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원종원, "뮤지컬",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2 Becker , H. S., "Art Worlds", 1982
3 홍종윤, "팬덤문화",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4 Jenkins , H., "Textual poachers", 1992
5 양혜숙, "연극의 이해", 서울:세문사, 1997
6 박용재, "뮤지컬감상법", 서울:대원사, 1998
7 최민우, "뮤지컬 사회학", 파주:이콘, 2014
8 이수진, 조용신, "뮤지컬 이야기", 고양:숲, 2009
9 이동욱, "뮤지컬의 이해", 파주:살림, 2012
10 오수연, "미닝아웃 바람", 「마케팅」, 53권 11호, 55-61, 2019
11 Duffet, M., "팬덤 이해하기", 파주:한울아카데미, 2016
12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파주:한울, 2020
13 박성봉, "대중예술의 미학", 서울:동연, 2006
14 김난도, 이수진, 서유현, "2019 트렌드 코리아", 서울:미래의 창, 2018
15 Donoghue , D., "The arts without mystery", 1983
16 Grotowski J ., "Towards a Poor Theatre .", 2002
17 원승룡, "문화이론과 문화철학", 파주:서광사, 2007
18 황현경, "뮤지컬 안무 구성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춘계1 학술대회 논문집」, 147-152, 2014
19 김영석, 정종원, 유기웅, "질적 연구 방법의 이해", 서울:박영사, 2012
20 조용환,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파주:교육과학사, 1999
21 이용관, "관객을 만드는 예술경영",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22 이기홍, "설명적 사회학과 글쓰기", 「한국사회학」, 40권 6호, 1-24, 2006
23 Zolberg , V. L., "Constructing a Sociology of the Arts", 1990
24 양종회, "문화적 취향의 분화와 계급", 「한국사회학」, 43권 5호, 170-209, 2009
25 Haag, E. V., "쉴즈의 문화론에 대한 이견", 강현두 (역). 대중 시대 의 문화 와 예술, 노만 제이콥스(Norman, J.) 엮음. 서울:홍성사, 1980
26 오재호, "청년에게 무엇이 필요한가?", 「이슈&진단」, 338호, 1-26, 2018
27 Phelan , P., "Unmarked : the Politics of Performance", 1993
28 강석균, "대한민국에서 뮤지컬 만들기",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29 박문서, "인터넷 익명성과 전자상거래", 「통상정보연구」, 4권 2호, 1-22, 2002
30 홍영주, "공연예술 관객연구의 틀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 논문, 2004
31 장미혜, "문화 자본과 소비양식의 차이", 「한국사회학」, 35권 3호, 51-81, 2001
32 임민정, "팬덤에 의한 패션콘텐츠 생산", 「기초조형학연구」. 16권 6 호, 483–494, 2015
33 윤명, "신세대 남성 마니아 문화 연구", 「한국문화학회지」, 50권 8호, 87-98, 2000
34 오찬호, "88만원 세대를 읽어내는 딜레마", 「문화과학」, 63호, 107-123, 2010
35 김소영, 신혜선, "뮤지컬 관객의 시장세분화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6권 5호, 131-144, 2006
36 이성희, "한국문화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서울:박이정, 2015
37 김정윤, "문화교육으로서의 팬픽장르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 문, 2013
38 이상길, "문화매개자 개념의 비판적 재검토", 「한국언론정보학보」, 52 호, 154-176, 2010
39 차태호, "꿈의 예술 뮤지컬 연출 체크리스트", 서울:남지, 1998
40 전범수, "문화예술 취향 레퍼토리 구조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논문 지」, 12권 6호, 201-210, 2012
41 최승연, "확장하는 보편, 타협하는 로컬리티", 「한국극예술연구」, 55 호, 163-208, 2017
42 이세진, 지성욱, 조인희, "한국 뮤지컬 시장 발전을 위한 연구", 「한국 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44-50, 2014
43 김영삼, 김장현, "창작 뮤지컬 <혜초>의 무대의상 연구", 「복식」, 62 권 5호, 125-137, 2012
44 김수영, "국내 뮤지컬 문화 권력의 생성과 분화", 동국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 논문, 2019
45 베르비기에 마티유, 조영한, "케이팝(K-pop)의 한국 팬덤에 대한 연 구", 「한국언론정보학보」, 81호, 272-298, 2017
46 Jenkins , H., "Convergence cuture : Where old and new media collide", 2008
