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술금융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358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술ㆍ지식기반 경제 하에서 글로벌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기업들의 생존을 위한 필수조건으로 기술혁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기업의 혁신은 미래의 기술, 제품 또는 서비스의 원천...

      기술ㆍ지식기반 경제 하에서 글로벌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기업들의 생존을 위한 필수조건으로 기술혁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기업의 혁신은 미래의 기술, 제품 또는 서비스의 원천이며 지속적인 혁신 활동을 통해 기업의 성장과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Balkin. D. B. et al. 2000).
      기업의 기술혁신은 기업 자체의 생존과 성장뿐만 아니라 국가경쟁력과 경제의 성장에도 직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각국 정부는 기업의 혁신활동을 뒷받침하기 위해 기술개발, 금융지원 등 각종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신기술 창출, 고용확대 및 경제성장의 동력원으로서 중소기업의 역할이 중요한 만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적인 지원, 그 중에서도 혁신활동을 위한 금융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기업이 기술혁신을 이루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ㆍ무형의 자원과 혁신을 추진할 수 있는 역량을 필요로 하는데, 금융 측면에서 기업의 기술혁신과정에서 필요한 자본은 은행의 신용창조가 필수적이다(Schumpeter, 1934). 금융은 대개 자금공급자와 수요자간에 신뢰를 기반으로 발생하는데, 이러한 신뢰를 확보하는 수단으로는 부동산, 금융자산 등의 물적 담보 또는 매출실적 등의 재무상황이나 거래실적 기반의 신용도 등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물적 담보 대신에 기술을 담보로 하거나 기술로 인하여 미래에 기대되는 수익을 평가하여 금융을 공여하는 기법, 소위 기술금융(Innovation Financing)이 주목을 받고 있다.
      중소기업은 금융시장에서 기술금융을 공급받는 데 커다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금융시장이 리스크에 대해서는 과대추정하고 잠재적 수익에 대해서는 과소추정하려는 경향이 있으며(Bloom. 2013), 특히 정보비대칭성과 불확실성이 큰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에 대하여는 금융시장이 위험회피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금융시장의 속성으로 인해 기술혁신 활동에 대한 금융, 즉 기술금융은 시장에서 자원이 효율적으로 배분되지 못하는 ‘시장실패(market failure)’가 발생함에 따라 이를 보완하기 위해 그간 정책금융 성격의 기술평가보증을 중심으로 운용되어 왔으나 기술혁신 활동 특성에 적합한 금융기법을 마련하고 지원수단 및 영역을 고도화 또는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정책금융방식으로 운용되고 있는 국내 기술금융제도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분석하고 기술금융이 경영성과를 높이는가와 기술금융이 혁신역량을 증대시키는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으며,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첫째, 기존 연구는 주로 정책금융과 경영성과 간의 인과관계, 기술혁신 활동과 경영성과의 관계, 기술혁신 역량과 경영성과의 관계를 단편적으로 다루어 왔다. 반면 본 연구는 기술금융과 기술혁신 역량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나아가서 이러한 혁신역량이 경영성과(Business Performance)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복합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둘째, 기존 연구는 정책금융과 기술혁신 역량과의 관계, 그 중에서도 주로 정책금융과 제품혁신 또는 공정혁신과의 관계를 다루고 있거나, 재무실적, 기업이미지, 노사문제, 대표자의 리더십, 지식경영 등 기업고유요인과 성과와의 관계를 연구해왔으며, 연구데이터 구성에서는 실증데이터가 아닌 설문조사방식의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반면 본 연구는 국내에서 대표적인 기술금융제도인 기술평가보증 시 수집된 실제 기업데이터를 활용한 점과, 금융과 기업성과와의 연결경로 즉, 기업의 성과가 금융 투입에 기인한 것인지 아니면 기업의 내부 기술혁신 역량의 변화를 거쳐 나타나는 것인지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셋째, 선행연구의 대부분이 자료 확보가 용이하거나 공개된 상장기업 또는 중견ㆍ대기업수준의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고, 주요 통계자료가 재무자료에 의존하고 있으나, 본 연구는 자료 확보가 쉽지 않은 중소기업의 재무자료를 비롯하여 기업의 혁신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기업부설연구소, 연구개발인력 수, 등록특허 수 등 비교적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는 정량적 정보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는 데 차이가 있다.
