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환경 오염원인 미세먼지는 시공간 의존성을 모두 갖는 현상으로, 시계열 패턴과 공간 패턴을 모두 확인하는 적절한 지수의 사용이 분석을 용이하게 한다. 사건 발생의 일정성과 불규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056631
2022
Korean
폭증지수 ; 국지적 폭증지수 ; 시계열 분석 ; 미세먼지 ; 미세먼지 경보 ; Burstiness ; LITB ; time series analysis ; fine dust ; fine dust warning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97-108(1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주요 환경 오염원인 미세먼지는 시공간 의존성을 모두 갖는 현상으로, 시계열 패턴과 공간 패턴을 모두 확인하는 적절한 지수의 사용이 분석을 용이하게 한다. 사건 발생의 일정성과 불규칙...
주요 환경 오염원인 미세먼지는 시공간 의존성을 모두 갖는 현상으로, 시계열 패턴과 공간 패턴을 모두 확인하는 적절한 지수의 사용이 분석을 용이하게 한다. 사건 발생의 일정성과 불규칙성을 판단할 수 있는 국지적 폭증지수는 사건 발생의 지역 단위별 시계열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지적 폭증지수를 활용하여 지역별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의 패턴을 비교하였으며, 이때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날짜를 확인할 수 있는 미세먼지 경보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현상의 패턴을 파악할 때, 단순 지역별 경보 발령 빈도 분포와 국지적 폭증지수 분포를 비교하여 두 분포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전 기간에 대해 항목별(PM10, PM2.5) 경보 발령의 지역별 패턴을 확인한 결과, PM10 항목이 PM2.5 항목에 비해 약한 폭증 패턴을 보였다. 연도별로 경보 데이터를 구분하여 국지적 폭증지수 분포를 확인한 결과, 두 항목의 자료 모두 2020년에 그 빈도가 급감하였으며, 전체 연도에 대해 PM2.5 항목에서는 수도권 지역 전체가 폭증 패턴을 강하게 드러냈지만 PM10 항목에서는 특정 권역에서 일정한 패턴으로 경보가 발령된 연도도 존재하였다. 연구 결과 단순 빈도 분포에서 드러나지 않는 지역 현상 발생의 시계열 패턴이 국지적 폭증지수 분포에서 드러남을 확인하였다. 이는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의 패턴을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지역에 따른 차별적인 대응 방안을 제시할 수 있게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찬주 ; 홍민선, "한반도 인근의 미세먼지 시공간 농도 변화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35 (35): 675-682, 2019
2 이건우 ; 염재홍, "중력모델을 적용한 미세먼지 흐름 패턴 시공간 시각화" 한국측량학회 37 (37): 417-426, 2019
3 여민주 ; 김용표, "우리나라 미세먼지 농도 추이와 고농도 발생 현황" 한국대기환경학회 35 (35): 249-264, 2019
4 이수상,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규모에 나타나는 복잡계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4 (44): 399-419, 2013
5 박노욱, "시계열 환경변수 분포도 작성 및 불확실성 모델링: 미세먼지(PM10) 농도 분포도 작성 사례연구" 한국지구과학회 32 (32): 249-264, 2011
6 현영섭,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에 대한 멱함수 분포 검증" 교육연구소 24 (24): 145-167, 2018
7 홍한움, "서울 미세먼지(PM10)농도의 시공간 통계분석 활용방안 연구" 1-57, 2018
8 박만식, "미세먼지의 지역 간 연관성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21 (21): 1169-1181, 2019
9 김종범, "미세먼지-미세먼지 정보서비스 현황" 31 (31): 14-27, 2018
10 에어코리아, "대기정보 예보/경보"
1 이찬주 ; 홍민선, "한반도 인근의 미세먼지 시공간 농도 변화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35 (35): 675-682, 2019
2 이건우 ; 염재홍, "중력모델을 적용한 미세먼지 흐름 패턴 시공간 시각화" 한국측량학회 37 (37): 417-426, 2019
3 여민주 ; 김용표, "우리나라 미세먼지 농도 추이와 고농도 발생 현황" 한국대기환경학회 35 (35): 249-264, 2019
4 이수상,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규모에 나타나는 복잡계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4 (44): 399-419, 2013
5 박노욱, "시계열 환경변수 분포도 작성 및 불확실성 모델링: 미세먼지(PM10) 농도 분포도 작성 사례연구" 한국지구과학회 32 (32): 249-264, 2011
6 현영섭,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에 대한 멱함수 분포 검증" 교육연구소 24 (24): 145-167, 2018
7 홍한움, "서울 미세먼지(PM10)농도의 시공간 통계분석 활용방안 연구" 1-57, 2018
8 박만식, "미세먼지의 지역 간 연관성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21 (21): 1169-1181, 2019
9 김종범, "미세먼지-미세먼지 정보서비스 현황" 31 (31): 14-27, 2018
10 에어코리아, "대기정보 예보/경보"
11 Barabási, A. L., "The origin of bursts and heavy tails in human dynamics" 435 (435): 207-211, 2005
12 Bak, P., "Self-organized criticality: an explanation of 1/f noise" 59 (59): 381-384, 1987
13 Peng, C. K., "Mosaic organization of DNA nucleotides" 49 (49): 1685-, 1994
14 Kim, E. K., "Measuring burstiness for finite event sequences" 94 (94): 032311-, 2016
15 Kim, E. K., "Local Indicators of Temporal Burstiness for Spatio-Temporal Event Analysis"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2018
16 Kim, T., "Characteristics of spatiotemporal changes in the occurrence of forest fires" 13 (13): 4940-, 2021
17 Zhang, W., "Characteristics of ambient 1-min PM2. 5 variation in Beijing" 165 : 137-146, 2010
18 Goh, K. I., "Burstiness and memory in complex systems" 81 (81): 48002-, 2008
19 박승명 ; 문광주 ; 박종성 ; 김현재 ; 안준영 ; 김정수, "2009년 서울지역 황사 및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 시 미세먼지의 화학성분 특성" 한국대기환경학회 28 (28): 282-293, 2012
20 정창훈, "2001~2005년 수도권 PM10 농도의 시공간적 경향분석" 9 (9): 99-105, 2008
평화의 지역적 전환 - 국내 평화도시 논의를 중심으로 -
김대건 신부의 <조선전도>에 기재된 지명의 로마자 표기 방식 연구
금왕단층 일대의 지형 발달과 현생 지각 운동 (I)- 제4기 지형의 발달 특성 및 분포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4-01-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 Society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4 | 1.14 | 1.2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7 | 1.13 | 1.701 | 0.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