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후기모더니즘의 실버미술교육 연구 : 베이비붐세대 뉴시니어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0735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s senior generation is developing a qualitative desire for a healthy life due to advances in medicine and abundant leisure activities. In addition, as social activities and levels of education develop, the emotional level of the elderly increases and their motivation for learning increases. In particular, it can be said that art education for the elderly in the past was focused only on limited therapy and crafting classes, so art classes based on the humanistic intelligence and diverse ideas of modern art were not conduc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various examples of art through modern art, that is, art methods after modernism, and to develop and apply programs suitable for the more flexible lives of domestic seniors.
      Currently, Korea's seniors are the generation that led the domestic economy after the war, and as baby boomers, they can be said to be a generation with a high attachment to themselves and a passion for learning, to the point where they regard old age as a second life. These Active Seniors are an elderly generation who are active in cultural and consumer life based on their economic power.
      Their characteristic is self-development, that is, discovering and realizing oneself through learning, and considering the spiritual and educational aspects, rather than the material meaning, as the value of life. This part is also related to next-generation education that enhances the sensitivity and learning effectiveness of new seniors by connecting with the post-modern teaching method that combines humanistic and intellectual thinking in senior art education. In addition, it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analyze relationships with past art and create diversified liberal arts classes through the world views of various trends and artists in the field of modern art, not just art therapy and existing classes.
      Modern postmodern art emphasizes not only practical painting classes but also the pluralistic and deconstructive aspects of art, and it can be said to be a case where exploration is possible at the intersection of art and humanities in relation to modern history. In addition, if we approach art education for the elderly based on these aspects, it is possible to approach active seniors intellectually through various artistic perspectives tailored to modern seniors as well as cultural aspects. The teaching method utilizing these post-modernist values will be an example of learning various cultural experiences that reflect the social trends of the times beyond simple conversational expressions and classes. In particular, the teaching method tailored to the baby boomers introduc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challenge the way of thinking of new seniors from the structural aspect of late modernist art and reduce the cultural gap between generations. In addition, through experience, one can broaden one's view on existing art and even expand its scope to digital art based on communication, an important medium in modern art. Seniors in Korea have access to the Internet and media in their daily lives, so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associated with a postmodern life in which they share the value of various knowledge through social media and online platforms. Therefor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hat spreads the diversity of modern art to seniors through a creative and new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late modernism.
      번역하기

      Today's senior generation is developing a qualitative desire for a healthy life due to advances in medicine and abundant leisure activities. In addition, as social activities and levels of education develop, the emotional level of the elderly increase...

      Today's senior generation is developing a qualitative desire for a healthy life due to advances in medicine and abundant leisure activities. In addition, as social activities and levels of education develop, the emotional level of the elderly increases and their motivation for learning increases. In particular, it can be said that art education for the elderly in the past was focused only on limited therapy and crafting classes, so art classes based on the humanistic intelligence and diverse ideas of modern art were not conduc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various examples of art through modern art, that is, art methods after modernism, and to develop and apply programs suitable for the more flexible lives of domestic seniors.
      Currently, Korea's seniors are the generation that led the domestic economy after the war, and as baby boomers, they can be said to be a generation with a high attachment to themselves and a passion for learning, to the point where they regard old age as a second life. These Active Seniors are an elderly generation who are active in cultural and consumer life based on their economic power.
      Their characteristic is self-development, that is, discovering and realizing oneself through learning, and considering the spiritual and educational aspects, rather than the material meaning, as the value of life. This part is also related to next-generation education that enhances the sensitivity and learning effectiveness of new seniors by connecting with the post-modern teaching method that combines humanistic and intellectual thinking in senior art education. In addition, it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analyze relationships with past art and create diversified liberal arts classes through the world views of various trends and artists in the field of modern art, not just art therapy and existing classes.