      본 연구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중소기업 정책금융으로 운영되고 있는 기술금융의 지원성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즉 기술평가를 통한 금융취급과정에서 수집된 실증데이터를 바탕으로 정책금융성격의 기술금융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역량 제고와 특허권수, 고용창출 등 비재무적 성과 그리고 매출액성장과 이익률 등 재무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규명함으로써 고용 없는 성장 시대에 고용창출 등 기업의 양적ㆍ질적 성장에 있어 기술금융이 중요한 정책수단으로 기능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투입변수인 기술금융은 측정모델분석과 측정모델의 타당성 평가를 통해 최종적으로 유의하다고 나타난 변수는 기술금융 공급횟수와 최초 공급시기이다.
      여기서 기술금융의 공급횟수는 1회 공급보다는 단계별로 수회의 공급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혜적 또는 중소기업의 사회안전망 차원에서 평범한 다수에게 널리 금융배분하기보다는 시장에서 기술우위와 품질경쟁력을 바탕으로 성공 가능성이 유망한 중소기업을 선별하여 집중 지원하는 방식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기술금융 최초 공급시기가 이르면 이를수록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자원이 부족한 창업초기의 경우 기술혁신 활동에 소요되는 자금의 대부분을 외부로부터 조달할 수밖에 없다. 특히 초기단계의 자금은 소위 종자돈(seed money)으로서 사업장 및 필수설비를 비롯하여 원자재 확보, 연구개발인력 충원, 마케팅 비용 등에 충당되기도 하지만 사업화진전에 따라 필요한 자금조달 시 마중물 역할도 하고 있다. 그러나 초기기업의 구조적 불안정성으로 인해 계획사업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커지는 취약점을 노출하고 있어 위험 회피적 성향의 금융기관에 대한 접근성이 낮은 상황에서는 위험감수적인(risk taking) 정책금융으로써의 기술금융이 매우 유효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국내 중소기업은 연구개발투자금액, 연구개발인력 수, 연구개발조직수준, 지식자산금액, 지식재산권 수, 무형자산비율이 기술혁신 역량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다수의 국내외 연구에서 기술혁신 역량을 구성하는 중요 요소로 연구개발집약도(R&D intensity)를 들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선행연구와 달리 중요하지 않은 변수로 나타났다. 이는 기술개발 특성상 연구개발에 비교적 장기간이 소요되고 제품개발비용이 중소기업으로서는 부담이 큰 데다, 개발제품이 완성되어 시장에 출시한다 하여도 시장의 호응을 얻기 힘든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점과, 특히 국내 중소기업의 환경에서는 모방제품의 출현이 연구개발의 리스크로 작용하기 때문에 매출액이 증가하더라도 연구개발 투자를 비례적으로 증가시키지 않기 때문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기업에 비해 기술성이나 성장성이 상대적으로 높아, 정부에서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는 기업으로서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제2조의 2)」상 3가지 요건 중 1가지를 만족하는 기업을 벤처기업으로 지정하고 있다. 이들 벤처기업의 유형 중에서 연구개발기업은 업종별 연구개발집약도에 따라 벤처기업을 선정하고 있는데,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연구개발집약도가 기술혁신 역량을 구성하는 중요 변수가 아님이 밝혀짐에 따라 향후 2017년말 일몰을 앞둔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상 연구개발기업 유형을 검토하는 데 있어 기술혁신 역량을 대별할 수 있는 새로운 변수로의 대치를 검토해야 할 시점이다.
      반면 연구개발투자금액이 기술혁신 역량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과거의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전체 제품을 개발하기보다는 제품의 일부만을 개발하거나, 시장에서 일시적 호응을 보이는 모방제품 개발, 기능이나 디자인 등 품질우위보다는 가격경쟁력에 초점을 둔 제품개발에 집중해 온 결과, 장기적으로는 제품의 경쟁력이 저하되고 이는 제품의 판매부진으로 이어졌다. 이에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고, 기능의 향상 및 고급화와 함께 제품디자인 개발에는 무엇보다도 수준 있는 개발인력 확보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술투자의 핵심은 주로 기술개발 및 디자인 인력확보 등의 인적자원 확충에 집중되는데, 이는 기업의 무형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인적자원 강화 및 확충에 있다는 것을 반복된 학습을 통해 체험적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의 경우 중소기업이 지식재산권을 획득하려는 목적으로 주력제품이 경쟁기업으로부터 보호와 모방방지 등의 방어적 동기와, 지속적 연구개발기업과 특허보유기업이라는 사회적 평판, IP(Intellectual Property) 금융을 통한 자금 확보 등의 전략적 동기를 들 수 있다.
      하지만 기술혁신 역량을 구성하는 요소로 지식재산권 수와 무형자산 비중이 연구개발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는 중소기업의 경우 대개 모기업과 종속적 기업 간 거래(B2B)가 일반화되어 있어 단순한 지식재산권 보유만으로는 특허권 등을 활용한 수익창출이나 장기적 생존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특허권 등의 창출에는 지속적인 투자와 관리가 필요하지만 그렇지 못하면 이미 투입된 재원이 매몰비용(sunk cost)으로 기능하거나 특허등록을 위해 기술이 공개되면 비경합성(non-rivalry)과 비배재성(non-excludability)인 특성 등으로 인해 전유(appropriablility)할 수 없기 때문에 내부 비밀로 유지하려는 속성을 그 원인으로 들 수 있다.
