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안내(韓國案內)」를 통해서 본 개항기 도시계획과 생활상: 1902년 군산을 중심으로 = Korean Modern City and Lifestyle during the Period of Opening Ports through Guide to Korea: Focused on Gunsan, in 1902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uide to Korea published in 1902, which was written by the correspondent of Gwanmun Newspaper, Katsuki Kentaro, was to aid the Japanese visiting, immigrating and carrying out economic activities. Obseving through maps and explanations of each opening ...

      Guide to Korea published in 1902, which was written by the correspondent of Gwanmun Newspaper, Katsuki Kentaro, was to aid the Japanese visiting, immigrating and carrying out economic activities. Obseving through maps and explanations of each opening port in Korea, the characteristics of forming modern cities during the period of opening ports are as follows : Firstly, the opening port was a new city that has the urban grid pattern composed of streets and blocks around the port. 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city maintained the existing urban tissue. Secondly, the degree of urbanization and modernization is in proportion to the period from opening ports. Thirdly, the low level sites around the port were preferred in order to form the modern city, so that the urban area continues to expand through civil works. Finally, the construction of the urban infrastructure should be added as a result of the introduction of modern transportation, thus opening ports set up the basic spatial system of modern city. Gunsan was opened in 1899 as a common settlement-type port, but Japan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modernization and urbanization of Gunsan. Guide to Korea mentioned the first settlement formation period from 1899 to 1903, from the opening ports to the Russo-Japanese War. Japan built a residential area in a settlement with the distinguished grid pattern spread on the flat level. The Japanese settlement and the Korean dwelling area were separated. In terms of demographics, the number of Japanese in Gunsan increased dramatically to 482 at the beginning of opening ports, and the number of households reached 13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기독교회사 홈페이지"

      2 김태영, "한국 개항장의 외인관 연구: 목포 및 군산권" 4 (4): 109-116, 1988

      3 김용욱, "한국 개항사" 서문문고 1976

      4 손정목, "한국 개항기 도시변화과정연구" 일지사 1994

      5 김민영, "하구의 나루터, 포구와 군산, 강경 지역 근대 상업의 변용" 선인 2006

      6 김동희, "진남포의 개항 과정과 무역구조의 변화(1897~1910)" 역사학연구소 (26) : 105-146, 2014

      7 박인옥, "일제강점기 인천의 생산구조와 도시공간의 변화" 인천학연구원 1 (1): 237-274, 2014

      8 김흥순, "일제강점기 우리나라의 도시화 추이"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69-92, 2011

      9 박종현, "일제강점기 신도시 공간구조 분석" 대한건축학회 22 (22): 181-188, 2006

      10 윤희철, "일제강점기 시가지계획의 수립과정과 집행" 도시사학회 (16) : 71-104, 2016

      1 "한국기독교회사 홈페이지"

      2 김태영, "한국 개항장의 외인관 연구: 목포 및 군산권" 4 (4): 109-116, 1988

      3 김용욱, "한국 개항사" 서문문고 1976

      4 손정목, "한국 개항기 도시변화과정연구" 일지사 1994

      5 김민영, "하구의 나루터, 포구와 군산, 강경 지역 근대 상업의 변용" 선인 2006

      6 김동희, "진남포의 개항 과정과 무역구조의 변화(1897~1910)" 역사학연구소 (26) : 105-146, 2014

      7 박인옥, "일제강점기 인천의 생산구조와 도시공간의 변화" 인천학연구원 1 (1): 237-274, 2014

      8 김흥순, "일제강점기 우리나라의 도시화 추이"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69-92, 2011

      9 박종현, "일제강점기 신도시 공간구조 분석" 대한건축학회 22 (22): 181-188, 2006

      10 윤희철, "일제강점기 시가지계획의 수립과정과 집행" 도시사학회 (16) : 71-104, 2016

      11 서기재, "일제강점기 미디어를 통해 본 여행지로서 ‘평양’과 ‘평양인’" 인문학연구원 66 : 235-261, 2016

      12 윤희철, "일제강점기 목포 도시계획의 내용과 특징 - 시구개정과 시가지계획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25 (25): 1-22, 2013

      13 손정목, "일제강점기 도시변화과정연구" 일지사 1996

      14 김흥순, "일제강점기 도시계획에서 나타난 근대성- 조선시가지계획령(朝鮮市街地計劃令)을 중심으로 -" 서울연구원 8 (8): 155-173, 2007

      15 홍순권, "일제강점 하 부산의 지역개발과 도시문화" 선인 2009

      16 김제정, "일본제국주의, 식민지 도시를 건설하다" 모티브북 2005

      17 "인터넷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8 홍유진, "인천시 수변지역의 공간특성과 내부공간구조 분석" 한국지리학회 2 (2): 165-182, 2013

      19 "인조이재팬 홈페이지"

      20 "사진으로 보는 군산 100년"

      21 아이사키코, "부산항 일본인 거류지의 설치와 형성" 3 : 7-40, 2010

      22 유애림, "도시재생사업 과정에 나타난 군산 원도심의 변화 - 근대역사문화벨트화사업 경관로 및 탐방로를 중심으로 한 공간 및 점유자 변화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7 (17): 1-11, 2015

      23 신정엽, "도시 공간 구조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의 비판적 재고찰과 향후 연구 방향 모색" 한국지리학회 3 (3): 67-87, 2014

      24 김영정, "근대 항구도시 군산의 형성과 변화" 한울아카데미 2006

      25 송석기, "군산지역 근대건축물의 현황 및 변천에 관한 기초연구" 대한건축학회 20 (20): 237-246, 2004

      26 박성신, "군산의 근대 창고건물 현황 및 산업유산으로서의 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20 (20): 21-40, 2011

      27 김중규, "군산역사이야기" 나인 2001

      28 "군산시사"

      29 군산부, "군산부사" 민족문화 1995

      30 "군산 개항 100주년 기념 공식 보고서" 군산시 2000

      31 "국가통계포털"

      32 "구글 이미지 검색"

      33 윤정숙, "개항장과 근대도시 형성에 관한 역사지리적 연구 군산항을 중심으로" 20 (20): 74-99, 1985

      34 이규수, "개항장 인천 1883~1910: 재조일본인과 도시의 식민지화" 6 : 5-34, 2007

      35 김주관, "개항장 공간의 조직과 근대성의 표상" 역사문화학회 9 (9): 129-157, 2006

      36 香月源太郞, "韓國案內" 靑木嵩山堂 1902

      37 조성욱, "1914년 호남선 철도 개통이 역명과 지역 중심지 변동에 미친 영향: 전북지역 6개 철도역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 5 (5): 315-329,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 0.86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