47 최준명, "공연 마니아의 댄스드라마에 대한 인식",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48 김현정, 정순희, "라이프스타일 연구에 관한 이론적 고찰", 「소비문화 연구」, 5권 2호, 107-128, 2002
49 Pailler , D., "A Model for Measuring the Goals of Theatre Attendance", 1 ( 2 ) , pp.4-15 ., 1999
50 Lewis , L. A, "The Adoring Audience : Fan Cultural and Popular Media", 1992
51 최경아, "음악극을 활용한 민요 시김새 지도 방안",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52 오현철, "쟁점과 비평: 차이를 육화시키는 자본들", 「정치비평」, 4권. 326-334, 1998
53 이가야, "프랑스의 사회통합과 지역발전 문화정책", 「프랑스문화예술 연구」, 62집, 187-214, 2017
54 윤택림, "문화와 역사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아르케, 2004
55 이문행,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한국 드라마의 특성",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1권 6호, 167-175, 2011
56 안민희, 주보림, "패션디자인의 윤리적 지향 가치의 범주화", 「한국패 션디자인학회지」, 19권 2호, 93-105, 2019
57 임혜경, "공연 관람 결정요인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58 서문식, 이샛별, 엄성원, "문화공연 청중의 문화적 취향에 관한 연구", 「문화와 융합」, 42권 4호, 757-788, 2020
59 박은희, "한국 성인들의 예술문화 소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60 민지혜, "뮤지컬 30대 여성 팬덤 및 마케팅 적용 연구", 한국예술종 합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61 원종원, "뮤지컬 관극 동기와 선호 유형에 관한 연구", 「주관성연 구」, 12권, 14-31, 2006
62 김수연, 이영선, 김혜지, 김한나, "20대 청년세대의 페미니즘에 대한 태도 유형", 「주관성 연구」, 42호, 69-92, 2018
63 최태규, "문화콘텐츠로서 뮤지컬의 선택 및 만족 요인", 「한국콘텐츠 학회논문지」, 11권 6호, 205-214, 2011
64 이정화, "정기은 국내 뮤지컬 산업의 발전현황과 변화", 「문화산업연 구」, 13권 4호, 43-53, 2013
65 박현주, 임대근, "국내 라이선스 뮤지컬 공연 현황과 특징 분석", 「인 문콘텐츠」, 40호, 253-269, 2016
66 김효진, "한국 동인문화와 야오이: 1990년대를 중심으로", 「만화애니 메이션 연구」, 30호, 263-291, 2013
67 원종원, "한국 뮤지컬 산업의 특성에 관한 시론적 연구", 「사회과학 연구」, 11권 1호, 123-143, 2005
68 차윤미, "한국 뮤지컬로 바라본 대중문화 속 팬덤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69 권경은, 김은미, "공연예술계 온라인 문화매개자의 등장과 변화", 「언 론정보연구」, 49권 2호, 74-114, 2012
70 강원석, 김보건, "군 관련 드라마가 군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 회과학연구」, 35권 1호, 91-112, 2018
71 강연곤, 김민철, 강진숙, "인터넷 팬덤 문화의 생산과 공유에 대한 연 구", 「한국방송학보」, 26권 1호, 7-42, 2012
72 김은정, "뮤지컬 관객의 티켓구매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73 박재홍, "세대명칭과 세대갈등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경제와 사 회」, 81 호, 10-34, 2009
74 이봉조, "청년 주거문제를 둘러싼 재산권과 주거권 갈등", 「도시와 빈 곤」, 107권, 62-85, 2014
75 이봉현, 진민정, 이선민, "밀레니얼 세대의 뉴스 이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34권 4호, 80-115, 2020
76 윤여광, "방탄소년단(BTS)의 글로벌 팬덤과 성공요인 분석", 「한국엔 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3권 3호. 13–25, 2019
77 Tapscott , D., "Grown Up Digital : How the Net Generation is Changing Your World", 2008
78 허은영, "공연물 해외 진출 방안 연구: 뮤지컬을 중심으로", 한국문화 관광연구원, 2013
79 김지현, 이상길, "문화매개자로서 아마추어 영화비평 블로거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21권, 5-40, 2012
80 이희은, "문화연구의 방법론으로서 가추법이 갖는 유용성", 「한국언 론정보학보」, 54호, 276-97, 2011
81 안신영, "공연콘텐츠의 키치적 문화취향 수용에 관한 연구", 「문화콘 텐츠연구」, 5호, 163-184, 2015
82 허정경, "사이버상의 놀이 공간으로서 청소년의 덕후 문화", 「디지털 융복합연구」, 16권 3호, 87-94, 2018
