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이승복 기념관〉의 공간 스토리텔링을 통해 본 반공이데올로기 전시구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269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승복 기념관〉은 기존의 반공관 형태에서 현재의 기념관 형태로 재건립되면서, 자연스레 반공이데올로기를 정착화 시킨 공간이다. 일종의 ‘국가적 기획’이며 다방면의 지원을 통해 ...

      〈이승복 기념관〉은 기존의 반공관 형태에서 현재의 기념관 형태로 재건립되면서, 자연스레 반공이데올로기를 정착화 시킨 공간이다. 일종의 ‘국가적 기획’이며 다방면의 지원을 통해 이를 고착화해 나갔다.
      이 글에서는 기존 연구들이 ‘반공’이라는 담론에 치우쳐 반공을 내포하는 대상과 그 맥락에 대한 연구가 미비했음을 문제의식으로 삼는다. 이에 기존의 연구 공백을 메우고자 문화콘텐츠적 관점으로 실증적 연구를 심화시켰으며, 사례분석은 공간 스토리텔링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연구과정을 통해 〈이승복 기념관〉의 권장관람 동선과 기념관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본관전시실의 전시구조가 쌍둥이 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상→생가→본관→학교→군용장비산책로→묘소오름길(야생화단지)에서 나타내는 환시와 교육의 경험이 본관 내에서 다시 반복된다.
      이승복이 다니던 학교가 위치하고 있는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에서 장소성을 획득하고, 이승복 사건이라는 테마가 더해진다. 이것은 복원·재현·창조의 과정을 거쳐 지정관람의 동선의 형태로 완성된다. 큰 이야기와 작은 이야기가 공존하는 쌍둥이 이야기 구조를 만들어 내고 그 안에서 환시와 교육의 중첩 구조를 이룬다. 이로써 기념관은 반공이데올로기를 강화시키고 재생산해낸다.
      현재의 반공과 평화를 객관화 시키지 못한다면 한 단계 발전한 모습으로 나아가지 못할 것이다. 기존의 전시와 함께 평화통일의 관점에서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함께 내다볼 수 있는 전시구현을 모색해 나가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e Seung-Bok Memorial〉 has naturally made Anti-communism Ideology settle by being rebuilt from the existing anti-communism hall to the current memorial. The settlement of anti-communism ideology is one of 'national project and has been fixed by ...

      〈Lee Seung-Bok Memorial〉 has naturally made Anti-communism Ideology settle by being rebuilt from the existing anti-communism hall to the current memorial. The settlement of anti-communism ideology is one of 'national project and has been fixed by multidisciplinary supports.'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had a critical mind that the studies for the target implying anti-communism and the context by leaning toward the discourse of "Anti-Communism" were insufficient. This study tried to deepen performance studies in the viewpoint of cultural content in order to fill in the blank of the existing studies and used spatial storytelling for spatial analysis.
      This study could confirm that the recommended tour course of 〈Lee Seung-Bok Memorial〉 and the display structure of the exhibition hall in the main building which may be regarded as the core of the memorial consist of a twin structure each other. Both the visual hallucination and educational experiences showing in the course of 'the Statue of Lee, Seung-Bok'→'Model of His House'→'Exhibition Hall'→'His Primary School'→'Outdoor Exhibition'→'Ascending tract to his Tomb(Wildflower Estate)' are again repeated in the main building.
      The placity was acquired at Yongpyeong-myeon, Pyeongchang-gun, Gangwon Province, Korea where his school was located and the theme of 'Lee, Seung-Bok Case' was added. Such factors were completed in the form of visitor's movement of an appointed tour passing through the process of restoration/reproduction/creation. They make the structure of a twin story that both a large story and a small story coexist and the overlay structure of visual hallucination and education in the story structure. Thus, this memorial makes anti-communism ideology strengthen and reproduces it.
      If it cannot objectify the ideology for the current anti-communism and peace, it will be difficult to advance further to the development of one step. The implementation of the exhibition should be planned so that it is possible to look ahead into the past, current and future for correct and peaceful reunification together with the existing exhibi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어가는 말
      • 2. 〈이승복 기념관〉의 원형콘텐츠 형성과 활용
      • 3. 전시공간과 상징물의 의미 분석
      • 4. 나오는 말
      • [국문초록]
      • 1. 들어가는 말
      • 2. 〈이승복 기념관〉의 원형콘텐츠 형성과 활용
      • 3. 전시공간과 상징물의 의미 분석
      • 4. 나오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복기념관, "李承福記念事業 二十五年史" 이승복기념관 1-269, 1993

