는데 이는 주로 한자어의 일부를 고유어로 결합하는 형태로 쓰이면서 의미핵에 의미를 보충해주어 의미 투명성을 높이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N1이나 N2를 추가하여 의미를 보충하는 양상은 의미핵이 가진 ‘재료’, ‘용도’, ‘속성’ 등을 추가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N1과 N2의 의미관계가 ‘상위어-하위어’, ‘하위어-상위어’ 관계를 이루는 유형도 볼 수 있어서 동일한 의미장에 있는 어휘를 선택하여 의미를 보충하는 양상을 살필 수 있다.
      본고는 그동안 잉여적이라 여겨져 왔던 동의 중복이나 N1, N2 추가형을 화자가 의미 보충을 위해 결합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전남방언의 합성명사를 대상으로 그 양상을 구분하여 어종별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전남방언의 합성명사를 대상으로 하여, 의미를 중복하거나 의미를 보충하는 어기를 추가하여 합성명사를 이루는 양상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그동안 동의 중복현상이나 의미 ...

      이 연구는 전남방언의 합성명사를 대상으로 하여, 의미를 중복하거나 의미를 보충하는 어기를 추가하여 합성명사를 이루는 양상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그동안 동의 중복현상이나 의미 보충 어휘는 잉여성을 가진 어휘로 간주하여 쓸모없는 말이라는 의미로 해석될 여지가 있었다. 본고는 이러한 합성명사를 의미핵에 대한 의미 보충 양상으로 보고 방언 화자들의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보고자 한다.
      전남방언의 합성명사에서 의미 보충 양상을 살피면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합성명사의 N1과 N2가 동의 중복으로 의미를 보충하는 유형이 있다(게와주마니, 숭허물). 또한 N1과 N2가 결합하여 합성명사가 될 때 N2가 의미핵이 되고 N1이 의미 보충을 하는 유형(데광주리, 독자갈)이 있다. 반대로 N1과 N2가 결합하여 합성명사가 될 때 N1이 의미핵이 되고 N2가 의미 보충을 하는 유형(가레춤, 구시통)이 있다.
      합성명사를 어종을 기준으로 하여 [고유어+고유어] 구성, [고유어+한자어] 구성, [한자어+고유어] 구성으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한다. [고유어+고유어] 구성에서 동의 중복은 방언형끼리의 결합, 방언형과 표준어의 결합, 표준어끼리 결합하는 모습을 보이고 이러한 유형은 전남방언 합성명사의 중요한 특징이 된다. [한자어+고유어] 구성에서 많은 예가 보였는데 이는 주로 한자어의 일부를 고유어로 결합하는 형태로 쓰이면서 의미핵에 의미를 보충해주어 의미 투명성을 높이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N1이나 N2를 추가하여 의미를 보충하는 양상은 의미핵이 가진 ‘재료’, ‘용도’, ‘속성’ 등을 추가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N1과 N2의 의미관계가 ‘상위어-하위어’, ‘하위어-상위어’ 관계를 이루는 유형도 볼 수 있어서 동일한 의미장에 있는 어휘를 선택하여 의미를 보충하는 양상을 살필 수 있다.
      본고는 그동안 잉여적이라 여겨져 왔던 동의 중복이나 N1, N2 추가형을 화자가 의미 보충을 위해 결합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전남방언의 합성명사를 대상으로 그 양상을 구분하여 어종별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ompound nouns in Jeonnam Dialect are formed by adding redundant or semantic complementary words. In the past, the phenomenon of agreement redundancy and semantic complementary words have been considered as surplu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redundancies. In this paper, it is considered whether these compound nouns function as semantic supplements to semantic nuclei, which can be interpreted as implications of dialect speakers' intentions.
      There are three types of semantic supplementation in Jeonnam dialect compound nouns. First, there are types in which N1 and N2 of a compound noun supplement the meaning by agreeing redundancy (Gewajumani, Sungheumul). Also, when N1 and N2 combine, N2 becomes the meaning core and N1 supplements the meaning (Dejwangjuri, Dokjagal). Conversely, when N1 and N2 are combined, N1 is the semantic core and N2 is the semantic supplement (Garechum, Gusitong).
      The compound nouns are divided into [native + native language], [native + Chinese], and [Chinese + native language] based on language type. Through this, it was noted that agreement reduplication is a combination of dialectal forms, a combination of dialectal forms and a central language, and a combination of central languages, and agreement reduplication is an important feature of Jeonnam dialectal compound nouns. The aspect of supplementing the meaning by adding N1 or N2 tends to increase the semantic transparency of the compound noun by adding 'material', 'use', 'property', etc. of the semantic core. It may also be seen that the semantic relationships between N1 and N2 are often 'parent-subordinate' and 'subordinate-superordinate'. Thus, it can easily be visualized how the meaning is supplemented by selecting words in the same semantic fiel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onsiders agreement redundancy and N1 and N2 additions, to be combined by speakers to supplement meaning, and examines these aspects of compound nouns in Jeonnam dialects, separating them by language typ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ompound nouns in Jeonnam Dialect are formed by adding redundant or semantic complementary words. In the past, the phenomenon of agreement redundancy and semantic complementary words have been considered a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ompound nouns in Jeonnam Dialect are formed by adding redundant or semantic complementary words. In the past, the phenomenon of agreement redundancy and semantic complementary words have been considered as surplu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redundancies. In this paper, it is considered whether these compound nouns function as semantic supplements to semantic nuclei, which can be interpreted as implications of dialect speakers' intentions.
      There are three types of semantic supplementation in Jeonnam dialect compound nouns. First, there are types in which N1 and N2 of a compound noun supplement the meaning by agreeing redundancy (Gewajumani, Sungheumul). Also, when N1 and N2 combine, N2 becomes the meaning core and N1 supplements the meaning (Dejwangjuri, Dokjagal). Conversely, when N1 and N2 are combined, N1 is the semantic core and N2 is the semantic supplement (Garechum, Gusitong).
      The compound nouns are divided into [native + native language], [native + Chinese], and [Chinese + native language] based on language type. Through this, it was noted that agreement reduplication is a combination of dialectal forms, a combination of dialectal forms and a central language, and a combination of central languages, and agreement reduplication is an important feature of Jeonnam dialectal compound nouns. The aspect of supplementing the meaning by adding N1 or N2 tends to increase the semantic transparency of the compound noun by adding 'material', 'use', 'property', etc. of the semantic core. It may also be seen that the semantic relationships between N1 and N2 are often 'parent-subordinate' and 'subordinate-superordinate'. Thus, it can easily be visualized how the meaning is supplemented by selecting words in the same semantic fiel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onsiders agreement redundancy and N1 and N2 additions, to be combined by speakers to supplement meaning, and examines these aspects of compound nouns in Jeonnam dialects, separating them by language typ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명희, "혼성어(混成語) 형성 방식에 대한 고찰" 국어학회 (58) : 255-281, 2010