83 황원진, "아이돌의 뮤지컬 출연에 따른 공연시장 변화연구", 상명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84 최연수, "뮤지컬 관객의 재관람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홍익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20
85 조윤설, 조택연, "밀레니얼 세대의 공간 소비에서 나타난 특징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5권 1호, 413-429, 2019
86 허희진, "셀프기프트 동기에 따른 패션 제품 유형별 선호도", 서울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87 박혜성, "한국 뮤지컬 마니아 관객 활동의 문화 정치적 함의", 「언론 과 사회」, 25권 1호, 37-96, 2017
88 전유정, 전은자, "한국 창작 뮤지컬 안무의 시대적 흐름에 관한 고찰", 「무용역사기록학」, 39권, 189-211, 2015
89 박성복, 전범수, 박조원, "문화 취향에 따른 대중문화 블로그 이용 특 성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9권 1호, 127-158, 2012
90 김은미, 이혜미, 오수연, "문화소비 행위로서 텔레비전을 본다는 것에 관하여", 「한국방송학보」, 26권 3호, 135-175, 2012
91 박재홍, "신세대의 일상적 의식과 하위문화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 사회학」, 29권 F호, 651-683, 1995
92 Block , G., "Enchanted Evenings : The Broadway Musical from Show Boat to Sondheim .", 1997
93 조복행, "뮤지컬 반복 소비자의 특성과 선호 경향에 관한 연구", 추계 예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94 김수정, 최샛별, "부르디외의 지적 전통이 한국 문화정책에 갖는 함 의", 「문화정책논총」, 32권 2호, 33-55, 2018
95 김수환, "웹툰에 나타난 세대의 감성 구조: 잉여에서 병맛까지", 「탈경 계인문학」, 4권 2호, 101-123, 2011
96 윤민정, 전병준, "흥행 불확실성에 따른 국내 뮤지컬 산업의 흥행전 략", 「예술경영연구」, 17권, 110-139, 2010
97 박혜숙, "신세대 특성과 라이프 스타일 연구:Z 세대를 중심으로", 「인 문사회21」, 7권 6호, 753- 767, 2016
98 지혜원, "국내 뮤지컬 창작지원사업의 발전적 전환을 위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18권 2호, 39-50, 2018
99 김일송, "남성 가부장제에 대한 반동: 뮤지컬 <베르나르다 알바>", 「연극평론」, 100권. 78-82, 2021
100 송은아, "뮤지컬에서 관람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공연요소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45-50, 2015
101 설진아, "밀레니얼세대의 모바일 뉴스소비와 소셜미디어의 영향",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9권 4호, 123-133, 2018
102 김희정, "한국 뮤지컬의 변천과 뮤지컬 의상의 특성에 관한 고찰", 「복식문화연구」, 18권 6호, 1112-1126, 2010
103 Auslander , P., "Digital Liveness : A Historico-Philosophical , A Jourral of Performance Art", 34 ( 3 ) , pp.3-11 ., 2012
104 권혁인, 최용석, 정순규, "관객유형에 따른 공연관람 구매의사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권 2호, 139-150, 2015
105 송은아, 표원섭, 임준묵, "뮤지컬 공연에서 관객의 관람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1권 4호, 37-47, 2017
106 김예란, "온라인 뉴스 이용자의 문화 취향과 뉴스 소비유형의 관 계", 「한국언론학보」, 52권 4호, 129-151, 2008
107 김유나, "팬픽션의 생성 구조 연구: <스타 트렉(Star Trek)>을 중심 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108 Couldry , N., "LivenessReality. ” and the Mediated Habitus from Television to the Mobile Phone", 7 , 356-357 ., 2004
109 김기은, "밀레니얼 세대 여성의 구조화된 소비와 ‘소확행’의 의미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20
110 박신의, 임지영, "창작 뮤지컬 속성이 작품 가치와 재구매 의도에 미 치는 영향", 「서비스경영학회지, 16권 1호, 173-200, 2015
111 김소영, "지주은 뮤지컬 관객의 플로우(Flow) 경험 구조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1-21, 2008
112 고명지, "청년세대 문화와 경계짓기: 청년세대 공간의 이동을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28권 2호, 207-271, 2020
