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學問目的 韓國語의 글쓰기 現況과 方向性 - 大學 敎養 必須科目의 特殊 學問目的 글쓰기를 中心으로 = The Current Situations and Directivity of Korean Writing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5678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P>&nbsp;&nbsp;本 硏究의 目的은 국내 대학에서 교양 필수과목으로 개설되어 있는 학술적 글쓰기 강좌, 즉 특수 학문목적 글쓰기의 講座 現況, 敎育 目標 및 內容, 運營 體系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두었다. 각 대학은 外國人을 위한 교양필수 글쓰기 강좌를 開設하고 있으나 교육의 목표나 내용, 체계 등에서 一般班과 偏差를 보여 특수 학문목적 글쓰기에 적합한 敎育 目標와 敎育 內容, 運營 體系를 定立해 보았다.</P><P>&nbsp;&nbsp;外國人班의 학술적 글쓰기의 巨視的 目標는 一般班과 동일하게 적용하되 微視的으로는 학술적인 글에 적합한 글쓰기 능력을 涵養하는 1차적 목표와, 語彙力, 思考力, 意思疏通 能力을 涵養하는 2차적 목표로 세분할 수 있다. 특수 학문목적 글쓰기의 敎育 內容으로는 글쓰기의 이론과 실습, 전공 어휘 및 고급 한자어 학습, 텍스트 이해력 향상, 발표와 토론 등을 제시할 수 있다. 외국인반의 학술적 글쓰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受講生의 定員을 最小化하고 補助 敎育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교양필수과목 글쓰기 以後의 後續 課程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P>
      번역하기

      <P>  本 硏究의 目的은 국내 대학에서 교양 필수과목으로 개설되어 있는 학술적 글쓰기 강좌, 즉 특수 학문목적 글쓰기의 講座 現況, 敎育 目標 및 內容, 運營 體系의 방향성...

      <P>&nbsp;&nbsp;本 硏究의 目的은 국내 대학에서 교양 필수과목으로 개설되어 있는 학술적 글쓰기 강좌, 즉 특수 학문목적 글쓰기의 講座 現況, 敎育 目標 및 內容, 運營 體系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두었다. 각 대학은 外國人을 위한 교양필수 글쓰기 강좌를 開設하고 있으나 교육의 목표나 내용, 체계 등에서 一般班과 偏差를 보여 특수 학문목적 글쓰기에 적합한 敎育 目標와 敎育 內容, 運營 體系를 定立해 보았다.</P><P>&nbsp;&nbsp;外國人班의 학술적 글쓰기의 巨視的 目標는 一般班과 동일하게 적용하되 微視的으로는 학술적인 글에 적합한 글쓰기 능력을 涵養하는 1차적 목표와, 語彙力, 思考力, 意思疏通 能力을 涵養하는 2차적 목표로 세분할 수 있다. 특수 학문목적 글쓰기의 敎育 內容으로는 글쓰기의 이론과 실습, 전공 어휘 및 고급 한자어 학습, 텍스트 이해력 향상, 발표와 토론 등을 제시할 수 있다. 외국인반의 학술적 글쓰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受講生의 定員을 最小化하고 補助 敎育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교양필수과목 글쓰기 以後의 後續 課程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P>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