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재효 <廣大歌>를 통해서 본 방진관 <赤壁歌>의 演劇性 = The theatricality of “Jeok Byeok Ga” by Jin-kwan Bang: from the point of view of Jae-hyo Sin’s “Gwang Dae G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403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the questions surrounding the identity of the pansori singer Jin-kwan Bang, who is known for preserving the more ancient forms of pansori, even when compared to the five modern masters of the art form. The questions are approache...

      This paper deals with the questions surrounding the identity of the pansori singer Jin-kwan Bang, who is known for preserving the more ancient forms of pansori, even when compared to the five modern masters of the art form. The questions are approached from a theatrical point of view, applying conditions from four explanatory notes, from Jae-hyo Shin’s “Gwang-dae-ga” (Song of the Clown) to Jin-kwan Bang’s “Jeok-byeok-ga.” The content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in four main points as below.
      First, I verified, through various image-based and literary data, that the accompaniment of musical instruments (such as Haegum, Tungso, Gayageum, and Django) in Jin-kwan Bang’s music used to be common practice in traditional drama music. I specifically focused on “Gadodo” (1623, 1725), in which the contents of “Samkukji” (the history of the three states) were reenacted as a play, and on the performance of its pansori singer, who was accompanied by Jin-kwan Bang’s instrumental piece in “Suraksan Heungguksa Gamrotaeng” (1868). The instrumental accompaniment was found to be a device that effectively expressed the song and the spread-out of the play.
      Second, I developed the hypothesis that the literary style of the “Jeok Byeok Ga” was based on the tradition of Man-chun Bang Changbon (the sori-chaek of the house), who embellished and amended novels. Hence, I turned to literary sources for further research on the popularity of novel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nd found that in 『JungmiCollection』(1847) by Choi-jin Yu, there was a culture where the Changwoo told a story in the form of a play . The plays of the Changwoos followed the form Chang + words + acting, which was distinct from the manner in which the Joong-in class sang the novels from “Song,” and also from “Gang,” which was how professional storytellers told stories.
      Third, “Jo Goon Ja Tan” is a song lamenting life, which he sings in the manner he speaks. He uses strong emphasis to emote surprise and anger realistically.
      This seems to be a dramatic interpretation of the song by Jin-kwan Bang, who identified the core concept of the song as a complaint about reality. In “Sam Go Cho Ryeo,” he varied the range of his voice to intricately and realistically depict the appearance of the characters in the play; his wide vocal range allowed him to richly express the development of events. Furthermore, his employment of the technique of progressing sounds sequentially by distinguishing the vowels and consonants, the Shigim-sae technique (an expression of pushing, nudging, and rolling the notes), which is mainly used when playing string instruments, and emphasis on the vowels of words, lend elegance to this song. The deep breaths of rhythm give the song a leisurely feeling. Vocal expressions emphasizing vowels were used as dramatic methods of expressing the actions and emotions of the characters, rather than being just meaningless modulation of sounds. Thus, although “Jo Goon Ja Tan” and “Sam Go Cho Ryeo” describe the characters’ anger through two different musical techniques, it has been proved that they both optimize the delivery and expression of their respective stories, realistically, dramatically, and musically.
      Fourth, as a musician who has not been disturbed by the changes in the world around him, and has steadily kept up the quality of his work, Jin-kwan Bang’s personality can be summarized as being plain yet people-friendly ‘won-won sokpan’, and this is the first criterion to becoming a successful Gwang Da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근대 5명창보다 더 고제의 음악을 간직한 창자로 알려진 방진관 음원의 정체성에 대한 의혹을 방진관 <적벽가>에 신재효 <광대가>에 수록된 사대법례의 조건을 적용하여 연...