113 이영자, "신자유주의 시대의 초개인주의: 개인주의의 후기 근대적 변 종", 「현상과 인식」, 35권 3호, 103-127, 2011
114 이은형, "밀레니얼과 함께 일하는 법: 세대 차이를 성장에너지로 바꾸 다", 서울:앳워크, 2019
115 박진영, "앤드류 로이드 웨버의 뮤지컬 작품에 나타난 선율적 특성 연 구", 「음악과 문화」, 24호, 175-205, 2011
116 김보름, "예술 장에서의 아마추어 예술가: 일상의 예술 실천과 상징 투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8
117 이광옥, "외식소비자의 개인가치성향이 브랜드 인지유형에 미치는 영 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118 Bourdieu, P., "La distinction . 최종철 (역) (2005). 구별짓기: 문화 와 취향의 사회학", 서울:새물결, 1979
119 김연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국내 오페라 공연의 관객특성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120 박기웅, 조정연, "현대소비사회에서의 취향과 유행의 상관성과 대중문 화의 역 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권 2호, 165-175, 2010
121 이상길, "문화생산과 지배: 피에르 부르디외의 '장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언론과 사회」, 9 권 1 호, 7-46, 2001
122 김민정, 김훈순, "팬픽의 생산과 소비를 통해 본 소녀들의 성 환타지 와 정치적 함의", 「한국언론학보」, 48권 3호, 330-353, 2004
123 김수영, "공연예술 분야의 새로운 문화 권력의 생성: 뮤지컬 관객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19권 2호. 433-462, 2018
124 나은영,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익명성, 상호작용성 및 집단극화를 중 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2권 1호, 93-127, 2006
125 한정림, "뮤지컬 <숲속으로> 분석을 통한 스티븐 손드하임의 음악적 특징 연구", 「인문사회 21」, 6권 3호, 393-415, 2015
126 고정민, 박지혜, "상상적(Imagery) 자극이 공연예술상품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정책논총」, 28권 1호, 197-222, 2014
127 이민희, "온오프라인의 상호작용으로 구축되는 연쇄적 관극 문화에 관 한 고찰", 「한국극예술연구」, 63집, 261-315, 2019
128 김은정, "뉴미디어 시대의 팬덤과 문화매개자: 방탄소년단(BTS) 사례 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권 1호, 378-391, 2020
129 이은현, "밀레니얼 세대의 한복에 대한 인식과 한복 대여 체험에 관한 질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8
130 정연자, 한금주, "한국 뮤지컬 관람객의 관람 동기가 몰입 및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양예술」, 29권. 216-238, 2015
131 정은숙, "허정선 ‘소니아 리키엘’의 무대의상 연구: 뮤지컬 <십계>를 중심으로", 「한국패션뷰티학회지」, 4권 2호, 65-73, 2006
132 김상욱, "한국 창작 뮤지컬의 해외 진출 지원방안 연구: 아시아 지역 을 중심으로", 「문화산업연구」, 16권 1호, 1-10, 2016
133 김영택, 오하나, "국내외 뮤지컬 관람객의 작품 구매요인과 재관람 의 도간의 구조적 관계", 「서비스경영학회지」, 19권 2호, 217-235, 2018
134 강주영, 채혁기, 박상언, "인터넷 쇼핑몰을 위한 AISAS 모델 기반의 RSS 마케팅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3권 3 호, 21-49, 2008
135 지혜원, "공연의 확장과 매개된 라이브니스: LCT(Livecast Cinema Theatre)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136 조영한, "인터넷과 민속지학적 수용자 연구: 인터넷 에스노그라피의 가능성과 과제", 「미디어, 젠더 & 문화」, 21호, 101-134, 2012
137 김종헌, "창작뮤지컬 산업 분석 및 상품화 전략을 위한 평가모델 구축 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8
138 Small, C., "Musicking: The Meanings of Performing and Listening . 조선우 (역) (2004). 뮤지킹 음악하기", 파주:효형출판, 1998
139 지영호, "민지은 문화예술 향유권 확대를 위한 문화매개 및 문화매개 자에 관한 연구", 「문화정책논총」, 29권 1호, 28-49, 2015
140 신혁진, "손드하임의 뮤지컬: 극적 환상과 진행, 그리고 그에 관련한 작곡 소재와 기법", 「음악이론포럼」, 26권 1호. 129-160, 2019
141 이명진, 최샛별, "음악장르, 여가활동, TV프로그램 선호분석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 문화 지형도", 「한국사회학」, 46권 2호, 34-60, 2012