      기술금융은 수익성 지표인 매출액 순이익률과 총자본 순이익률, 성장성 지표인 매출액 증가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술금융 투입 기업들이 규모 확대 및 투자 증가 등의 단기 수준제고(level up) 효과가 나타나는 노용환(2010)의 연구와 일치한다.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비재무적 성과로 특허권 수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특허권 수를 비재무적 성과 지표가 아닌 경영성과로 이어지는 중간 변수로 정의하였고, 비재무적 성과로 고용창출(상시종업원수 증가)과 연구개발인력의 신규 고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 고용 없는 성장 현상의 지속과 실업률의 증가에 따라 정부는 고용의 양적 증대와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중소ㆍ중견기업의 비정규직 종업원을 정규직으로 전환할 경우 임금의 일부를 지원하는 등의 고용지원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금융 수단의 하나인 기술금융 공급을 통해 중소기업의 소요인력의 신규채용 확대는 물론 연구개발인력의 확보 등 정부의 질적 또는 양적 고용정책 목표달성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혁신 역량은 일반적으로 기업의 성과 창출에 필수적인 기초체력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술혁신 역량이 단기간의 성과를 높이는데 부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만 기술혁신 역량과 기업성과 간에 단기적으로 부정(-)의 관계를 갖는다고 해서 장기적으로도 두 변수 간에 부정(-)의 관계가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즉, 기업이 특허출원 후 2∼3년의 시차(time lag)를 두고 매출액 증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Ernst H. 1995, 1999 ; Branch b. 1974)와 같이 기술혁신 역량의 확충이 기업의 성과로 연결되기까지는 상당 기간의 시차가 수반될 수 있으므로, 기술금융이 단편적이고 단기적인 성과를 기대하기보다는 지속적인 추적관리를 통해 성과를 높이는 방향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조절효과 검증 결과를 보면, 연구개발 전담인력이 1∼2명, 3∼4명인 경우 기술혁신 역량이 경영성과에 긍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경영성과 중에서도 비재무적 성과에 비해 재무적 성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 표본의 평균 고용인력 23명으로 국내 중소기업의 평균 고용인력 14명에 비해 다소 높은 수준이나, 연구개발 전담인력은 연구 표본 5명, 중소기업 평균 7명으로 별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구조적 취약성을 내포하고 있는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전체 고용인력 대비 연구개발인력 비중이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이들을 확보ㆍ유지하는 데 소요되는 인건비 및 관리비 등이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의 생존과 만성적인 자금난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을 통한 장기적 성장을 추구하기보다는 단기적 재무안정성 확보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연구개발인력은 규모 대비 최적화 수준에서 운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기술금융과 기술혁신 역량 및 경영성과와의 관계에 있어 기업부설연구소 유ㆍ무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부설 연구소를 설치 운영하기 위해서는 독립된 별도의 공간과 연구기자재, 해당분야 전공자들로 구성된 연구요원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는데, 중소기업으로서는 이러한 연구자원들을 확보하는데 많은 제약이 존재하므로 기업부설연구소를 갖추고 있다하여도 본래의 기능과 역할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가 갖는 의미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과거 다수의 선행연구가 기업의 기술혁신 성과 또는 기술경영성과를 창출하는 주요 요인으로 기술혁신 역량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외적 독립변수인 기술금융에 주목하여, 기술금융의 투입이 중소기업의 기초체력인 기술혁신 역량의 향상을 가져오고 이러한 기술혁신 역량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영향의 정도를 분석하는 데 체계화된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또한 그간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금융이 대증적인 정책에 그쳤다는 비판이 비등한 상황에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기술금융이 기업 성과 창출의 중요한 주요 동인임을 확인함으로써, 정부의 중소기업 금융정책도 기술혁신형 기업에 대한 기술금융 지원체계로 확산시켜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창업 초기기업에게는 식재 후 관수(물주기)처럼 신속한 기술금융공급이 요구되며, 성장기의 기업에게는 사업화 단계별 소요자금을 적기에 공급하는 것이 기술혁신 역량의 증대와 경영성과 제고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점을 본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global competition has been intensified under technology and knowledge based economy, an importance of innovation of technology is emphasized for firms’ survival. Innovation of technology is a source of technology advancement, and new product an...