      2 최준식,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 사계절 1-312, 1997

      3 국립중앙과학관 종합전시연구실, "전시이론과 기법 연구집" 1-101, 1996

      4 박우찬, "전시, 이렇게 만든다" 재원 1-115, 1998

      5 조남현, "자유총연맹의 변주곡: ‘반공, 안보’ 포기하고 ‘화해’ 지향하는 ‘부자유총연맹’" 한국논단 118 (118): 60-71, 1999

      6 박현채, "분단 43년, 반공이데올로기와 민중의식" 역사문제연구소 5 : 49-62, 1988

      7 안창모, "반공이데올로기와 도시 그리고 건축"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11-27, 2005

      8 김혜진, "박정희정권기 반공이데올로기의 정치경제적 기능" 역사문제연구소 18 : 151-162, 1992

      9 심재석, "박물관 전시콘텐츠에 대한 시각인류학적 접근" 한국대학박물관협회 (67) : 111-123, 2006

      10 Michael Belcher, "박물관 전시의 기획과 디자인" 예경 1-343, 2006

      1 이승복기념관, "李承福記念事業 二十五年史" 이승복기념관 1-269, 1993

      2 최준식,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 사계절 1-312, 1997

      3 국립중앙과학관 종합전시연구실, "전시이론과 기법 연구집" 1-101, 1996

      4 박우찬, "전시, 이렇게 만든다" 재원 1-115, 1998

      5 조남현, "자유총연맹의 변주곡: ‘반공, 안보’ 포기하고 ‘화해’ 지향하는 ‘부자유총연맹’" 한국논단 118 (118): 60-71, 1999

      6 박현채, "분단 43년, 반공이데올로기와 민중의식" 역사문제연구소 5 : 49-62, 1988

      7 안창모, "반공이데올로기와 도시 그리고 건축"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11-27, 2005

      8 김혜진, "박정희정권기 반공이데올로기의 정치경제적 기능" 역사문제연구소 18 : 151-162, 1992

      9 심재석, "박물관 전시콘텐츠에 대한 시각인류학적 접근" 한국대학박물관협회 (67) : 111-123, 2006

      10 Michael Belcher, "박물관 전시의 기획과 디자인" 예경 1-343, 2006

      11 최준혁, "박물관 전시공간의 동선계획 및 관람 행태 특성" KSI 한국학술정보 1-413, 2008

      12 Neil Kotler, "박물관 미술관학" 박영사 1-510, 2005

      13 이인화, "디지털 스토리텔링" 황금가지 1-249, 2003

      14 윤충로, "남한 지배이데올로기의 형성과 내면화. in: 시련과 발돋움의 남북현대사" 선인 292-431, 2009

      15 조은희, "남북한 박물관 건립을 통한 국가정통성 확립" 북한연구학회 13 (13): 301-335, 2009

      16 홍건식, "김영삼 정부와 김대중 정부의 대북정책:최고 지도자의 인식적 차이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17 김영순, "공간 텍스트로서 ‘도시’의 스토리텔링 과정 연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4 (24): 167-192, 2008

      18 필자명 미기재, "反共소년 故 李承福 군에 「국민훈장 冬栢章」을 추서,「강원일보」, 1982.4.17"

      19 홍완숙, "反共敎育의 變遷過程에 관한 硏究 : 국민학교 도덕교과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1989

      20 "www. leesb-memorial.or.kr"

      21 전홍기혜, "<조선>, 대법 ‘이승복 판결’로 신화되살리기,「프레시안」, 2006.11.2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통일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3-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논총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9 1.222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