      본고는 근대 5명창보다 더 고제의 음악을 간직한 창자로 알려진 방진관 음원의 정체성에 대한 의혹을 방진관 <적벽가>에 신재효 <광대가>에 수록된 사대법례의 조건을 적용하여 연극성의 관점에서 파악하여 보았다. 본문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진관 음원 속 해금, 퉁소, 가야금, 장고와 같은 악기반주는 전통적인극의 관행이었음을 여러 도상자료와 문헌자료를 통해 검증해 보았으며, 특히《가도도》(1623, 1725)에서 삼국지의 내용을 극으로 재현하던 문화,《수락산흥국사감로탱》(1868)에서 방진관음원 악기반주와 동일편성의 악기반주에 따른 판소리 창자의 연행활동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악기반주는 극의 노래 및너름새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던 장치였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방진관 <적벽가>의 문어체적인 사설은 방진관 집안 소리책인 방만춘창본이 소설을 윤색‧개작하여 사용했던 전통을 이은 것으로 보고, 18-19세기소설책이 향유되던 문화를 문헌자료를 통해 살펴보았다. 결과 유최진의『병음시초』<정미집>(1847)에서 창우가 설(說)을 극(劇)으로 연설(演說)하던 문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창우들의 극은 창(唱)+말(白)+연기(科)의 형식을 갖춘것으로, 18세기 중인계층이 소설을 음악적으로 향유하던 송(誦)이나 전문적인이야기꾼이 소설을 강(講)하던 방식과는 구분되었다.
      셋째, <조군자탄>은 말하는 듯이 노래하면서 신세한탄을 하고 있다. 그는강한 강세를 사용하여 깜짝 놀란 행동의 묘사와 화난 감정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데, 이는 사설내용의 핵심을 현실에 대한 불만으로 파악한 방진관의극적 해석방법으로 보인다. <삼고초려>의 경우, 사용 음역대를 달리하여 인물들의 외관을 섬세하고 사실적으로 묘사하였고, 넓은 음역대는 사건전개를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또한 순차적으로 음고를 높여 진행하는 기법, 현악기에서주로 사용하는 음을 누르고 구르고 미는 시김새, 글자의 모음부분을 강조하는표현법이 이곡의 분위기를 우아하게 이끌었으며, 긴 호흡의 장단은 음악을 유장하게 느끼게 하였다. 한편 모음을 강조하는 표현은 무의미한 음의 굴곡이 아니라인물의 행동과 감정을 표현하는 연극적 효과로도 활용되고 있었다. 따라서 <조군자탄>과 <삼고초려>는 화가 난 등장인물의 상황을 서로 다른 표현 방식으로묘사하고 있으나, 각각 사설의 내용 전달 및 표현을 최적화하기 위해 논리적으로치밀하게 짜여져 있어 사실적 이면(裏面)에 맞는 극음악의 성격을 전달하고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세상의 변화와 눈앞의 이익에 동요되지 않고 본인의 작품을 꿋꿋이지켜왔던 방진관의 음악인으로서 삶의 자세를 광대가 갖춰야할 첫 번째 요건인원원(元元)한 속판을 가진 인물치레의 조건으로 파악해 보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대웅, "한국전통음악의 선율구조" 도서출판 어울림 1-234, 1995

      2 전경욱, "한국의 전통연희" 학고재 1-608, 2004

      3 윤광봉, "한국연희예술사" 민속원 1-1087, 2016

      4 김학주, "한‧중 두나라의 가무와 잡희" 서울대학교출판부 1-485, 1994

      5 서종문, "판소리의 개방성" 경남대학교출판부 7 : 151-169, 1980

      6 全信宰, "판소리의 演劇性에 關한 硏究"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89

      7 김종철, "판소리사연구" 역사비평사 1-330, 1996

      8 林東喆, "판소리硏究 : 그 演戱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75

      9 신은주, "판소리 중고제 연구 : SP음반 수록곡의 선율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0 배연형, "판소리 소리책 연구" 동국대학교 출판부 1-408, 2007

      1 백대웅, "한국전통음악의 선율구조" 도서출판 어울림 1-234, 1995

      2 전경욱, "한국의 전통연희" 학고재 1-608, 2004

      3 윤광봉, "한국연희예술사" 민속원 1-1087, 2016

      4 김학주, "한‧중 두나라의 가무와 잡희" 서울대학교출판부 1-485, 1994

      5 서종문, "판소리의 개방성" 경남대학교출판부 7 : 151-169, 1980

      6 全信宰, "판소리의 演劇性에 關한 硏究"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89

      7 김종철, "판소리사연구" 역사비평사 1-330, 1996

      8 林東喆, "판소리硏究 : 그 演戱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75

      9 신은주, "판소리 중고제 연구 : SP음반 수록곡의 선율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0 배연형, "판소리 소리책 연구" 동국대학교 출판부 1-408, 2007