      As global competition has been intensified under technology and knowledge based economy, an importance of innovation of technology is emphasized for firms’ survival. Innovation of technology is a source of technology advancement, and new product and service development. It is possible to secure competitive advantage and firm’s growth through sustainable innovative activities(Balkin et al. 2000). Firms need various kinds of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and competencies to carry forward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etencies are related to production, investment and development capabilities by stage i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rocess in order to learn or create new technology(Westphal et al. 1985). In general, there are limitations for SMEs to continuously proceed technological innovation since they lack in internal resources and capabilities, despite of the agility as lean organization.
      Firms’ innovation is directly connected not only to their own survival and growth, but also to competitiveness and economic growth of its nation. Almost all countries around the world pursue different policies such as R&D and finance support to stimulate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In particular, national policies are crucial to enhance SMEs’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etencies since SMEs play an important role not only to create new technologies but also to grow national economy and advance national innovation system.
      In regard with finance, bank’s credit offering is necessary to create and commercialize technological innovation(Schumpeter 1934). Finance is often occurred based on the trust between finance lender and borrower. In order to secure the trust, borrowers have to offer physical securities such as real estate, financial asset, or credit rate which is evaluated by financial situation such as revenue history. However, innovation financing has recently drawn a lot of attention because SMEs are able to borrow money based on its evaluated technologies and potential economic profit.
      SMEs face difficulties in financing in the market because the commercial financing system tends to overestimate risk of SMEs’ technology based commercialization and underestimate SMEs’ potential profit due to its information asymmetry and uncertainty(Bloom. 2013).
      Nations needs to build and operate the financial mechanism in order to support SMEs’ innovation activities because the resources are not efficiently allocated to SMEs by market failures. Korean government propels innovation financing with the type of technology appraisal guarantee as a policy financing and tries to diffuse into private financing in commercial market.
      This research was motivated by an academic question whether this type of Korea innovation financing system is effective by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financing and firm performance. It also examines whether innovation financing improves innovation competency of Korean SMEs.
      Compared to the prior researches, this research has differences as follows: First, the existing studies are mainly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financing and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case 1),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and firm performance(case 2), and policy financing and firm performance(case 3)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is research examines from case 1 to case 3 comprehensively. It starts from whether innovation financing for Korean SMEs improve the firm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and the accumulated competencies effect on firm performance. In addition, it deals with how the competency would affect on the firm performance.
      Second, the existing studies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finance and innovation competency with regard to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 We concentrate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financing and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and firm performance. This study is based on empirical data which is sourced by technology appraisal guarantee system in Korea, while the existing studies are based on survey or panel research data which are mainly composed of financial record, firm reputation, labor relationship, management leadership and knowledge management. It is also possible to examine whether firm performance is oriented by innovation financing or firm's internal competency.
      Third, the existing studies usually applied listed or large firms for analysis since the data set was relatively easy to collect. On the other hand, this research uses information of SMEs such as financial report, number of patents and personnel, existence of organized R&D institute and R&D expenditure which are hard to collect. This research conducts big data analysis with 17,806 number of cases that had been extracted from technology appraisal guarantee system in Korea.
      This paper reports on an innovation financing study in the Korea SMEs, drawing on a sample of 17,806 cases. A theoretical framework has been empirically tested identifying the relationships among innovation financing,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and firm performance. Our study not only discloses how innovation financing affect on diverse firm performance aspects, but it also points out that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exerts a mediator role between innovation finance and firm performance.
      The findings support the claim that innovation financing supplied to SMEs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s on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and firm performance. Thus, hypotheses H1, H2, H3, H5 are supported positively. But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has negative impacts on financial performance(H4).
      It is identified that innovation financing increases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of firms(H1). Business in seed stage, start-up, or early growth phas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s not easy to create economic growth from profit and sensitive to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Therefore, managers of firms should put an additional emphasis on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as an important instrument for achieving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Improved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and firm performance are contingent upon the stable innovation financing at an appropriate time. Innovation financing strengthens the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IPs, amount of intangible asset and R&D investment. It means that SMEs strategically create and use IPs for accessing to financing as well as protecting technology from competitors and maintaining the reputation as a technology leading firm.
      Innovation financing increases financial performance of firms(H2). SMEs, financially supported from KODIT or Small & Medium Business Corporation in Korea, show the negative impact on growth and profitability(Shin et al. 2011). On the contrary, our study shows that innovation financing affects positively on financial performance representing profitability and growth. It means that innovation financing is effective and valid financing policy to innovative SMEs.
      It is identified that innovation financing increases non-financial performance of firms(H3). A lot of existing studies have used the number of patents as non-financial performance, but this research defines patents as an intervening variable to result in firm performance, not an indicator of non-financial performance. Creating and holding patents need continuous care and investment, otherwise, the committed resources to the patents would work as sunk costs, or if the technology is filed as a patent, it can not be wholly occupied due to the nature of appropriability, so they will keep it as a secret.