      Modern postmodern art emphasizes not only practical painting classes but also the pluralistic and deconstructive aspects of art, and it can be said to be a case where exploration is possible at the intersection of art and humanities in relation to modern history. In addition, if we approach art education for the elderly based on these aspects, it is possible to approach active seniors intellectually through various artistic perspectives tailored to modern seniors as well as cultural aspects. The teaching method utilizing these post-modernist values will be an example of learning various cultural experiences that reflect the social trends of the times beyond simple conversational expressions and classes. In particular, the teaching method tailored to the baby boomers introduc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challenge the way of thinking of new seniors from the structural aspect of late modernist art and reduce the cultural gap between generations. In addition, through experience, one can broaden one's view on existing art and even expand its scope to digital art based on communication, an important medium in modern art. Seniors in Korea have access to the Internet and media in their daily lives, so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associated with a postmodern life in which they share the value of various knowledge through social media and online platforms. Therefor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hat spreads the diversity of modern art to seniors through a creative and new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late modern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고령(senior) 세대에 있어 의학의 발전과 풍요로운 여가 활동은 건강한 삶에 대한 질적 욕망을 갖게 하고 있다. 또한, 사회적 활동과 교육 수준이 발달함에 따라 노인들의 정서가 높아짐으로써 배움에 대한 의욕이 왕성해지는 추세이다. 과거의 노인 미술교육은 한정된 치료와 만들기 수업에만 집중되어 있어 현대미술이 가진 인문학적 지성과 다양한 사상에 기반한 예술 수업이 진행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대미술 즉 모더니즘 이후의 미술 방식을 통하여 예술의 포괄적 사례를 소개하고 한층 유연해진 국내 시니어들의 삶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데 그 의미가 있다.
      현재 한국의 뉴시니어들은 전쟁 이후 세대들로 국내 경제를 이끈 세대들이며 베이비부머(baby boomer)로서 본 연구자는 베이비부머를 베이비붐세대에 속하는 개별 사람들을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노년을 제2의 삶으로 간주할 만큼 배움에 대한 열정과 의욕이 높은 액티브시니어(Active Senior)라 할 수 있다.
      미국의 심리학자인 뉴가튼(Bemice Neugarten, 1916~2001))은 최예령,「초 고령화사회 신 노년을 위한 미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p.10.
      75세 이후 연령을 노인, 50대 중반에서 75세까지는 ‘액티브시니어’라고 칭하였다. 이상은,「액티브시니어 소비성향이 실버 화장품 추구 혜택 및 구매 활동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향장학과 석사논문, 2022, p.172.
      정서적으로 노화를 거부하는 세대라고 할 수 있으며, 신체적으로 자신의 외모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으며, 미(美)와 건강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형태로 소비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베이비붐세대 본 연구자는 베이비붐세대를 1946~1963년 사이에 태어난 전체 인구집단으로 출산율 급증 현상과 관련된 세대로 하였다.
      를 대표한다. 베이비부머들은 자기 계발, 즉 학습을 통하여 스스로를 발견하고 실현함으로써 물질적 의미가 아닌 정신적, 교육적 측면을 인생의 가치로 생각하고 있다. 설수황, 최종훈, 안병욱 ,「액티브시니어 여가 활동 참여자의 여가 지지, 여가몰입 및 웰니스간의 관계 연구,」 『Journal of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1. No 8, 2020, p. 141.
      이러한 부분은 뉴시니어 미술교육에 있어서 인문적, 지성적 사고를 겸양한 후기모더니즘 수업 방식과 연결됨으로써 뉴시니어들의 감성과 학습효과를 높이는 차세대 교육과도 연관된다. 미술치료 및 기존의 수업만이 아닌 현대미술 영역에서 다양한 사조와 작가들의 세계관을 통하여 과거 미술과의 관계성을 분석하고 다각화된 교양수업을 만드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현대의 후기모더니즘 미술은 실기 위주의 회화 수업만이 아닌 예술의 다원화와 해체적 측면을 중시했던 것으로 근대사와 관련하여 예술과 인문학의 접점에서 그 탐구가 가능한 경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에 근거하여 노인 미술교육은 교양적 측면과 함께 다양한 미술적 관점으로부터 액티브시니어들의 지성적 접근까지 가능하다. 앞서 언급한 후기모더니즘 가치관을 활용한 수업방안은 단순히 예술 수업을 넘어 사회적 시대상을 반영한 다양한 문화를 견습할 수 있는 예시가 될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소개하는 베이비붐세대들에 맞춰진 수업 방식은 후기모더니즘 예술의 구조적 측면으로부터 뉴시니어들의 사고방식에 도전하며 세대 간의 문화적 격차를 줄일 것으로 예상한다. 더 나아가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기존 미술에 대한 견해를 넓히고 현대 예술의 중요 매체인 소통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예술까지도 그 영역을 확장 시킬 수 있다.
