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의 중독과정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연구목적은 청소년 참여자의 관점에서 스마트폰 중독과정에 대한 심리적 현상의 본질과 의미를 파악하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808398
완주 : 한일장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학위논문(박사) -- 한일장신대학교 일반대학원 , 심리치료학 , 2018. 2
2018
한국어
전북특별자치도
; 26 cm
지도교수: 노항규
I804:45018-20000008853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의 중독과정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연구목적은 청소년 참여자의 관점에서 스마트폰 중독과정에 대한 심리적 현상의 본질과 의미를 파악하는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의 중독과정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연구목적은 청소년 참여자의 관점에서 스마트폰 중독과정에 대한 심리적 현상의 본질과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그 결과에서 밝혀진 중독원인을 효과적인 상담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의 선정은 본 연구 취지에 동의하고 대도시 D시 소재의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3명과 여학생 3명 총 6명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서 2017년 5월부터 2017년 8월까지 참여자에 따라 4회에서 6회에 걸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연구방법 중에서 중독과정에서 나타나는 공통점을 밝혀줄 수 있는 꼴라이지(Colaizzi)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에서 표현된 의미 있는 자료에서 78개의 구성의미가 확인되었고, 그것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는 22개의 주제와 6개의 주제군으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총체적 기술과 본질적 구조의 기술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여기서 청소년 참여자들이 스마트폰 중독의 과정에서 나온 중독원인이 6개의 주제군으로 확인
ⅴ
되었다.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과정을 요약하면, 첫째, 스마트폰 중독은 ‘희망과 자신감 상실에 따른 현실 도피적인 행동습관으로 생활하기’에서 비롯되었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은 ‘학교생활과 친구관계에서의 어려움을 견디기’와 관련이 있었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은 ‘부모와 가족관계에서의 외로움을 달래기’ 과정에서 일어났다. 넷째, 스마트폰 중독은 ‘아프고 힘든 감정에서 벗어나기’ 위한 과정에서 나타났다. 다섯째, 스마트폰 중독은 ‘즐거움에 대한 갈증과 갈망에 도취하기’ 과정에서 일어났다. 부정적인 감정은 회피하고 긍정적인 감정은 지속해서 갈망하였다. 여섯째, 스마트폰 중독은 중독 대상이 되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자체의 매력에 빠져보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에게 있어서 스마트폰 중독과정은 개인적 요인과 사회 관계적 요인 그리고 중독대상 요인과 함께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원인으로 파악되는 중독과정은 금단과 내성, 일상생활 장애, 가상세계 지향성이라는 중독증상을 일으킨다. 이러한 중독증상은 다시 중독원인을 지지하고 강화하는 악순환의 반복으로 중독치료를 어렵게 한다.
본 연구에서 시도한 현상학적 접근은 참여자들의 시각에서 표현된 스마트폰 중독의 과정과 원인에 대한 의미와 본질을 파악하게 해주었다. 이는 향후 스마트폰 중독 상담과정에서 내담자 중심의 효과적인 치료 개입이 기대되는 부분이다. 내담자의 관점에서 중독과정을 이해하고 그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해야만 중독의 악순환을 끊는 예방과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of addiction process experience of smartphone addicted adolesc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 psychological phenomenon of the process of addiction to the smartphone ...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of addiction process experience of smartphone addicted adolesc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 psychological phenomenon of the process of addiction to the smartphone from the viewpoint of adolescent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tended to provide the basis for effective counseling.
The selection of the study subjects agreed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ree male students and three female students attending secondary school in the city of D city were selected. From May 2017 to August 2017, four to six in -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Colaizzi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which can reveal the similarities in the addiction process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eventy - eight constructive meanings were identified in the meaningful data expressed in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22 subjects and 6 subject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vided into the total technology of smartphone addiction and the description of essential structure. Here, the causes of addiction from the process of smartphone addiction were identified as 6 subject groups. To summarize the process of adolescents addiction to smartphones, First, smartphone addiction comes from ‘living with escaping behavior habits due to loss of hope and confidence'. Second, smartphone addiction was related to ‘enduring the difficulties in school life and friendship'. Third, smartphone addiction occurred during the process of ‘alleviating loneliness in parent - family relationship'. Fourth, smartphone addiction appeared during the process of ‘getting out of a sick and tough feeling'. Fifth, smartphone addiction occurred during the process of ‘taking thirst and thirst for pleasure'. Sixth, smartphone addiction is attributed to the attraction of the Internet and smartphone itself, which is the target of addiction.