      Moreover, innovation financing affects on job creation as a non-financial performance. Therefore, it is one of solutions for the government facing high unemployment rate and economic growth without hiring.
      It is identified that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decreases financial performance of firms(H4). Although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is fundamental basis for firm performance in the long-term supporting many studies(Geroski et al. 1993, Stoneman & Kwon, 1996, Teece 1986, Levin et al. 1987) which claim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and financial performance. It means that higher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results in lower firm performance but it takes time until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leads to firm performance as stated in other studies (Zahra et al. 1988).
      This study also shows that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jobs and number of R&D personnel(H5).
      We divided number of R&D personnel into 4 cases to examine moderator effects to validate H6. As for case 1 and 2, the more number of R&D personnel, the more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influences on firm performance. Especially, it is more effective to financial than non-financial as number of R&D personnel increases. However, as the result of case 3,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influences on the firm performance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does not influence at all as for case 4.
      As a result of validation on H7, the existence of R&D institute does not have a moderator effect between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and firm performance. It means that SMEs lacking in human resources utilize R&D personnel not only for R&D but also other duties. But R&D intensity is excluded as same as the result of Bank of Korea(2006). Despite of the improving profit by R&D, it is under-invested in SMEs because commercialization from R&D contains a lot of market uncertainty and risk of failure. In addition, the number of R&D personnel and R&D investment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is, SME's R&D investment mainly concentrates on increasing number of R&D personnel and eventually increase labor cost.
      Within firms, decisions are made as to what activities the firm will be involved in, how those activities will be performed, what resources are required, which resources are allocated to different activities and, ultimately, which resources are used(Penrose, 1959). Our findings support the fact that innovation financing strategy is an important major driver of firm performance and should be developed and executed as an integral part of the government financing strategy. Manager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novation financing and increase the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in order to boost their firm performance. Having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exact nature of innovation financing will help firms to prioritize their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and firm performance, to be followed by appropriate subsequent action plan. Managers of firms should put an additional emphasis on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as important instruments for achieving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Improved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and firm performance are contingent upon the stable innovation financing at an appropriate ti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1
      • 제2절 연구의 목적, 차별성 및 의의·······················································4
      • 제3절 연구 범위 및 방법··········································································6
      • 1. 연구 범위······························································································6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1
      • 제2절 연구의 목적, 차별성 및 의의·······················································4
      • 제3절 연구 범위 및 방법··········································································6
      • 1. 연구 범위······························································································6
      • 2. 연구 방법······························································································8
      • 제4절 연구의 구성······················································································9
      • 제2장 이론적 배경, 선행연구 및 연구가설 ·······························11
      • 제1절 이론적 배경·····················································································11
      • 1. 기술금융(Innovation Financing) ···················································· 11
      • 2. 기술평가보증(Technology appraisal guarantee) ························ 20
      • 3. 정책금융(Policy financing) ······························································26
      • 4. 기술혁신 역량(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 32
      • 5. 기업의 성과(Business Performance) ············································ 42
      • 제2절 연구 가설·························································································45
      • 1. 기술금융과 기술혁신 역량·······························································45
      • 2. 기술금융과 경영성과·········································································47
      • 3. 기술혁신 역량과 경영성과·······························································49
      • 4. 연구개발조직 수준 및 연구개발인력 규모의 조절효과·············52
      • 제3장 연구모형 ···················································································54
      • 제1절 표본 특성·························································································54
      • 제2절 표본의 추출 및 변수의 측정·······················································59
      • 제3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62
      • 1. 기술금융·······························································································62
      • 2. 기술혁신 역량·····················································································66
      • 3. 재무적 성과·························································································71
      • 4. 비재무적 성과·····················································································74
      • 5. 조절변수·······························································································76
      • 제4장 실증분석 및 가설검정 ··························································78
      • 제1절 확인적 요인분석·············································································79
      • 1.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79
      • 제2절 측정모델 분석·················································································87
      • 1. 측정모델분석 결과 1 ·········································································88
      • 2. 측정모델의 타당성 평가 1 ·······························································89
      • 3. 측정모델의 타당성 평가 2 ·······························································92
      • 4. 측정모델의 타당성 평가 3 ·······························································94
      • 제3절 제안모델 분석·················································································98
      • 1. 연구가설 검정·····················································································98
      • 2. 조절효과 검정·····················································································99
      • 제5장 결 론 ······················································································101
      •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101
      • 제2절 연구의 의의 및 한계····································································109
      • 참고문헌 ······························································································112
      • Abstract ······························································································12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송지준,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011