      국내의 뉴시니어들은 인터넷과 미디어가 생활권 안에 접해있어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나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지식의 가치를 공유하는 후기모더니즘의 삶과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후기모더니즘의 예술과 인문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창의적이고도 새로운 수업 방식을 모색하고 연구하여 뉴시니어들의 현대미술의 다양성을 전파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이에 관하여 후기모더니즘적 개념 수업을 이론과 함께 진행한 교육프로그램은 뉴시니어에게 중요한 이점을 제공했으며, 앞으로도 학문적 연구를 통해 뒷받침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미술에 관심 있는 뉴시니어들에게 복합적 유형의 프로그램을 조명하고, 이를 통해 삶의 가치와 예술적 소양을 향상시킬 수 있기를 바란다. 베이비붐세대의 특성을 기반으로 뉴시니어들에게 후기모더니즘 관점을 고찰시키고 향후 다양한 교육 방법을 적용해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번역하기

      오늘날 고령(senior) 세대에 있어 의학의 발전과 풍요로운 여가 활동은 건강한 삶에 대한 질적 욕망을 갖게 하고 있다. 또한, 사회적 활동과 교육 수준이 발달함에 따라 노인들의 정서가 높아...

      오늘날 고령(senior) 세대에 있어 의학의 발전과 풍요로운 여가 활동은 건강한 삶에 대한 질적 욕망을 갖게 하고 있다. 또한, 사회적 활동과 교육 수준이 발달함에 따라 노인들의 정서가 높아짐으로써 배움에 대한 의욕이 왕성해지는 추세이다. 과거의 노인 미술교육은 한정된 치료와 만들기 수업에만 집중되어 있어 현대미술이 가진 인문학적 지성과 다양한 사상에 기반한 예술 수업이 진행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대미술 즉 모더니즘 이후의 미술 방식을 통하여 예술의 포괄적 사례를 소개하고 한층 유연해진 국내 시니어들의 삶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데 그 의미가 있다.
      현재 한국의 뉴시니어들은 전쟁 이후 세대들로 국내 경제를 이끈 세대들이며 베이비부머(baby boomer)로서 본 연구자는 베이비부머를 베이비붐세대에 속하는 개별 사람들을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노년을 제2의 삶으로 간주할 만큼 배움에 대한 열정과 의욕이 높은 액티브시니어(Active Senior)라 할 수 있다.
      미국의 심리학자인 뉴가튼(Bemice Neugarten, 1916~2001))은 최예령,「초 고령화사회 신 노년을 위한 미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p.10.
      75세 이후 연령을 노인, 50대 중반에서 75세까지는 ‘액티브시니어’라고 칭하였다. 이상은,「액티브시니어 소비성향이 실버 화장품 추구 혜택 및 구매 활동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향장학과 석사논문, 2022, p.172.
      정서적으로 노화를 거부하는 세대라고 할 수 있으며, 신체적으로 자신의 외모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으며, 미(美)와 건강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형태로 소비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베이비붐세대 본 연구자는 베이비붐세대를 1946~1963년 사이에 태어난 전체 인구집단으로 출산율 급증 현상과 관련된 세대로 하였다.
      를 대표한다. 베이비부머들은 자기 계발, 즉 학습을 통하여 스스로를 발견하고 실현함으로써 물질적 의미가 아닌 정신적, 교육적 측면을 인생의 가치로 생각하고 있다. 설수황, 최종훈, 안병욱 ,「액티브시니어 여가 활동 참여자의 여가 지지, 여가몰입 및 웰니스간의 관계 연구,」 『Journal of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1. No 8, 2020, p. 141.