      11 배연형, "판소리 中古制論" 판소리학회 5 : 149-195, 1994

      12 구자균, "춘향전" 교문사 1-569, 1984

      13 송방송, "증보한국음악통사" 민속원 1-985, 2007

      14 박성환, "중고제 판소리 명창 방만춘, 방진관 연구" 한국학연구소 (35) : 39-71, 2010

      15 강명관, "조선후기여항문학연구" 창작과 비평사 1-446, 1997

      16 정노식, "조선창극사" 민속원 1-257, 1940

      17 안대회, "조선을 사로잡은 꾼들" 한겨레출판 1-338, 2010

      18 손태도, "조선시대의 ‘광대’와 ‘판소리’에 대한 몇 가지 논의들" 판소리학회 (36) : 211-266, 2013

      19 "조선시대음악풍속도1" 1-243,

      20 "조선시대음악풍속도1" 1-243,

      21 손태도, "조선시대 화극의 전통과 그 역사" 한국공연문화학회 0 (0): 197-240, 2006

      22 이윤석, "조선시대 상업출판" 민속원 1-326, 2016

      23 김종수, "조선시대 궁중연향과 여악연구" 민속원 1-303, 2001

      24 손태도, "조선 후기 절걸립패 풍물의 성립과 그 풍물사적 의의" 국립문화재연구소 50 (50): 78-117, 2017

      25 손태도, "전통 사회 재담소리의 존재와 그 공연 예술사적 의의" 판소리학회 (25) : 241-280, 2008

      26 이보형, "적벽가의 명창 牟興甲" 판소리 학회 5 : 377-387, 1994

      27 "적벽가 中 ‘조군자탄’, Victor KJ-1093(KRE150), 1936년 3월 5일 녹음"

      28 "적벽가 中 ‘삼고초려’, Victor KJ-1089(KRE145),Victor KJ-1089(KRE146), 1936년 3월 4일 녹음"

      29 이우성, "이조한문단편집(상)" 일조각 1-468, 1978

      30 권종식, "안동권씨 일천년사 영가언행록(中)" 도서출판 해돋이 961-2114, 1989

      31 이혜구,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1-1016, 2000

      32 梁在植, "신재효 연구 : 연극사적 측면에서"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1

      33 이은주, "신광수 <관서악부>의 대중성과 계승양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34 구사회, "송만재의 관우희 연구" 보고사 1-143, 2013

      35 송석하, "석남 송석하:한국 민속의 재음미 상‧하" 국립민속박물관 1-523, 2004

      36 동초어초, "북상기" 김영사 1-328, 2011

      37 임형택, "병음시초" 다른생각 1-653, 2007

      38 이소연, "방진관의 판소리 음악어법 활용 양상" 한국예술종합학교 2013

      39 김혜정, "방진관 판소리와 허흥식 창본 심청가의 장단 해석에 대한 범장르적 접근" 판소리학회 (36) : 7-38, 2013

      40 김익두, "동리 신재효의 <광대가>와 한국 공연이론" 판소리학회 (20) : 7-40, 2005

      41 조경자, "도상학적 방법에 의한 한국 가무백희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42 정현석, "교방가요" 보고사 1-234, 2002

      43 손태도, "광대의 가창 문화" 집문당 1-531, 2002

      44 나진환, "공연학으로 본 판소리 공연예술의 미학적 특질" 판소리학회 (21) : 323-352, 2006

      45 사진실, "공연문화의 전통 樂· 戱· 劇" 태학사 1-612, 2017

      46 사진실, "공연문화의 전통" 태학사 1-611, 2002

      47 윤광봉, "개정 한국연희시연구" 박이정 1-239, 1997

      48 김태균, "가곡창 가집 『대동풍아』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49 김원지, "가곡 소용이의 풍도형용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50 이보형, "風角쟁이 음악考" 11 : 65-84, 1979

      51 강우방, "甘露帖" 도서출판 예경 1-492, 1995

      52 강우방, "甘露帖" 도서출판 예경 1-492, 1995

      53 정인봉, "河圭一과 李珠煥의 編樂 比較 硏究"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8

      54 임형택, "安和堂私集" 다른생각 1-653, 2007

      55 雷挺, "『북상기』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3

      56 안대회, "19세기 희곡 『北廂記』연구" 한국고전문학회 (33) : 407-442, 2008

      57 성기련, "1930년대 판소리 음악문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58 임형택, "18 ‧ 9세기 이야기꾼과 소설의 발달"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 : 285-304, 19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Pansori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536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