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Effects of DcR3 on the apoptosis in Kaposi's Sarcoma associated Herpesvirus infected human endothelial Cells : 카포시육종연관헤르페스바이러스(KSHV)에 감염된 사람 제대정맥 혈관내막상피세포(HUVEC)에서 DcR3 발현이 세포능동괴사(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6426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카포시육종 연관 헤르페스 바이러스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KSHV)는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감염자에서 카포시 육종(Kaposi's sarcoma, KS)을 유발하는 헤르페스바이러스의 하나이다. KS 병소의 주된 구성세포는 혈관내막세포이며, 혈관내막세포에서 에피좀(episome)형태의 KSHV 유전자를 관찰할 수 있다. 바이러스 감염이나 종양 발생을 방지하는 인체의 중요한 방어기전의 하나는 세포독성 T 세포 (Cytotoxic T lymphocyte, CTL) 또는 자연살해세포 (Natural Killer Cell, NK cell)이 매개하는 Fas-FasL 매개 세포능동괴사(apoptosis)이다. 정상적으로 혈관내막세포는 다량의 Fas를 발현하고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하여 유발되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에 따라 Fas 또는 FasL의 발현이 촉진되고, 이는 곧 감염된 세포의 세포능동괴사로 이어진다. 바이러스는 이러한 기전을 회피할 수 있는 수단을 획득하고 있어야 한다. 본 실험에서는 FasL와 결합하여 Fas-FasL 매개 세포능동괴사를 억제할 수 있는 DcR3의 발현 여부와 그 작용기전을 KSHV가 감염된 HUVEC 세포에서 조사하였으며, 감염 초기에 다량의 DcR3가 발현되고, DcR3에 대한 항체를 동시 투여하였을 때, FasL에 의한 세포능동괴사가 촉진됨을 관찰하였다. 결론적으로 바이러스 감염 초기 DcR3의 발현은 FasL에 의한 세포능동괴사를 효과적으로 방어하는 바이러스의 주요 회피기전이며, DcR3만으로는 완전한 방어효과를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HIV 감염에 따른 면역기능의 억제가 KSHV에 의한 KS 발생의 선행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카포시육종 연관 헤르페스 바이러스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KSHV)는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감염자에서 카포시 육종(Kaposi's sarcoma, KS)을 유발하는 헤르페스...

      카포시육종 연관 헤르페스 바이러스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KSHV)는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감염자에서 카포시 육종(Kaposi's sarcoma, KS)을 유발하는 헤르페스바이러스의 하나이다. KS 병소의 주된 구성세포는 혈관내막세포이며, 혈관내막세포에서 에피좀(episome)형태의 KSHV 유전자를 관찰할 수 있다. 바이러스 감염이나 종양 발생을 방지하는 인체의 중요한 방어기전의 하나는 세포독성 T 세포 (Cytotoxic T lymphocyte, CTL) 또는 자연살해세포 (Natural Killer Cell, NK cell)이 매개하는 Fas-FasL 매개 세포능동괴사(apoptosis)이다. 정상적으로 혈관내막세포는 다량의 Fas를 발현하고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하여 유발되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에 따라 Fas 또는 FasL의 발현이 촉진되고, 이는 곧 감염된 세포의 세포능동괴사로 이어진다. 바이러스는 이러한 기전을 회피할 수 있는 수단을 획득하고 있어야 한다. 본 실험에서는 FasL와 결합하여 Fas-FasL 매개 세포능동괴사를 억제할 수 있는 DcR3의 발현 여부와 그 작용기전을 KSHV가 감염된 HUVEC 세포에서 조사하였으며, 감염 초기에 다량의 DcR3가 발현되고, DcR3에 대한 항체를 동시 투여하였을 때, FasL에 의한 세포능동괴사가 촉진됨을 관찰하였다. 결론적으로 바이러스 감염 초기 DcR3의 발현은 FasL에 의한 세포능동괴사를 효과적으로 방어하는 바이러스의 주요 회피기전이며, DcR3만으로는 완전한 방어효과를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HIV 감염에 따른 면역기능의 억제가 KSHV에 의한 KS 발생의 선행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posi's sarcoma associated herpesvirus (KSHV) is a relatively recently found herpesvirus that causes Kaposi's sarcoma i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ed patients. KSHV is also known as a causative pathogen involved Primary effusion lymphoma (PEL) and multicentric Castleman's disease (MCD). KSHV is subdivided into gamma-herpesvirus and it infects human and causes lytic and latent infection. An important protective mechanism of human body against virus-infection and tumor development is Fas-FasL mediated apoptosis evoked by cytotoxic T cells and Natural Killer cells. Normally, endothelial cells express Fas on their cell surface, and viral infection can evoke Fas-mediated apoptosis. DcR3 is a decoy receptor for FasL and the binding of DcR3 to FasL is preventing Fas-mediated apoptosis. KSHV induced early and sustained expression of DcR3 and anti-DcR3 antibody treatment induced apoptosis of KSHV infected HUVEC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expression of DcR3 plays an important role for preventing apoptosis induced by Fas-FasL mediated apoptosis, and guarante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KSHV infection and maintenance of infection status. And the protection by DcR3 may be not complete, soimmuno-compromization of host by HIV infection could be an essential preceding condition for KS development in vivo.
      번역하기

      Kaposi's sarcoma associated herpesvirus (KSHV) is a relatively recently found herpesvirus that causes Kaposi's sarcoma i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ed patients. KSHV is also known as a causative pathogen involved Primary effusion lympho...

      Kaposi's sarcoma associated herpesvirus (KSHV) is a relatively recently found herpesvirus that causes Kaposi's sarcoma i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ed patients. KSHV is also known as a causative pathogen involved Primary effusion lymphoma (PEL) and multicentric Castleman's disease (MCD). KSHV is subdivided into gamma-herpesvirus and it infects human and causes lytic and latent infection. An important protective mechanism of human body against virus-infection and tumor development is Fas-FasL mediated apoptosis evoked by cytotoxic T cells and Natural Killer cells. Normally, endothelial cells express Fas on their cell surface, and viral infection can evoke Fas-mediated apoptosis. DcR3 is a decoy receptor for FasL and the binding of DcR3 to FasL is preventing Fas-mediated apoptosis. KSHV induced early and sustained expression of DcR3 and anti-DcR3 antibody treatment induced apoptosis of KSHV infected HUVEC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expression of DcR3 plays an important role for preventing apoptosis induced by Fas-FasL mediated apoptosis, and guarante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KSHV infection and maintenance of infection status. And the protection by DcR3 may be not complete, soimmuno-compromization of host by HIV infection could be an essential preceding condition for KS development in vivo.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TITLE PAGE = ⅰ
      • TABLE OF CONTENTS = ⅱ
      • ABSTRACT = ⅲ
      • Introduction = 1
      • Materials and Methods = 5
      • TITLE PAGE = ⅰ
      • TABLE OF CONTENTS = ⅱ
      • ABSTRACT = ⅲ
      • Introduction = 1
      • Materials and Methods = 5
      • Results = 15
      • Discussion = 25
      • Conclusion = 29
      • Reference = 30
      • 국문요지 = 3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