142 여수경, "정미선 방탄소년단 팬덤의 복합 영향력 분석을 통해 브랜드 활성화 방법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37권 3호, 295-307, 2019
143 김지영, "뮤지컬 <엘리자벳>의 무대의상 스타일링 연구: 여주인공 엘 리자벳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8
144 강주영, "온택트를 통한 뮤지컬 관람 연구: 뮤지컬 <모차르트!> 온라 인 관객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36권 1호, 5-58, 2021
145 조인희, 지성욱, "한국 현대 뮤지컬의 발전 전략에 관한 연구:뮤지컬 제작 기획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8권 3호, 231-239, 2014
146 Duffet, M., "Understanding fandom: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media fan culture . 김수정, 곽현자, 김수아", 박지영 ( 역 ), 2013
147 최윤영, "뮤지컬 안무가의 춤 특성에 관한 연구: Hanya Holm, Jerome Robbins, Bob Fosse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148 권경은, 김은미, "문화자본과 확장된 ‘문화소비’:무엇을 소비하는가에 서 어떻게 소비하는가로", 「한국언론정보학보」, 69권 1호, 111-138, 2015
149 정재민, "청소년문화의 탈(脫)하위문화 현상에 관한 일 연구: 팬덤 (Fandom)문화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150 엄경희, 엄태경, "2020-2030 문화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 선호도 연구: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6권 2 호, 337-349, 2020
151 Fiske , J ., "The cultural economy of fandom . In L. Lewis ( Ed . ) , The adoring audience : Fan culture and popular media", 1992
152 홍일선, "세대 간 정의와 평등 - 고령사회를 대비한 세대 간 분배의 불균형문제를 중심으로", 「헌법학연구」, 16권 2호, 453-484, 2010
153 나미수, "민속지학적 수용자 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국내 연구 사 례에 대한 분석과 평가", 「커뮤니케이션 이론」, 1권 2호, 68-105, 2005
154 정수영, "신한류 드라마 미남이시네요의 수용 및 소비 방식은 한류 드 라마와 어떻게 다른가?", 「한국언론정보학보」, 85호, 61-100, 2017
155 한유희, "BTS 팬덤 콘텐츠로서 아미피디아 연구: 아이돌 팬덤에서 코 스모피디아는 존재하는가", 「인문콘텐츠」, 54권 9호. 143-161, 2019
156 정혜임, "밀레니얼 세대의 자기 보상적 문화예술 소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과 만족도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20
157 조도형, "스타시스템의 컨버전스화에 관한 연구: 스타 미디어 팬 기획 사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158 서정미,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한 문화생비자의 성장과 영향에 관한 연구: 뮤지컬 매니아 사례",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159 최샛별, "문화사회학으로 바라본 한국의 세대 연대기: 세대 간 문화 경험과 문화 갈등의 자화상", 서울:이화여자대학교 출판문화원, 2018
160 박예송, 박지혜, "일-생활 균형 (Work-Life Balance) 에 관한 국내 연구 동 향: 2000년 이후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HRD연구」, 15권 1호, 1-29, 2013
161 심보선, "문화매개(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문화정책과 문화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27권 2호, 333-383, 2019
162 한수교, "K-Pop 팬덤 내 사진 이미지 생산 및 소비에 관한 분석: ‘찍덕’의 트위터 사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 문, 2019
163 신정아, "공연 소비자의 수용자 특성 연구: 혁신확산이론에 따른 뮤지 컬 수용 시기별 소비자 특성",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164 김설화, 김태은, "뮤지컬 광고 커뮤니케이션이 관객의 관람 태도, 관람 의도 및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 문지」, 13권 8호, 281-290, 2019