In conclusion, the process of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was found to be combined with personal factors, social relations, and addiction factors. The addiction process, which is identified as the cause here, causes withdrawal symptoms such as withdrawal and resistance, daily life disorder, and virtual world orientation. These poisoning symptoms make it difficult to treat poisoning with repetitive vicious cycles that support and reinforce the cause of poisoning again.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attempted in this study allowed us to grasp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process and cause of the smartphone addiction expressed in the perspective of the participants. This is expected to be an effective treatment intervention centered on the client during the smart phone addiction counseling process. From the client's point of view, understanding the intoxication process and knowing the exact cause of the intoxication process will stop the vicious cycle of addiction and prevent and treat it.
목차 (Table of Contents)
1 Adler, Alfred, "인간 이해", 일빛, (락영균 옮김). 서울: 일빛, 2009
2 장휘숙, "청년심리학", 박영사, 서울: 박영사, 2004
3 Glasser, W., "『현실치료』", (홍경자 옮김).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993
4 신경림, "현상학적 연구", 현문사, 서울: 현문사, 2001
5 조근호, "중독 재활 총론",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11
6 김흥규, "최신특수교육학", 양서원, 서울: 양서원, 2009
7 사공정규, "“인터넷 중독증",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8권 1호. 176-185, 2002
8 Glasser, W., "『긍정적 중독』", 한국심리상담연구소, (김인자 옮김). 서울: 한국심리상담연 구소, 2008
9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청소년 정신의학", 시그마프레스,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2
10 Freud, S., "『정신분석 강의』", (임홍빈 홍혜경 옮김). 경기: 열린책들, 2009
1 Adler, Alfred, "인간 이해", 일빛, (락영균 옮김). 서울: 일빛, 2009
2 장휘숙, "청년심리학", 박영사, 서울: 박영사, 2004
3 Glasser, W., "『현실치료』", (홍경자 옮김).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993
4 신경림, "현상학적 연구", 현문사, 서울: 현문사, 2001
5 조근호, "중독 재활 총론",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11
6 김흥규, "최신특수교육학", 양서원, 서울: 양서원, 2009
7 사공정규, "“인터넷 중독증",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8권 1호. 176-185, 2002
8 Glasser, W., "『긍정적 중독』", 한국심리상담연구소, (김인자 옮김). 서울: 한국심리상담연 구소, 2008
9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청소년 정신의학", 시그마프레스,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2
10 Freud, S., "『정신분석 강의』", (임홍빈 홍혜경 옮김). 경기: 열린책들, 2009
11 임영식, 한상철, "청소년 심리의 이해", 서울: 학문사, 2004
12 신경림,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4
13 김귀분, "『질적 연구방법론』", 현문사, (김두섭 옮김). 경기: 나남출판, 2005
14 Flores, P., "애착장애로서의 중독", NUN, (김갑중 박춘삼 옮김). 경기: NUN, 2010
15 이근홍,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공동체, 서울: 양서원, 2006
16 Ellis, Albert,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학지사, (서수균 김윤희 옮김). 서울: 학 지사, 2007
17 Nicholas Carr,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청림, (최지향 옮김). 서울: 청림출판, 2011
18 William, G., "『Neuromancer.뉴로맨서』", (김창규 옮김). 서울: 황금가지, 2005
19 한상철, "『심리적 특성의 발달』",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1999
20 김병오, "『중독을 치유하는 영성 』", 대서, 서울: 대서, 2009
21 박상규, "「중독의 이해와 상담실제」",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9
22 김교헌 ( Kyo Heon Kim ), "중독, 그 미궁을 헤쳐 나가기",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12권 4호. 677-693, 2007
23 진주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험",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융복합연구』15권 2호. 1-9, 2017
24 이윤주, "『알기 쉬운 상담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2014
25 이종훈, "『후설 현상학으로 돌아가기』", 서울: 한길사, 2017
26 강희양, 박창호 ( Chang Ho Park ),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31권 2호. 563-580, 2012
27 이태영(Lee TaeYoung), 송병호(Song ByongHo), "스마트폰 중독 실태와 대응 방안", 한국범죄심리학회, 『한국범죄심리 연구』13권 1호. 195-226, 2017
28 김학범,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연구 동향", 한국중독범죄학회, 『한국중독범죄학회보』 3권 1호. 74-89, 2013
29 서보경, "“인터넷 중독자의 생애적 특성.”", 『인터넷 중독의 특성과 쟁 점』.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5
30 전인식, "『2014 게임과 몰입 종합실태조사』", 나주: 한국콘텐츠진 흥원, 2014
