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北韓離脫住民의 韓國 社會 適應을 위한 社會敎育的 對應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the social adaptation in South Korea for the Displaced People from North Korea and the Response of Social Education Serv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6279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시대적 상황에 따른 북한이탈주민의 慾求變化를 인식하고 효과적이며 지속적인 社會適應 敎育方法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북한이탈주민이 시대적인 상황변화에 따라 북한을...

      본 연구는 시대적 상황에 따른 북한이탈주민의 慾求變化를 인식하고 효과적이며 지속적인 社會適應 敎育方法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북한이탈주민이 시대적인 상황변화에 따라 북한을 탈출해 나가는 과정과 이에 따른 특성의 변화 및 욕구의 다양화를 살펴보았고 이들이 한국사회에서 適應하는 모습과 不適應의 원인을 고찰함으로써 一生동안 지원해야 할 사회적응교육의 모형을 도출하려하는 한편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탈북자의 국내 유입과 관련하여 對應策을 마련하려는 것이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文獻硏究를 중심으로 한 比較硏究方法이 적용되었으며 일부 북한이탈주민을 개별적으로 심층 면접함으로써 연구목적에 대한 質的 分析의 기초를 갖추는 한편, 관련 설문조사 등에서 나타난 原資料(raw materials)들을 재구성함으로써 가능한 범위 내에서 量的 分析을 竝行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적응에 필요한 社會適應敎育의 模型을 결정짓는 변수로는
      첫째, 탈북의 배경이 되는 北韓의 社會構造的 要因과 周邊國家간에 탈북자를 ‘밀어내는 힘’과 ‘끌어당기는 힘’의 力學的 關係가 고려되었으며
      둘째로는 탈북자들이 국내에 들어온 후 한국사회에 適應하는 모습과 이들의 社會·文化的 욕구와 특성이 사회적응교육에 미치는 影響이 고려되었고
      셋째로 고려한 변수는 한국의 정부 및 민간단체의 定着支援努力과 社會適應敎育간의 상호 代替的 관계이며
      끝으로는 社會敎育學의 自己 主導的이며 相互 學習的인 學習原理가 고려되었다.
      이러한 變因들간의 相互關係에 留意하면서 연구를 진행한 結果
      1) 최근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國外 탈북자와 國內 북한이탈주민은 北韓의 社會構造的 요인과 한국·중국·북한 등 關聯國家간의 國際政治·經濟的 상호작용 요인 등으로 量的 增加趨勢()는 앞으로 지속될 전망이며 質的인 면에서도 이들의 脫北動機와 慾求의 多樣化 경향은 더욱 증폭될 것이 예상됨으로써 한국의 정부 및 민간단체의 정착지원노력과 사회적응교육이 일대 方向轉換을 모색해야 할 단계에 이르렀으며.
      2) 이미 韓國 國籍을 취득한 북한이탈주민 역시 현금지급방식의 定着支援金 制度의 非現實性과 입국초기에 편중되어 있는 單發性 社會適應敎育으로 인해 높은 실업율과 잦은 이직, 정착금 소진 등으로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생활을 하고 있으며 입국초기에 극복되었어야 할 心理的 不安感과 社會·文化的 異質感이 남아있어 심한 憂鬱性向(CES-D 16.77)을 보이는 등, 각 분야의 不適應현상이 심화되고 있어, 계속 방치될 경우에는 社會不安要因이 될 우려가 있음이 밝혀졌다.
      3) 따라서 북한이탈주민 政策에 대한 근본적인 시각을 통일정책 차원보다는 內國民에 대한 社會保障 및 社會敎育정책 차원으로 전환하는 한편
      첫째, 북한이탈주민 정책의 效率的이며 體系的인 추진을 위해 主務部處를 중앙 및 지역의 行政資源을 효과적으로 동원, 관리 가능한 行政自治部로 변경·지정할 것과 거주지 신변보호·취업알선 담당공무원의 역할재편, 脫北者 國內 大量流入에 대비한 地域別 收容 및 敎育施設 조기확보 등 행정지원체계를 정비하고
      둘째, 북한이탈주민의 經濟的 생활안정을 위해 현행 定着支援金 제도를 融資支援方式으로 전환하고 자립·자활교육을 강화하며 하나원과 북한이탈주민 밀집지역에 職業訓鍊機關을 설치하여 직업훈련 기회를 확충하고 사회적 연계망을 활용한 취업알선 활동 등을내실화하며
      셋째, 문화적 異質感과 심리적 不安感을 조기에 극복하고 社會適應能力을 제고하기위해 입국초기에 편중되어 있는 사회적응교육을 일생 관리적인 입장에서 계속 지원하는 방안을 강구하며 하나원과 민간단체의 사회화 교육과정을 體驗爲主 생활교육으로 전환하는 등 社會敎育次元의 學習방법을 도입하고 心理安定 프로그램의 조기 시행 등 개선방안이 제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hesis is an attempt in direction of developing the social adaptation education for the displaced people from North Korea. For this purpose, the survey takes a look at the situations and needs of them with the changes of times and analyze the soci...