165 김경숙, 배성진, "음악극 창작활동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 자기표현력,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17권 1 호, 51-70, 2020
166 안서영, "현대 패션 소비자의 공간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밀레니얼 소비자의 소비욕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9
167 Storey, J., "Cultural Theory and Popular Culture: An Introduction . Routledge. 박만준 (역) (2014). 대중문화와 문화이 론", 서울:경문사, 1994
168 Giorgi, A. P.,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 신경 림, 장연집, 박인숙 (역) (2004).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서울:현문 사, 1991
169 박주연, 신형덕, "무료관람이 관람 만족도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 준거 가격과 부정적 신호효과를 중심으로", 「문화산업연구」. 18권 3호. 37-45, 2018
170 강기두, 이지희, "문화예술 공연관람객의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탐색적 연구: 뮤지컬공연관람객을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30권 4호, 1143-1167, 2001
171 정재철, "민속지학적 수용자 연구의 방법론적 과제와 전망: 문화연구 에서의 연구 전통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9호, 103-144, 1997
172 정은이, "밀레니얼 세대가 방송콘텐츠 제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전문가인터뷰를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41권 4호, 613-654, 2019
173 강정빈, 이상원, "케이팝(K-Pop) 영상콘텐츠 이미지의 기호학적 해석: 방탄소년단(BTS)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애니메이션연구」, 15 권 3호, 28–50, 2019
174 임승준,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K-POP 아이돌에 관한 연구 : 방탄소 년단(BTS) 트위터(Twitter)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2020
175 심희경, 이현서, "청년층 이직 과정에 나타난 일 경험과 일의 의미: ‘가족 중심 개인화’ 전략으로써의 이직", 「문화와 사회」, 22권, 283-348, 2016
176 유현정, 이준영, 이은희, "20대 청년세대의 고민과 경제문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 주요 인터넷 게시판 분석을 중심으로", 「소비자정책교육 연구」, 2권 2호, 121-143, 2016
177 조소연, "밀레니얼 세대의 소비성향 분석에 따른 공연예술 관객개발 연구: 디지털 친밀감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20
178 Gans, H. J., "Popular Culture and High Culture: An Analysis and Evaluation Of Taste . 이은호 (역) (1996). 고급문화와 대중문 화", 서울:현대미학사, 1974
179 지경민, "공연소비자의 공연 관람 행동 유형과 라이프스타일의 관계 에 관한 연구: 음악 공연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180 김지현, "문화매개자로서 영화비평 블로거 연구: 웹 이후, 아마추어 비평의 발전과 영화비평 문화의 변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181 진서아, "디지털 기술 도입에 따른 뮤지엄 전시 환경 변화와 관람객 동향 연구: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9
182 신용환, "이캐시연주 이중적 관점으로 본 밀레니얼 세대의 소비와 거 울을 통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4 권 1호, 355-364, 2018
183 오하나, "뮤지컬 관람객의 작품 구매요인이 지각된 가치와 관람객 만 족을 통해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184 김상용, 노승국, "뮤지컬 더블 캐스팅에 대한 소비자 구매의도 연구: 스타 선호도, 지식 수준,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문화경제연구」, 18권 1호, 199-211, 2015
185 김영석, "밀레니얼 세대의 '광장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온/오프라인 연계를 통한 집단지성 발현 효과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8
186 오유경, "스타 캐스팅의 뮤지컬 관객개발 효과 연구: 혼합적 연구 방 법을 통한 스타, 작품, 장르의 연관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2016
