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는 약 500여년이라는 짧지 않은 우리나라의 왕조였음에도 불구하고, 가야금에 관한 문헌은 매우 소략하여 고려시대 가야금 관련 선행연구 또한 매우 부족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21148
2015
Korean
679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7-44(3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고려시대는 약 500여년이라는 짧지 않은 우리나라의 왕조였음에도 불구하고, 가야금에 관한 문헌은 매우 소략하여 고려시대 가야금 관련 선행연구 또한 매우 부족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
고려시대는 약 500여년이라는 짧지 않은 우리나라의 왕조였음에도 불구하고, 가야금에 관한 문헌은 매우 소략하여 고려시대 가야금 관련 선행연구 또한 매우 부족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고에서는 고려시대의 가야금과 관련된 기사가 미비하게나마 전해지고 있는 『고려사』 악지(高麗史樂志), 『고려도경』(高麗圖經), 이규보(李奎報)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이곡(李穀)의 『가정집』(稼亭集), 이색(李穡)의 『목은시고』(牧隱詩藁) 등과 도상자료를 통해 가야금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고려시대를 4기로 나누었는데 태조 왕건이 고려를 건국한 918년부터 헌종(1084~1097)까지 국가제도를 정비한 시기를 제1기, 제9대 왕인 덕종(1016~1034) 부터 제 16대 왕인 예종(1079~1122)까지 고려문화가 전성기를 이룬 시기를 제2기, 고려 의종왕(1127~1173)부터 공민왕(1330~1374)까지 무신들이 집권하고 몽고가 간섭한 시기를 제3기, 공민왕 말부터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1345~1394)까지를 제4기로 나누어 각 시기에 해당되는 문헌을 살펴보았다.
고려 초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에 기록된 태조의 훈요 10조 통해 고려시대의 정신사조를 살펴보면 불교․도교․유교를 모두 수용하는 다원화 시대였다. 이러한 정신사조는 가야금 음악세계에도 영향을 미쳐 고려시대 대표적인 문인 이규보(1168~1241)는 자신의 문학을 가야금을 반주에 맞추어 연주한 성악곡이 주류를 이룬다. 반면 가야금은 기생이라는 음악집단에 의해서 연주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는 억불숭유정책에 의하여 유교가 융성하였기 때문에 윤선도(尹善道: 1587〜1671) 등 당대 문인들은 거문고를 많이 연주하였다.
연주형태는 가사가 있는 성악곡을 주로 연주하였는데, 음악적인 내용은 오늘의 판소리 성음의 가야금 병창과 달리 가사전달에 중점을 둔 문학적인 면을 더 강조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고려시대는 오늘날 사용하고 있는 가야금이라는 이름외에 絲(사), 絃(현), 十二絃(12현), 금(琴) 이라는 말로 많이 사용되었음에 비하여 조선시대에는 가야금이라는 용어로 정착되었다. 즉, 고려시대에는 가야금이라는 악기 이름이 다양하게 사용되었고, 고려 말부터 이곡의 『가정집』은 가야금이라는 용어를 점차 사용하였고, 가야금이라는 악기이름으로 확실하게 정착된 것은 조선의 세종시대 이후로 간주된다.
고려시대는 이곡의 『가정집』 제7권 중 ‘새로 만든 12현의 명’ 이라는 시에서 不雅不俗, ,匪古匪今이라는 문구를 통해 고려 당시 가야금을 雅하기도 하지만 俗하기도 하다고 생각하고, 현대식도 아니고 옛날식도 아니라고 표현한 것이 가야금의 특징 중 하나이고 고려시대 문인들은 다원화시대였기 때문에 가야금의 이러한 다양성 때문에 많이 애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요컨대 가야금은 거문고 중심의 조선시대와 달리 가야금이 문인들을 중심으로 더욱 성행했으며, 연주되어졌다. 더불어 가야금은 전문가의 음악이라기보다 문인으로서 자기의 시를 표현하는 한 방법으로 사용되었던 악기로 간주된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볼 때 가야나라의 금이었던 가야금은 신라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 까지 우리 민족의 희로애락(喜怒哀樂)을 담아내며 2000여 년 동안이나 사랑을 받아온 악기였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방송, "한국공연예술연구논문선집"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01
2 "한국고전번역원 사이트"
3 이색, "목은시고"
4 이규보, "동국이상국집"
5 "국역 동국이상국집 Ⅴ" 민족문화추진회 1985
6 "국역 고려도경"
7 송방송, "고려음악사연구" 일지사 1992
8 송혜진, "고려시대 음악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한국음악사학회 30 : 2003
9 송혜진, "고려시대 가야금 연구: 거문고 보다 가야금을 즐긴 고려시대 문인들" 전통문화사 1986
10 "고려사악지" 학고방 2011
1 송방송, "한국공연예술연구논문선집"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01
2 "한국고전번역원 사이트"
3 이색, "목은시고"
4 이규보, "동국이상국집"
5 "국역 동국이상국집 Ⅴ" 민족문화추진회 1985
6 "국역 고려도경"
7 송방송, "고려음악사연구" 일지사 1992
8 송혜진, "고려시대 음악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한국음악사학회 30 : 2003
9 송혜진, "고려시대 가야금 연구: 거문고 보다 가야금을 즐긴 고려시대 문인들" 전통문화사 1986
10 "고려사악지" 학고방 2011
11 이곡, "가정집"
12 송방송, "(증보)한국음악통사" 민속원 2010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1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2011-03-1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국악과교육 -> 국악교육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4 | 0.24 | 0.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28 | 0.51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