      2 김광희, 우제현, "ˈ 기술금융 활성화 방안 ˉ", 중소기업연구원, 2008

      3 박래수, 정재만, 윤석헌, "정책금융 선진화 방안 연구", 금융정책연구, 2014

      4 임형준, "기술금융 현황과 활성화 방안", 기술평가 기술금융 세미나 발표자료, 2013

      5 양현봉, 홍지승, 주현, 조덕희, "신용보증제도의 운용성과 발전방안", 산업 연구원, 2001

      6 김상봉, "중소기업의 기술역량지수 산출방법론", 기술보증기금, 2014

      7 강종구, "“중소기업 정책금융 지원 효과 분석”",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금융경제연구 (한 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250), 2006

      8 이광형, "10년후 대한민국 뉴노멀 시대의 성장전략", 미래창조과학부 미래 준비위원회, KISTEP, KAIST., 2016

      9 김석현, 정현주, 김선우, "2013 기업혁신지수(Company Innovation Index, CII)",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동향과 이슈, (10), 1-35, 2014

      10 김민창, 성낙일, "“정부 R&D 자금지원과 중소기업의 성과.”", 중소기업연구, 34(1), 39-60, 2012

      1 송지준,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011

      2 김광희, 우제현, "ˈ 기술금융 활성화 방안 ˉ", 중소기업연구원, 2008

      3 박래수, 정재만, 윤석헌, "정책금융 선진화 방안 연구", 금융정책연구, 2014

      4 임형준, "기술금융 현황과 활성화 방안", 기술평가 기술금융 세미나 발표자료, 2013

      5 양현봉, 홍지승, 주현, 조덕희, "신용보증제도의 운용성과 발전방안", 산업 연구원, 2001

      6 김상봉, "중소기업의 기술역량지수 산출방법론", 기술보증기금, 2014

      7 강종구, "“중소기업 정책금융 지원 효과 분석”",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금융경제연구 (한 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250), 2006

      8 이광형, "10년후 대한민국 뉴노멀 시대의 성장전략", 미래창조과학부 미래 준비위원회, KISTEP, KAIST., 2016

      9 김석현, 정현주, 김선우, "2013 기업혁신지수(Company Innovation Index, CII)",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동향과 이슈, (10), 1-35, 2014