      The thesis is an attempt in direction of developing the social adaptation education for the displaced people from North Korea. For this purpose, the survey takes a look at the situations and needs of them with the changes of times and analyze the social education services by stages.
      The survey is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and individual interviews and SPSS data analyzed from the raw data of the displaced people from North Korea by the Ministry of Unification. For example, the basic data are like these
      1. Literature re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 and North Korea society.
      2. Literature review of the adaptation process in South Korea society, present situation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ced people from North Korea.
      3. Private interviewing with some of them, for qualitative approaches.
      4. Review of preceding studies about adaptation program of them and cases of foreign countries.
      5. SPSS data analyzed from the raw data of them by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nd domestic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for quantitative analyzing.
      In this study,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1. The number of displaced people from North Korea has been rapidly increased since 1990, and it is because that the number of people as the whole family and as the group immigrants has been increased since then. And in this study the speed of rapid increase of the detached people is defined as a numerical formula, . In short, the number of the detached people has increased twice a year. Therefor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m have greatly changed.
      2. Although these phenomena mad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people be concerned about the displaced people from North Korea, they are still faced with many difficulties to adapt themselves to their surroundings.
      Basically they are much in needs of economic help to maintain their lives in this capitalistic society, but the degree of their capacity for living analyzed by the employment rates is high and mostly they strive for job seeking. Since no adequate vocational trainings of government consider their individual peculiarities, their unemployment rate is high, about 40%. In addition, they are suffered from psychological unrest and socio-cultural heterogeneity.
      3. So, in this paper, the directions of improvement of social adaptation education and resettlement policy are followings;
      First, in terms of social security and social education, the detached people from North Korea should be impartially treated.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is the leading Ministry which will effectively drive the policies related to the detached people and will systematically control the administrative resources.
      Second, in case the number of the detached people are huge, accomodations should be regionally secured. Unused schools could be used as the accomodations which would reduce financial burden, teach the people linking the regional industries and protect them safely.
      Third, for the economic living security of them, the existing lump sum method should change to the loan facilitation. We should teach the principle of the market economy to inspire them the will of self-reliance and self-support. In addition, we should establish two kinds of institutions; the elementary job training school in Hanawon and the technical job training school in the detached people aggregated region. The job training would increase the rate of employment of them.
      Fourth, there are some methods to decrease cultural heterogeneity and psychological unrest and to increase social adaptability; early operation of psychological rest program, curriculum reinforcement of Hanawon, introduction of experience-based learning method, inducement of positive participation in community development activities, etc.