31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 대구: 한국 정보화진흥원, 2016
32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서울: 한 국정보화진흥원, 2011
33 이계원,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01
34 문지숙, 홍희정, 박현주, 배정이, 홍서영, 최정혜, 이은하, 정현지, 정지은, 정선이, 윤주영, 김현아, 김재언, 김예지, 김민지, 허보름,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건강문제", 국가위기관리학회, 『국가위기관리 학회보』3권 2호. 92-104, 2011
35 김교헌, 김세진, "인터넷 중독 개선을 위한 인지적 접근",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 학회지: 건강』18권 3호. 421-446, 2013
36 김주영, 한국인터넷진흥원, "『2015년 모바일인터넷 이용실태조사』", 나주: 한국인터넷진흥원, 2016
37 최진오, "초등학생 ICT 기기 중독수준과 ADHD 성향", 한국특수아동학회, 『특수아동 교육연구』13권 3호. 207-226, 2011
38 권경인, 양정연, "“상담학 분야의 질적연구 동향분석.”", 『상담학연구』 14권 6호. 3871-3893, 2013
39 한상철, "“청소년의 심리연구의 동행과 과제.”", 『한국청소년학회』 5권 2호. 33-62, 1998
40 김동일, 정여주, 신광우,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41 김선엽, "“하와이 ‘스몸비’ 벌금 최대 99달러.”", 조선일보. 10. 27, 2017
42 김형지, 정세훈, 김정환, "스마트폰 중독과 멀티태스킹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 학회 학술대회 발표집』5권 1호. 117-118, 2012
43 장하림, "인터넷 게임중독 청소년의 회복과정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44 서주현, 유안진,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친구관계의 특성", 한국아동학회, 『아동 학회지』22권 4호. 149-166, 2001
45 조상윤, "“국내 스마트폰 보급 7년 만에 89% 사용.”", 한라일보. 7. 20, 2016
46 조정민, "“인터넷 중독이 청소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7 임은희,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한영논총』 13권. 338-356, 2009
48 고기숙, 이면재, 김영은,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적 사용 경험 연 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집』13권 4호. 501-516, 2012
49 권회연, 전병운, 오혜정, "“ADHD 아동과 일반아동 간 읽기특성 비교.”",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행동장애연구』26권 4호. 165-183, 2010
50 이승현,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구조모형.”",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51 최원현, "“청소년의 인터넷게임 과몰입 경험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 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52 박부환,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경험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2
53 조권형,김수환,한선관, 한선관, 조권형, 김수환,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환경적 요인의 관계", 한국정보교육학회, 경인교 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54 류석상, "남길우 엄나래. 『2016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 대구: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55 유영주,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한 국가족관계학회지』9권 2호. 119-151, 2004
56 송순인,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개발연구원, 『사회복지개발연구』16권 2호. 183-202, 2010
57 한상철, "청소년의 인터넷 접촉 정도와 중독성향에 대한 조사",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9권 2호. 19-39, 2003
58 임경자,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한 국학교보건학회지』26권 2호. 124-131, 2013
59 김병년,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13권 4호. 208-217, 2013
60 김병영, 장은정, 박부환, "청소년의 인터넷중독 과정 경험에 관한 현상 학적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20권 8호. 71-95, 2013
61 Rice, F., "Dolgin, K, 『청소년심리학』(정영숙 신민섭 이승연 옮 김)",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9
62 황광민, "중학생의 휴대폰 사용, 불안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경 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63 김흥규, "이상란. “한국인의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구", ” 『교육문화연구』20권 4호. 281-314, 2014
64 고충숙,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적 사용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청소년문화포럼』30권. 8-36, 2012
65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가정보화 기본법: 인터넷 중독 예방 및 해소 추진계획", ” http://future.na.go.kr, 2017
66 구세희, "“스마트폰의 애착형성요인과 중독경향성에 관한 연구.”", 중 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67 오지희, "“사회불안감이 스마트폰 이용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 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68 김병년, 최홍일, 고은정,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24권 3호. 67-98, 2013
69 김혜순, "청소년의 스마트폰중독이 우울, 불안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 향",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70 박승민, "상담학 분야의 질적연구 경향 분석-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13권 2호. 953-977, 2012
