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경설계 스튜디오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 Students’ Perception of Landscape Design Studio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670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경설계 수업 전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설계수업 개선을 위한 방향을 도출하고자하였다. 본 연구는 점차로 대학교육이 절대적인 지식을 전달하는 실증주의적 배...

      본 연구는 조경설계 수업 전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설계수업 개선을 위한 방향을 도출하고자하였다. 본 연구는 점차로 대학교육이 절대적인 지식을 전달하는 실증주의적 배경으로부터 학생들 스스로가 지식을 구축해가는 구성주의적 교육방법으로 진화해야 한다는 가정을 둔다. 학생들이 설계수업을 어떻게 경험하고, 느끼고, 이해하고, 평가하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이러한 구성주의 철학과 관점을 바탕으로 설계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 스튜디오 교육에 대한 이론적 연구로 교육철학의 변화, 스튜디오 수업의 기원과 변화, 건축분야의 설계 교육의 변화, 그리고 조경교육에 있어서 설계교육에 대한 논의를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네 개 대학의 학부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설계수업은 학생들이 조경설계가로서의 진로를 결정하는데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반 정도의 학생들은 설계수업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였으며, 상당한 심적 부담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설계과정의 초기단계와 개념을 구체화하는 단계에서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진로에 대한 유보적인 집단이 설계수업에 대한 심적 부담감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스스로의 설계능력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으며, 성적이 학생들의 설계능력을 잘 반영해준다고 강하게 믿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보다 투명한 평가체계에 대한 고민이 이어져야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tudents perceive landscape design studio classes and provides basic data to set guidelines for future student-oriented pedagogical strategies in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emise ...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tudents perceive landscape design studio classes and provides basic data to set guidelines for future student-oriented pedagogical strategies in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current dominant educational method, which is based on positivism, should shift to a constructivist approach, which allows students to question objective and absolute truths and restructure knowledge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s. Unlike lecture-oriented classes, studio education relies heavily on the perceptions, attitudes, and capabilities of individual students because the nature of the class asks each student to find solutions to given project problems in creative and visual way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state of students during these classes in order to set alternative criteria for design studio education. This study contains three parts. The first part reviews theoretical discourses to understand the demands for a student-oriented educational paradigm shift and the nature of the design studio at many levels. The second part analyzes how students perceive design studio classes in terms of their satisfaction and stress levels and how studio classes affect their decision making regarding future careers. The stress levels accompanying the design process are also investigated, based on a survey of undergraduate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the landscape architecture programs of four universities in Korea. According to the findings, design studio classes play a specific role in students' decision making about their future careers. Almost half of students turn out to be dissatisfied with their design education, and half of students suffer from high stress levels caused by studio classes, especially in the early phases of the design process. The findings suggest that instructors should give more attention to discovering ways to help students initiate the design process and bridge ideas and forms, provide clear guidelines for evaluation of students' abilities, and develop a more holistic approach in design studio classes that is based on individual problem-solving proces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2008

      2 오웅성, "환경설계교육에 있어 조형예술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과 프랑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27 (27): 108-121, 1999

      3 홍윤순, "현장실무에 부응하는 조경계획·설계 교과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34 (34): 81-91, 2006

      4 노융희, "현대조경학과 조경교육의 동향" 7 : 31-38, 1976

      5 황기원, "한국의 조경교육 30년: 회고와 전망. 한국의 조경 1972-2002: 한국조경학회 창립 30주년 기념집" 55-66, 2002

      6 안봉원, "학교에서 본 산학협동과 조경교육" 18 (18): 145-148, 1991

      7 Markham, Thom, "프로젝트 기반 학습 입문서" 교육과학사 2007

      8 안봉원, "조경학과 실험실습교육의 현황과 개선에 관한 연구" 11 (11): 23-33, 1983

      9 김성균, "조경에 있어서 컴퓨터 교육의 내용 및 교과과정" 22 (22): 167-175, 1994

      10 황기원, "조경교육의 구조와 문제" 11 (11): 1-10, 1983

      1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2008

      2 오웅성, "환경설계교육에 있어 조형예술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과 프랑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27 (27): 108-121, 1999

      3 홍윤순, "현장실무에 부응하는 조경계획·설계 교과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34 (34): 81-91, 2006

      4 노융희, "현대조경학과 조경교육의 동향" 7 : 31-38, 1976

      5 황기원, "한국의 조경교육 30년: 회고와 전망. 한국의 조경 1972-2002: 한국조경학회 창립 30주년 기념집" 55-66, 2002

      6 안봉원, "학교에서 본 산학협동과 조경교육" 18 (18): 145-148, 1991

      7 Markham, Thom, "프로젝트 기반 학습 입문서" 교육과학사 2007

      8 안봉원, "조경학과 실험실습교육의 현황과 개선에 관한 연구" 11 (11): 23-33, 1983

      9 김성균, "조경에 있어서 컴퓨터 교육의 내용 및 교과과정" 22 (22): 167-175, 1994

      10 황기원, "조경교육의 구조와 문제" 11 (11): 1-10, 1983

      11 이경석, "정보,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디자인 교육의 방향" 4 : 185-200, 2001

      12 안성로, "전문대학 조경과 교육과정 수정 개발에 관한 연구" 18 (18): 99-113, 1990

      13 김도희, "장르별 교육 시스템 연구: 단계별 디자인 교육을 중심으로" 15 : 159-164, 2004

      14 최상철, "우리나라 조경학 교육과정의 분석과 문제점" 3 (3): 59-67, 1975

      15 김용기, "우리나라 조경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11 (11): 11-22, 1983

      16 배정한, "여름조경학교의 현황과 문제, 그리고 활성화 방안" 2002

      17 김아연, "스튜디오 101, 설계를 묻다" 263 (263): 164-167, 2010

      18 양윤재, "설계교육의 발전을 위한 제언" 18 (18): 142-144, 1991

      19 김영애, "미래사회에 대응하는 건축 설계교육의 방향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39-48, 2006

      20 조연순,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6

      21 이상헌, "근대적 건축설계교육의 기원과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145-156, 2006

      22 이도영, "국외 대학 디자인스튜디오 수업방식의 구성주의적 접근 탐색" 대한건축학회 24 (24): 149-160, 2008

      23 조부경, "구성주의 이론,관점,그리고 실제" 양서원 2001

      24 박성익,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교육과학사 2008

      25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교육공학" 교육과학사 2004

      26 Reigeluth. C. M., "교수설계 이론과 모형" 아카데미프레즈 2005

      27 이도영, "건축설계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대안적 설계수업 사례연구" 대한건축학회 24 (24): 131-142, 2008

      28 임승빈, "건축교육과 조경교육의 연계" 33 (33): 29-33, 1989

      29 강인애, "Problem Based Learning의 실천적 이해" 문음사 2007

      30 IFLA, "IFLA/UNESCO Charter for Landscape Architectural Education"

      31 Ochsner, Jeffrey Karl, "Behind the Mask: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on Interaction in the Design Studio" 53 (53): 194-206, 2000

      32 서응철, "21세기 조경교육 방향" 2003

      33 김세천, "21세기 조경교육 방향"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