      이러한 부분은 뉴시니어 미술교육에 있어서 인문적, 지성적 사고를 겸양한 후기모더니즘 수업 방식과 연결됨으로써 뉴시니어들의 감성과 학습효과를 높이는 차세대 교육과도 연관된다. 미술치료 및 기존의 수업만이 아닌 현대미술 영역에서 다양한 사조와 작가들의 세계관을 통하여 과거 미술과의 관계성을 분석하고 다각화된 교양수업을 만드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현대의 후기모더니즘 미술은 실기 위주의 회화 수업만이 아닌 예술의 다원화와 해체적 측면을 중시했던 것으로 근대사와 관련하여 예술과 인문학의 접점에서 그 탐구가 가능한 경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에 근거하여 노인 미술교육은 교양적 측면과 함께 다양한 미술적 관점으로부터 액티브시니어들의 지성적 접근까지 가능하다. 앞서 언급한 후기모더니즘 가치관을 활용한 수업방안은 단순히 예술 수업을 넘어 사회적 시대상을 반영한 다양한 문화를 견습할 수 있는 예시가 될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소개하는 베이비붐세대들에 맞춰진 수업 방식은 후기모더니즘 예술의 구조적 측면으로부터 뉴시니어들의 사고방식에 도전하며 세대 간의 문화적 격차를 줄일 것으로 예상한다. 더 나아가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기존 미술에 대한 견해를 넓히고 현대 예술의 중요 매체인 소통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예술까지도 그 영역을 확장 시킬 수 있다.
      국내의 뉴시니어들은 인터넷과 미디어가 생활권 안에 접해있어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나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지식의 가치를 공유하는 후기모더니즘의 삶과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후기모더니즘의 예술과 인문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창의적이고도 새로운 수업 방식을 모색하고 연구하여 뉴시니어들의 현대미술의 다양성을 전파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이에 관하여 후기모더니즘적 개념 수업을 이론과 함께 진행한 교육프로그램은 뉴시니어에게 중요한 이점을 제공했으며, 앞으로도 학문적 연구를 통해 뒷받침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미술에 관심 있는 뉴시니어들에게 복합적 유형의 프로그램을 조명하고, 이를 통해 삶의 가치와 예술적 소양을 향상시킬 수 있기를 바란다. 베이비붐세대의 특성을 기반으로 뉴시니어들에게 후기모더니즘 관점을 고찰시키고 향후 다양한 교육 방법을 적용해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과 범위 1
      • 제 2 장 베이비붐세대의 교육과 예술 3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과 범위 1
      • 제 2 장 베이비붐세대의 교육과 예술 3
      • 제 1 절 국내 뉴시니어 비율과 노령화지수 3
      • 제 1 항 베이비붐세대의 정의와 특징 5
      • 제 2 항 베이비부머의 세대별 분류 6
      • 제 2 절 국내 베이비부머의 교육지수 8
      • 제 1 항 베이비붐세대의 교육 참여율 10
      • 제 2 항 베이비붐세대의 실버 미술교육 필요성 12
      • 제 3 장 후기모더니즘과 뉴시니어 미술 14
      • 제 1 절 뉴시니어 미술의 교육적 특성 14
      • 제 1 항 모더니즘과 후기모더니즘의 차이 15
      • 제 2 항 국내외 미술관 시니어 프로그램 26
      • 제 3 항 국내 뉴시니어 미술 교육사례 30
      • 제 2 절 후기모던 중심의 수업모형 방안 35
      • 제 1 항 물성과 표현연구 36
      • 제 2 항 개념적 기법과 상징성 41
      • 제 3 항 양가적 해석과 해학 44
      • 제 4 항 추상과 현상학적 접근 45
      • 제 5 항 신세대 협업의 굿즈 연구 47
      • 제 4 장 결 론 49
      • 참고문헌 52
      • Abstract 5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