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공감’의 조건과 교육실천 원리 = A Study on the Conditions and the Principles of Educational Practice on the ‘Empathy for Dis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27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onditions and the educational practice of the 'empathy for disability'. For this, the attitudes on disability, perspectives of supporting it, the elements and the process of empathy were reviewed. And th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onditions and the educational practice of the 'empathy for disability'. For this, the attitudes on disability, perspectives of supporting it, the elements and the process of empathy were reviewed. And then, the principles of educational practice for educating the empathy for disability were studies in the aspects of composition of the contents, sharing emotions, and practicing empathy.
      As a result, first, for the conditions of the empathy for disabilit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support disability and its phenomena in the relations between injuries and disabilities, and disabilities and society, and requires the formation of empathy integrating its cognitive, emotional, and practical elements.
      Second, for educating empathy for disability, the educational activitie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principle of contents with the cases from multiple-dimensional perspectives, the principle of sharing emotions inducing empathy of accuracy and that of deepening, and the principle of emotional practice through disability-empathetic speaking method and altruistic motives.
      In addition, the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studies including basic and utilized researches about the empathy for disability, and the development of the actual sources for educating the empathy for disability in the field of schoo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공감을 위한 조건과 교육실천 원리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장애에 대한 시각과 그 지원의 관점, 공감의 요소와 과정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장애공감 교육을 ...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공감을 위한 조건과 교육실천 원리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장애에 대한 시각과 그 지원의 관점, 공감의 요소와 과정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장애공감 교육을 위한 교육실천 원리를 내용구성, 감정공유, 공감실천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장애공감 조건은 손상과 장애, 장애와 사회의 관계 속에서 장애와 그 현상을 이해하고 지원해야 하며, 공감의 인지적, 정서적, 실천적 요소가 통합된 공감형성이 필요한 것으로 보았다. 둘째, 장애공감 교육은 다차원적 접근에 기반 한 사례중심 내용구성의 원리, 내적 심리적 과정을 통하여 정확공감과 심화공감을 유도해 내는 감정공유의 원리, 그리고 장애 친화적인 공감화법, 이타적 동기를 통한 감정실천의 원리에 기반 한 교육활동을 제안하였다. 이와 더불어 장애공감에 대한 기초 및 응용 연구와 학교현장의 장애공감 교육을 위한 실제적 자료개발과 같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재, "현대공감이론을 통한 공맹철학의 재조명 프란스 드 발의 통섭적 공감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413-445, 2012

      2 김경미, "한국장애인복지학 연구동향에 관한 분석과 고찰"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269-294, 2006

      3 박영선, "초심상담자를 위한 공감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0

      4 정동영,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의 문화자본과 교육과정 관점"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1 (11): 1-22, 2018

      5 유성균,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수업에 나타난 보편적 학습 설계 요소 분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0 (10): 129-155, 2017

      6 한경인, "초등교육과정에 삽입된 공감향상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공감능력과 공격행동 및 학급풍토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1 (31): 337-364, 2015

      7 김혜경, "초등 도덕과 교육의 공감 중심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대학원 2015

      8 김자경, "청각장애 고등학생의 공감 특성"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141-156, 2011

      9 강영심, "중학생의 공감능력이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5 (25): 1429-1439, 2013

      10 이동석, "장애학의 다중 패러다임과 한국 장애인복지의 성격-장애인복지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227-251, 2004

      1 이영재, "현대공감이론을 통한 공맹철학의 재조명 프란스 드 발의 통섭적 공감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413-445, 2012

      2 김경미, "한국장애인복지학 연구동향에 관한 분석과 고찰"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269-294, 2006

      3 박영선, "초심상담자를 위한 공감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0

      4 정동영,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의 문화자본과 교육과정 관점"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1 (11): 1-22, 2018

      5 유성균,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수업에 나타난 보편적 학습 설계 요소 분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0 (10): 129-155, 2017

      6 한경인, "초등교육과정에 삽입된 공감향상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공감능력과 공격행동 및 학급풍토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1 (31): 337-364, 2015

      7 김혜경, "초등 도덕과 교육의 공감 중심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대학원 2015

      8 김자경, "청각장애 고등학생의 공감 특성"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141-156, 2011

      9 강영심, "중학생의 공감능력이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5 (25): 1429-1439, 2013

      10 이동석, "장애학의 다중 패러다임과 한국 장애인복지의 성격-장애인복지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227-251, 2004

      11 이대식, "장애인식개선 교육의 내용과 방향에 대한 전문가들의 견해" 33 (33): 113-136, 2013

      12 우충완, "장애인식 관련 연극수행활동에 참여한 예비초등교사들의 입장과 견해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0 (60): 23-46, 2017