187 백새미, "뮤지컬에서 출연 배우가 뮤지컬 인지도와 티켓 구매에 미치는 영향 연구: 뮤지컬 마니아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188 김정아, 이정훈, "밀레니얼 세대의 소비가치와 스마트폰 구매행동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기성세대와의 비교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 츠학회 논문지」, 21권 8호, 1465-1480, 2020
189 김남조, 김수아, "베이비붐 세대와 밀레니얼 세대의 여가환경이 여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여가 공유자를 중심으로", 「관광연구논총」, 32권 3호, 121-143, 2020
190 오현주, "한국의 라이선스 뮤지컬 생산문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 문화 생산자의 역할 변화와 재구성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191 남주원, "‘언택트(Untact)’ 기법의 공연예술 마케팅에 관한 연구: 온라 인 기반 의 미디어를 활용한 공연예술 마케팅",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 논문, 2020
192 박정아, "TV드라마의 인공지능 로봇 재현에 대한 시청자 반응 연구: 디시인사이드 <너도 인간이니?> 게시판을 중심으로", 「인간연구」, 40 호, 223-259, 2020
193 노미정, "창작 뮤지컬에 드러난 춤에 내재된 민속성에 대한 연구: <살짜기 옵서예>, <물도리동>, <명성황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194 김현우, "밀레니얼 세대 청년층의 수도권 재집중화 요인에 관한 연구: 삶의 자 기결정권 선호와 불안정 속의 안정 선택", 서울시립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 논문, 2020
195 이동배, "피스크의 팬덤 논의를 바탕으로 하는 글로벌 팬덤의 공동체 성 연구: 방탄소 년단(BTS)의 아미(ARMY)를 중심으로", 「인문콘텐 츠」, 55호, 27-45, 2019
196 이문희, "오타쿠로서의 자기 인식과 정체성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일본 만화 애니메이션 수용자들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 논문, 2017
197 박성연, "뮤지컬 마니아 관객의 형성과 자발적 행동 특성에 관한 연 구: 제작사 MJ Starfish 마니아 관객의 문화매개 활동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20
198 임찬묵, "뮤지컬 회전문 관객의 미시사회학적 분석: 뮤지컬 <헤드윅> 의 관객들과 Colon 오페라하우스의 Opera Fanatic의 비교를 중심으 로", 「문화산업연구」, 17권 2호, 89-97, 2017
199 하은아, "취향 문화로서 대중문화의 고급문화 차용(借用)이 고급문화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 MUJI의 Thonet Chair Redesign 사례 중심 으로", 「디자인학연구」, 25권 1호. 47-56, 2012
200 양희수, 현은정, "문화예술 분야에서 ‘욜로(YOLO)’의 활용 및 확산: 신문 기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Text network analysis)을 통한 매핑(Mapping) 사례연구", 「문화와 융합」, 40권 1호, 29-66, 2018
201 김소라, "공익연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서 감성 소구가 밀레니얼 세 대 소비 자에게 미치는 영향: 자부심과 죄책감, 조절초점 성향을 중심 으로", 한양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20
202 양혜원, "앤드류 로이드 웨버의 뮤지컬과 영국 전통 극음악과의 문화 적 연속 성 연구: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 <캣츠>, <오페라의 유령>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8
203 김미현, "기업과 예술의 협력을 위한 문화매개자의 역할: ‘예술인파견 지원’사업 미술분야의 예술가 퍼실리테이터와 비예술가 퍼실리테이 터의 역할 비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204 김태윤, "서울의 구 공업지대로 전치한 급진적 청년 음악가들의 지역 적 및 초지역적 하위문화 생산: 문래동 GBN 라이브하우스와 을지로 바 신도시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8
205 Benjamin, W., "Gesammelte Schriften. Frankfurt a. M., 1972~89, Bd, I/2, pp. 471-508. (Das Kunstwerk im Zeitalter seines technischen Reproduzierbarkeit, dritte Fassung). 최성만 (역) (2016).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작품/사진 의 작은 역사 외", 서울:길, 1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