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소비자가 처음으로 접하는 신규 패션 브랜드에 대해 적용시키는 평가기준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브랜드 평가기준에 대한 연구로서 다음의 세가지 논점을 강조함으로써 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322341
2008
English
KCI등재
학술저널
61-77(17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소비자가 처음으로 접하는 신규 패션 브랜드에 대해 적용시키는 평가기준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브랜드 평가기준에 대한 연구로서 다음의 세가지 논점을 강조함으로써 선...
본 연구는 소비자가 처음으로 접하는 신규 패션 브랜드에 대해 적용시키는 평가기준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브랜드 평가기준에 대한 연구로서 다음의 세가지 논점을 강조함으로써 선행연구와 구별되는 차별점을 가진다. 첫 번째로는 본 연구가 개별 제품이나 점포를 포함하는 패션브랜드 수준에 대한 통합적인 평가기준을 밝힌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는 이미 형성된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기존 브랜드에 대한 평가기준이 아닌 새로운 브랜드에 대한 최초의 평가기준을 밝히며 본 연구에서의 “신규 브랜드”는 소비자가 처음으로 점포 내를 둘러보고 충분한 직접적 정보를 바탕으로 평가를 한다는 점에서 소비자의 관점에서의 새로운 브랜드로 조작적 정의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전국적으로 유통되는 대부분의 패션 브랜드가 백화점 내에 입점되는 국내의 현실을 고려하여 소비자가 지각하는 백화점과의 관계의 질과 입점되어 있는 신규 패션 브랜드 평가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오백 삼십 칠 명의 여성 소비자에 대한 온라인 조사를 통해 신규 패션브랜드를 평가하는 평가기준 요인 (상품 파워, 점포 내 커뮤니케이션, 브랜드 및 회사 이미지, 판매원, VMD, 구색의 다양성)을 도출하고 이들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백화점 관계질의 차이에 따른 신규브랜드 평가 기준과 브랜드 태도의 관련성도 분석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new fashion brand evaluation criteria. In developing the criteria, we emphasize the following considerations: first, the object of the evaluation should be the brand rather than the products or store second, the "new" brand should ...
This study proposes new fashion brand evaluation criteria. In developing the criteria, we emphasize the following considerations: first, the object of the evaluation should be the brand rather than the products or store second, the "new" brand should be the "new" brand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finally, only fashion brands available in department store are inclu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criteria and consumers' relationship quality perception with a department store. Our data analysis of an online survey panel sample of 537 female consumers produced six new fashion brand evaluation criteria: merchandise power, in-store communication, brand/company image, salesperson, VMD, and assortment variety. New fashion brand evaluation criteria factors include both brand attributes and store attributes. Brand-related evaluation criteria are merchandise power, assortment variety, and brand/company images, whereas store-related criteria are VMD, salesperson, and in-store communication. The associations among brand evaluation criteria, brand attitudes, and the consumers' relationship quality with department store were tested by regression analysi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한나, "신규 패션브랜드 평가속성에 대한 소비자 위험지각과 정보탐색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29 (29): 727-736, 2005
2 Park, J., "Types of fashion consumers’ brand loyalty in purchase decision making proces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3 Park, E., "Transaction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purchase situation and clothing evaluative criteria" 15 (15): 529-540, 1991
4 Havelena, W.J., "The varieties of consumption experience:comparing two typologies of emotion and consumer behavior" 13 : 394-404, 1986
5 Moon, H.,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multi-loyal relations and their relationship quality of fashion consumer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6 Choo, H., "The efficacy of consumer- employee and consumer-retailer relationships in predicting store loyalty among Korean consumers" Michigan State University 2004
7 Choi, S., "The effects of brand association and brand identity on brand equity building" 2003
8 Williams, T.G., "Social class influences on purchase evaluation criteria" 19 (19): 249-276, 2002
9 Yi, Y., "Service marketing, 3rd Ed." Hak-hyun-sa 2004
10 Hair, J.F. Jr., "Multivariate Data Analysis, 5th Ed" Prentice Hall 1998
1 김한나, "신규 패션브랜드 평가속성에 대한 소비자 위험지각과 정보탐색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29 (29): 727-736, 2005
2 Park, J., "Types of fashion consumers’ brand loyalty in purchase decision making proces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3 Park, E., "Transaction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purchase situation and clothing evaluative criteria" 15 (15): 529-540, 1991
4 Havelena, W.J., "The varieties of consumption experience:comparing two typologies of emotion and consumer behavior" 13 : 394-404, 1986
5 Moon, H.,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multi-loyal relations and their relationship quality of fashion consumer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6 Choo, H., "The efficacy of consumer- employee and consumer-retailer relationships in predicting store loyalty among Korean consumers" Michigan State University 2004
7 Choi, S., "The effects of brand association and brand identity on brand equity building" 2003
8 Williams, T.G., "Social class influences on purchase evaluation criteria" 19 (19): 249-276, 2002
9 Yi, Y., "Service marketing, 3rd Ed." Hak-hyun-sa 2004
10 Hair, J.F. Jr., "Multivariate Data Analysis, 5th Ed" Prentice Hall 1998
11 Kim, S., "Moderating effects of the product type on the formation of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5
12 Farquhar, P.H., "Managing brand equity" 1 : 24-33, 1989
13 Mittal, B., "Lack of attributes searchability:some thoughts" 21 (21): 443-462, 2004
14 "Korea Fashion Brand Annual Book 2007. Seoul: Apparel News"
15 Darby, M.R., "Free competition and optimal amount of fraud" 16 : 66-88, 1973
16 Rhee, E., "Fashion Marketing" Kyo-moon-sa 1998
17 FIBA Report, "Fashion Index of Behavior and Attitude Consumer Report"
18 Dwyer, F.R., "Developing buyer-seller relationships" 51 : 11-27, 1987
19 Kim, M., "A study on change of clothing evaluative criteria according to clothing buying process" 16 (16): 271-284, 1992
20 Lee, E., "A study of conceptual construct and influential variables of fashion brand personality: focusing on male fashion brand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B2B e-마켓플레이스에서 신뢰의 선행요인과 몰입에 미치는 영향
프랜차이즈 시스템 공정성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4-1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 Journal of Channel and Retailing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10-0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유통비지니스리뷰 -> 유통연구외국어명 : Distribution Business Review ->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2 | 1.42 | 1.3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3 | 1.37 | 1.843 | 0.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