      13 정수현, "장애이해교육의 재개념화를 통한 초등학교 장애이해교육의 방향 모색" 1 : 1-63, 2016

      14 김원영, "장애이론의 확장 : 장애학의 다윈주의적 접근은 가능한가" 1 : 65-113, 2011

      15 이지수, "장애의 사회적 모델이 가진 의미와 한계 : 장애 개념정의와 정체성의 정치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5) : 33-54, 2014

      16 김진우, "장애에 대한 사회적 모델의 의의와 한국사회에의 함의" 한국장애인복지학회 (6) : 183-209, 2007

      17 김용득, "장애개념의 변화와 사회복지실천 현장 함의" 한국사회복지학회 51 : 157-182, 2002

      18 박승희, "장애 개념화의 진전이 장애인 지원 구축에 지니는 함의" 한국특수교육학회 38 (38): 27-65, 2004

      19 강경희, "유아 공감능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연구"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9

      20 배정은, "원만성이 용서 동기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의 매개 과정" 한국상담학회 11 (11): 111-123, 2010

      21 김성애, "우리나라 장애이해교육의 의미고찰"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53-73, 2014

      22 정희섭, "역량기반 교육에 근거한 기본 교육과정의 운영 방안"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0 (10): 113-133, 2017

      23 최숙연, "슈타이너의 상상력 개념과 전인교육" 2 (2): 1-17, 2010

      24 남찬섭, "사회적 모델의 실현을 위한 장애정의 고찰: 현행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장애정의의 수정을 위하여"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161-187, 2009

      25 Rosenberg, M. B., "비폭력 대화" 한국 NVC센터 2011

      26 박치범, "문학교육에서의 공감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27 李惠京, "도덕적 동기화요소로서의 공감(empathy)에 관한 연구 : Martin L.hoffman의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28 박성희, "공감학 : 어제와 오늘" 학지사 2004

      29 임정, "공감중심의 집단훈련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0 박성희, "공감적 이해의 구성요소" 29 : 193-235, 1992

      31 이기춘, "공감의 현상과 그 과정" 35 : 171-203, 1997

      32 신경일, "공감의 인지적, 정서적 요소 및 표현적 요소간의 관계" 29 : 1-37, 1994

      33 허순향, "공감의 구성요소와 심리적 기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939-947, 2019

      34 이은영, "공감의 교육학적 의미 연구: 학교폭력에서 인성교육을 위한 공감의 의미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1 (21): 5-27, 2015

      35 허순향, "공감능력 척도 및 프로그램 개발"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7

      36 이준, "공감기반 학습모형 개발연구" 교육연구원 30 (30): 157-177, 2014

      37 박성희, "공감, 공감적 이해" 원미사 1994

      38 박병춘, "공감 발달을 위한 도덕교육 방법"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13 (13): 127-144, 2009

      39 박성희, "공감 교육에 대한 개관 연구 :1970년 이후 영어로 출판된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41 (41): 499-518, 2003

      40 고경희, "공감 교육 프로그램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공감적 태도 변화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2 (22): 115-142, 2018

      41 이수지, "‘공감’기반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7

      42 Miller, P. A., "The relation of empathy to aggressive and externalizing/antisocial behaviour" 103 : 324-344, 1988

      43 Rifkin, J., "The empathic civilization" Tarcher 2010

      44 Shakespeare, T., "The Disability Studies Reader" Taylor & Francis Group, LLC 197-204, 2006

      45 Salmon, S., "Teaching empathy : The PEACE curriculum" 12 (12): 167-173, 2003

      46 Titchner, E., "Experimental psychology of the thought processes" Macmillan 1909

      47 Cooper, B., "Empathy, interaction and caring : Teachers' roles in a constrained environment" 22 (22): 12-21, 2004

      48 Cooper, B., "Empathy in education: Engagement, values and achievement" Bloomsbury Publishing 2011

      49 Eisenberg, N., "Empathy :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relation to prosocial behavior" 14 : 131-149, 1990

      50 Rogers, C. R., "Empathic : An unappreciated way of being" 5 : 2-10, 1975

      51 Hoffmam, M. L., "Emotions, cognitions, and behavior" Cambridge Univ. Press 1984

      52 Priestley, M., "Disability: A Life Course Approach" Polity Press 2003

      53 Oliver, M., "Disability and Society: Emerging Issues and Insights" Longman 18-42, 1996

      54 Truax, C. B., "Client and therapist transparency in the psychotherapeutic encounter" 12 : 3-9, 1965

      55 Hoffmam, M. L., "Approaches to moral development" Teachers Colleague 157-179, 1993

      56 교육부, "2019년 특수교육 운영계획" 교육부 2019

      57 교육부, "2018년 특수교육 운영계획" 교육부 2018

      58 교육부, "2017년 특수교육 운영계획" 교육부 2017

      59 보건복지부, "2017년 장애인 실태 조사" 보건복지부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3 0 1.289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