      10 김민창, 성낙일, "“정부 R&D 자금지원과 중소기업의 성과.”", 중소기업연구, 34(1), 39-60, 2012

      11 노용환, 주무현, "중소기업 정책자금 고용효과의 지속성 분석", 한국중소기업학회, 중소기업연구, 34(2), 47-66, 2012

      12 박재민, 이중만, "기업의 혁신 활동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 텐츠학회논문지, 11(3), 339-350, 2011

      13 이민호, "중소기업 정책자금 중복 지원의 효과성 분석",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 보, 42(2), 401-428, 2008

      14 이석원, 장경호, 신기철, 김준기, 이영범,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 사업 의 효과성 분석",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회 50 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겸 2006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643-678, 2006

      15 성형석, "중소기업 기술역량지수 산출 및 선행요인 분석", 기술보증기금, 2015

      16 장현주, "중소기업 R&D 분야에 대한 정부지원의 효과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6(4), 195-218, 2016

      17 김광두, 홍운선, "“혁신활동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술혁신학회 ,, 기술혁신 학회지, 14(2), 373-404, 2011

      18 김진용, 황문우, 정종인, "우리나라 지식기반서비스업의 현황 및 발전방 향", 한국은행 조사국, 한국은행 조사국, 2006

      19 노현섭, 최상렬, "중소기업 정책자금지원의 재무성과: 자금별 분석", 한국회계정보학회, 재무 와회계정보저널, 9(3), 1-20, 2009

      20 박선영(Sun-Young Park), 조만형(Man-Hyung Cho), 박현우(Hyun-Woo Park), "특허분석을 통한 기술혁신과 기업성과의 관계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 ,, 기술혁신학회지, 9(1), 1-25, 2006

      21 김용범, 장광순, "“중소기업의 혁신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전경영과학회, 대한 안전경영과학회지, 12(4), 239-246, 2010

      22 강요셉,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기술금융의 역할과 변화방향", KISTEP. ISSUE PAPER. 2014-05, 2014

      23 김왕식, 장지호, 이병헌, "중소기업 혁신역량 진단 및 평가 지표의 국내 외 활용사례",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24(2), 153-177, 2008

      24 우석진, 이기영, "신성장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의 인과적 효과 분석", 한국재무학회, 재무연구, 26(2), 183-211, 2013

      25 노용환, "중소기업 정책자금의 미시적 성과 분석과 역할에 관 한 연구", 한국중소기업학회, 중소기업연구, 32(1), 153-175, 2010

      26 송홍선, 한상범, "정책금융이 혁신기업의 혁신투자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한국금융학회, 2011

      27 김이배, 오웅락, 송혁준,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이 경영성과 개선에 미 치는 영향", 한국중소기업학회, 중소기업연구, 28(4), 65-80, 2006

      28 이병헌(Lee, Byung Heon), 위세안(Wi, Se Ahn), 이수욱(Lee, Soo Wook), "정부의 기술개발 지원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벤처창업학회, 벤처창업연구, 9(5), 157-171, 2014

      29 이영범, "‘중소기업 정책자금 수혜 기업의 상대적 효율성과 생산성 추 이 분석’",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06

      30 윤병섭, 하규수, 채광기,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이 중소. 벤처기업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벤처창업학회, 벤처창업연구, 6(3), 85-107, 2011

      31 안병민, "주요국의 기술혁신지원제도 비교분석 연구: 기술금융시스템을 중 심으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1

      32 박정희, 신상훈, "“신용보증지원이 중소기업의 수익성과 성장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패널분석,”", 한국중소기업학회, 중소기업연구, 32(1), 43-64, 2010

      33 정락채, 이동석, "우리나라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선정 평가지표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산업혁신연구, 24(2), 121-143, 2008

      34 이석원, 장경호, 이민호, 김준기, 이영범, "중소기업 정책 자금 지원 사업의 효과성 평가 : 정책 자금 지원 방식의 차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08

      35 정락채, 이동석,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능력과 기술사업화 능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중소기업학회, 중소기업연구, 32(1), 65-87, 2010

      36 곽수근, 송혁준, "“정책자금지원을 받은 중소기업의 특성요인 및 경 영성과에 관한 연구: 중소벤처기업을 중심으로”", 한국중소기업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 집, 131-149,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