      All mentioned above would be materials which could construct a model of social education for the detached peop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序論 = 1
      • A. 間題의 提起 = 1
      • B. 硏究의 必要性 및 目的 = 2
      • C. 硏究의 制限點 = 3
      • 목차
      • Ⅰ. 序論 = 1
      • A. 間題의 提起 = 1
      • B. 硏究의 必要性 및 目的 = 2
      • C. 硏究의 制限點 = 3
      • D. 用語의 定義 = 4
      • Ⅱ. 理論的 背景 = 6
      • A. 適應의 類型과 段階 = 6
      • 1. 適應의 槪念 = 6
      • 2. 適應의 類型과 段階 = 8
      • B. 社會敎育의 學習原理 = 9
      • 1. 社會敎育의 槪念 = 9
      • 2. 社會敎育의 學習原理 = 11
      • C. 先行 硏究 = 13
      • Ⅲ. 硏究의 方法 및 範圍 = 17
      • Ⅳ. 北韓離脫住民의 時代別 增減趨勢와 發生 背景 比較 = 19
      • A. 北韓離脫住民의 增減趨勢에 대한 量的 比較分析 = 19
      • 1. 脫北者의 類型 = 19
      • 2. 在外 脫北者의 現況 = 20
      • 3. 北韓離說住民의 增減趨勢 分析 = 22
      • 4. 北韓離脫住民의 構造的 特性 變化 = 24
      • B. 北韓離脫住民의 脫北背景과 動機에 대한 質的 比較 = 29
      • 1. 脫北 動機의 변화 = 29
      • 2. 脫北 背景의 力學的 比較 = 30
      • 가. 北韓社會에서의 脫北 背景 = 31
      • 나. 在中 脫北者의 韓國行 背景과 展望 = 34
      • 다. 韓國에서 脫北者를 끌어당기는 힘 = 37
      • Ⅴ. 北韓離脫住民의 韓國 社會 定着 및 適應 實態 比較 = 40
      • A. 韓國政府 및 民間團體의 定着支援 實態 比較 = 40
      • 1. 政府의 政策方向과 定着支援 실태 = 40
      • 가. 政策方向 및 法制 = 40
      • 나. 定着支授內譯의 變化 = 46
      • 2. 民間機關의 定着支援活動 = 47
      • 가. 結緣 協力 後援 團體 = 47
      • 나. 直接 서비스 提供 團體 = 48
      • 3. 獨逸의 定着支援政策과의 比較 = 49
      • B. 韓國政府 및 民間團體의 社會適應敎育 比較 = 51
      • 1. 하나원 敎育 (政府의 社會適應 敎育) = 51
      • 2. 民間團體의 社會適應敎育 프로그램 = 56
      • 가. 中央大學校 南北統合敎室 = 56
      • 나. 北韓人權市民聯合 = 58
      • 다. 가양 7동 社會福祉館 = 59
      • 3. 獨逸의 社會適應敎育 프로그램과의 比較 = 60
      • C. 北韓離脫住民의 韓國社會 適應實態 = 63
      • 1. 하나원 敎育 中 適應 實態 = 63
      • 2. 하나원 修了後 社會適應 實態 = 66
      • 가. 韓國社會 適應의 어려움 = 67
      • 나. 經濟分野 適應實態 = 71
      • 다. 非經濟 분야 適應實態 = 75
      • Ⅵ. 北韓離脫住民의 韓國社會 適應의 주요 問題點 = 92
      • A. 北韓離脫住民政策의 獨自性과 實效性 결여 = 92
      • B. 脫北者의 大量流入 可能性에 대한 준비 부족 = 94
      • C. 北韓離脫住民의 不適應에 대한 改善努力 미흡 = 95
      • D. 國內外 社會間題化 可能性에 대한 關心 부족 = 95
      • Ⅶ. 北韓離脫住民 支援政策 및 社會適應敎育 改善 方向 = 97
      • A. 北韓離脫住民에 대한 行政支援體系 改善 = 98
      • 1. 主務部處 변경 등 檢討 = 99
      • 2. 當面 業務循環 體系 補完 = 101
      • B. 北韓離脫住民 收容·敎育 施設 確保 = 102
      • C. 북한이탈주민의 經濟的 生活安定 對策 강구 = 103
      • 1. 自活 意志 함양 및 與件 조성 = 104
      • 2. 職業訓鍊 및 就業斡旋 강화 = 105
      • 가. 職業 訓鍊 = 105
      • 나. 就業 斡旋 = 107
      • D. 社會適應 敎育의 社會敎育的 改善 = 109
      • 1. 入國初期 社會適應敎育의 改善 = 109
      • 가. 異質感 解消 및 適應力 提高 = 109
      • 나. 心理的 不安感 및 葛藤 해소 = 113
      • 2. 社會生活 中 社會適應敎育 支援 强化 = 116
      • 가. 年齡·階層別 社會適應敎育 支援 擴大 = 116
      • 나. 社會生活 中 사회적응교육 支援 體系 내실화 = 117
      • E. 北韓離脫住民 社會適應敎育 時 留意事項 = 120
      • Ⅷ. 結論 = 122
      • 參考文獻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