      2 노명희, "한자어의 구성성분과 의미 투명도" 국어학회 (51) : 89-113, 2008

      3 박은경, "전남방언의 합성명사 연구" 순천대학교 2023

      4 이기갑, "전남방언사전" 전라남도 1997

      5 신희삼, "잉여현상의 양상과 해석" 6 : 203-221, 1998

      6 최호철, "의소(義素)와 이의(異義)에 대하여" 25 : 77-98, 1995

      7 임지룡, "의미중복에 대하여" 8 : 35-60,

      8 김정남, "의미 투명성과 관련한 국어의 제 현상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회 22 : 1-23, 2007

      9 엄태현, "의미 중복 표현에 대한 한국어-루마니아어 비교연구" 동유럽발칸연구소 25 : 77-102, 2010

      10 기세관, "여수방언 개관" 6 : 29-79, 1997

      1 노명희, "혼성어(混成語) 형성 방식에 대한 고찰" 국어학회 (58) : 255-281, 2010

      2 노명희, "한자어의 구성성분과 의미 투명도" 국어학회 (51) : 89-113, 2008

      3 박은경, "전남방언의 합성명사 연구" 순천대학교 2023

      4 이기갑, "전남방언사전" 전라남도 1997

      5 신희삼, "잉여현상의 양상과 해석" 6 : 203-221, 1998

      6 최호철, "의소(義素)와 이의(異義)에 대하여" 25 : 77-98, 1995

      7 임지룡, "의미중복에 대하여" 8 : 35-60,

      8 김정남, "의미 투명성과 관련한 국어의 제 현상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회 22 : 1-23, 2007

      9 엄태현, "의미 중복 표현에 대한 한국어-루마니아어 비교연구" 동유럽발칸연구소 25 : 77-102, 2010

      10 기세관, "여수방언 개관" 6 : 29-79, 1997

      11 이태연, "복합명사의 어휘판단에 미치는 의미 투명도의 영향"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16 (16): 44-60, 2004

      12 이재인, "동의중복어의 구조" 25 : 27-37, 1999

      13 최형용, "동의 충돌에 따른 의미 변화의 한 양상에 대하여" 국어학회 (50) : 329-355, 2007

      14 이기갑, "동부전남 방언의 성격"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7) : 115-133, 1984

      15 심지영, "동결(動結)관계 한자어가 개입된 한국어 동의중복 현상" 이중언어학회 (79) : 53-85, 2020

      16 김의수 ; 김건영, "단어 차원의 의미적‧형태적 투명성과 복합성" 우리말학회 (58) : 97-124, 2019

      17 윤평현, "국어의미론" 역락 2008

      18 노명희, "국어 한자어와 고유어의 동의중복 현상" 국어학회 (48) : 259-288, 2006

      19 최재희, "국어 중복 표현의 유형과 의미 구조의 특성" 36 : 401-426, 2000

      20 심재기, "국어 어휘의 특성에 대하여" 22 : 2-19, 1990

      21 신희삼, "국어 어휘에서 나타나는 의미 투명성의 양상" 한국언어문학회 (94) : 69-91, 2015

      22 최형용, "국어 동의파생어 연구" 국어학회 (52) : 27-54, 2008

      23 노명희, "국어 동의중복 현상" 국어학회 (54) : 275-303, 2009

      24 金宗澤, "意味衝突(meaning clash) 現象에 대하여" 51 : 23-39, 1971

      25 허철구, "意味的核에 대한 一考-합성동사를 중심으로-" 13 : 83-112, 1997

      26 沈在箕, "國語의 同意重複現象에 對하여" 3 : 1-16, 1970

      27 최태영, "同音語衝突原理考" 58-60 : 243-268, 1972

      28 조현룡, "同義重疊에 의한 單語形成硏究" 24 : 125-139,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