71 김경신, 박경원,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성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한국가족관계학회지』20권 1호. 51-74, 2015
72 김태량, 최용민,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정신건상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32권 3호. 185-210, 2016
73 고성자, "휴대전화 의존성 진단척도 개발 및 타당화 :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74 성윤숙, 이소희, "“게임방 청소년의 사이버 일탈 과정에 관한 문화 기 술적 연구.”",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24권 3호. 109-134, 2003
75 이승우, "“유튜브, 카톡 제치고 사용시간 1위 앱 올라: 스마트폰 앱 분석.”", 한국경제신문. 11. 1, 2017
76 최서윤, "“휴대전화에 대한 애착: 애착의 개념 정립과 측정 도구의 제 시.”",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회,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28권 4호. 219-256, 2011
77 김혜주,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발달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3
78 김유정,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 척도 개발 및 심리사회적 취약성 요인.”",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79 신효식, 이연미, 이선정,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학교환경 변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21권 3호. 29-43, 2009
80 서민영,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체험의 의미와 본질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81 성윤숙, "“청소년의 삶의 질과 온라인 게임 이용 동기 및 결과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한국아동학회』24권 2호. 93-108, 2003
82 강선경, 하민정, 이근무, "인터넷 중독 청소년들이 경험한 가상공간의 의미와 본질에 대한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청소년복지연구』18권 2호. 41-64, 2016
83 황수정,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사회적지지 지각 및 사회적 응력 간의 관계", ”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84 이유진, "스마트폰 의존 유형이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일상생활에 미 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85 김분한, 이금자, 홍정주, 김진경, 박인숙, 김금자, "현상학적 연구방 법의 비교 고찰-Giorgi, Colaizzi, Van Kaam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간호과학회, 『대한간호학회』29권 6호. 1208- 1220, 1999
86 어주경, 이은정,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의 충동성과 부모양육태도의 차이", 한국생애학회, 『생애학회지』4권 1호. 1-17, 2014
87 이유진, 한미아, 차서현, 임성환, 이경은, 원창연, 김동현, 권혁민, "일부 대학생에서 스마트폰 중독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와의 관련성", 한국모자보건학회, 『한국모자보건학회지』17권 1호. 105-112, 2013
88 이정기, "“부부갈등 가정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평택대학교 피어선선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89 박지선, "“청소년 및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 는 관련변인", ”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90 김정숙, "“청소년의 심리적 변인 인터넷게임 중독과 학교생활적응 간 의 관계.”",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91 황승일,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92 양석호, "“청소년 건전 육성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할: 밝은 사회 건전 한 청소년.”", 서울: 체육청소년부, 1991
93 이순형, 최나야, 김태연, "“청소년이 인식하는 게임의 의미: 청소년기의 발달적 특징을 고려하여.”", 한국게임학회, 『한국게임학회논문집』13권 3호. 105- 119, 2013
94 Creswell,,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조홍식 정선욱 김 진숙 권지성 옮김)", 서울: 학지사, 2012
95 금창민, "중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proneness)과 정신건강 문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96 유양숙, 황경혜, 조옥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12권 10호. 365-375, 2012
97 윤소정,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98 김형지, "스마트폰 이용과 중독과정에 관한 통합적 분석 : 중독의 재개념화 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99 탁수연, 박영신, 김의철, "청소년 사이버일탈행동에 대한 부모, 친구, 도 덕적이탈 및 관계효능감의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한국교육심리학회』25권 3 호. 617-645, 2011
100 김흥규, "스마트폰, 인터넷, 게임 중독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 및 인간관계에 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01 한혜경,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가상공간에서의 자기효능감 및 정서조절양식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02 박미숙, 구자경,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휴대폰중독의 관계 :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13권 4호. 2001- 2015, 2012
