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本 硏究의 目的은 국내 대학에서 교양 필수과목으로 개설되어 있는 학술적 글쓰기 강좌, 즉 특수 학문목적 글쓰기의 講座 現況, 敎育 目標 및 內容, 運營 體系의 방향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567808
-
2012
-
KCI등재
학술저널
431-455(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P> 本 硏究의 目的은 국내 대학에서 교양 필수과목으로 개설되어 있는 학술적 글쓰기 강좌, 즉 특수 학문목적 글쓰기의 講座 現況, 敎育 目標 및 內容, 運營 體系의 방향성...
<P> 本 硏究의 目的은 국내 대학에서 교양 필수과목으로 개설되어 있는 학술적 글쓰기 강좌, 즉 특수 학문목적 글쓰기의 講座 現況, 敎育 目標 및 內容, 運營 體系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두었다. 각 대학은 外國人을 위한 교양필수 글쓰기 강좌를 開設하고 있으나 교육의 목표나 내용, 체계 등에서 一般班과 偏差를 보여 특수 학문목적 글쓰기에 적합한 敎育 目標와 敎育 內容, 運營 體系를 定立해 보았다.</P><P> 外國人班의 학술적 글쓰기의 巨視的 目標는 一般班과 동일하게 적용하되 微視的으로는 학술적인 글에 적합한 글쓰기 능력을 涵養하는 1차적 목표와, 語彙力, 思考力, 意思疏通 能力을 涵養하는 2차적 목표로 세분할 수 있다. 특수 학문목적 글쓰기의 敎育 內容으로는 글쓰기의 이론과 실습, 전공 어휘 및 고급 한자어 학습, 텍스트 이해력 향상, 발표와 토론 등을 제시할 수 있다. 외국인반의 학술적 글쓰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受講生의 定員을 最小化하고 補助 敎育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교양필수과목 글쓰기 以後의 後續 課程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P>
學問目的 글쓰기를 위한 문장 구성 틀 硏究 -終結表現에 따른 連結表現의 共起 樣相의 差異를 중심으로-
1920年代 近代小說의 形成과 ‘新聞記事’의 小說化 方法 -「발[簾]」과 「檢事局待合室」을 中心으로-
申在孝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物慾의 表出 樣相과 그 意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