103 장여옥, 조남억, "스마트폰 중독이 청소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지역청소년을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미래청소년학회지』11권 2호. 137-156, 2014
104 김보연, "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부족 및 스트레스와의 관계",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05 김서현, "“청소년의 부모 애착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 절능력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06 권선중, 임숙희, 김교헌, "자율성과 마음챙김이 청소년의 게임 조절 동 기와 문제적 게임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권 4호. 903-930, 2013
107 권상희, 최윤정, "스마트폰 중독 연구 : 근거이론 접근법을 활용한 중독위 험군의 특성도출을 중심으로", 한국인터넷중독학회, 『인터넷 중독연구』1권. 1-18, 2016
108 문의용, "“스마트폰 중독자와 인터넷 중독자의 스트레스 대체방식과 대인관계 성향의 차이.”",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09 김동일, "“스마트폰 중독 탐색: 중독위험군의 사용 양태, 증상 중독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정보화진흥원 정책문화포럼 정책연 구보고서』257-283, 2014
110 이현경, 하정철, 최현석, "스마트폰 중독이 정신건강, 학교생활, 대인관계에 미 치는 영향–K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한국데이터정보과학 회지』23권 5호. 1005-1015, 2012
111 이정기, 황상재, "10대의 휴대폰 이용동기와 중독에 관한 연구: 서울 경기지역 초. 중.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23권 5호. 296-338, 2009
112 김효순, "“청소년기 인터넷 중독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생태체계 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13 서경현, "남자 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과 스트레스반응, 주관적 웰 빙 및 삶에 대한 동기 및 기대",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20권 2호. 217-236, 2013
114 권정혜, "“감각추구성향,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가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 문집』220-271, 2002
115 김장회, 정귀임, "“중학생의 부모 애착 및 또래 애착과 스마트폰 중 독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재활심리연구』23권 3 호. 599-614, 2016
116 박은민 ( Eun Min Park ), 박기희 ( Ki Hee Park ), ""부,모 양육태도와 스마트폰중독 관계에서 우울과 공격성의 매개효과 :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놀이치료학회, ” 『한국놀이치료학회지: 놀 이치료연구』17권 2호. 209-224, 2014
117 여종일, "“남녀중학생의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증상의 관계: 자아존 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23권 1호. 129-152, 2016
118 이영식, "“물질 중독 및 인터넷 중독 위험 청소년에서의 불안정한 애착형성과 충동성: 주의력 문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대한신경정신의학회』49권 4 호. 393-400, 2010
119 노석준, "고등학생의 환경 및 개인심리요인, 스마트폰 이용동기, 스 마트폰 중독과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19 권 4호. 659-691, 2013
120 김형태,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우 울, 충동성, 불안변인을 매개로.”", 삼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21 서지혜, "고등학생의 개인, 부모, 또래 및 스마트폰 이용동기 요인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구조적 관계분석",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2
122 배성만, "중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 만족도가 휴대폰 중 독적 사용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 『청소년학연구』21권 11 호. 271-290, 2014
123 최진오, "초등학생의 모바일게임중독이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 향: 공감능력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한국청소년시설환경』 14권 2호. 187-197, 2016
124 문종미, 최진우, "스마트폰중독 경향성이 초등학생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ADHD성향성의 매개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특수아동 교육연구』17권 1호. 263-292, 2015
125 류화청, "생태체계요인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인터 넷 윤리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4
126 엄주리, 하은혜, "“청소년의 자극추구성향과 가상세계와 현실세계 자 기 효능감의 고,저수준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청소 년상담연구』2권 1호. 357-374, 2014
127 최홍일, 김진희, "아동, 청소년기의 방임적 양육 경험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미치는 영향에 있어 우울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한국아동복지학』44권. 127-153, 2013
128 한현지,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이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부모-자녀관계, 친구관계의 조절효과.”", 대구가톨 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29 최윤정, 황하성, 손승혜, "마이크로 블로그 이용, 네트워크 크기, 현존감, 사회자본 간의 영향관계 분석: 결속형, 교량형, 혼합형 이용자 집단 간 비교",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회,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28권 3호. 77-11,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