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소제조업체의 재무성과가 고용창출과 고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job creation and employment stability of small and medium manufacture enterprise's financial perform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6778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건국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건국대학교 대학원 , 신산업융합학과 , 2019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24.35 판사항(6)

      • DDC

        338.642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 178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동명
        권말부록: 재무성과가 고용증가율에 미치는 영향 분석(합동OLS 모형)
        참고문헌: p. 155-167

      • 소장기관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국내 노동시장에서 주로 제기된 주요 고용 이슈는 노동수요 위축에 따른 고용상승폭 둔화, 고령화와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노동공급 구조 변화, 일자리 창출 구조의 취약성, 취약계층...

      최근 국내 노동시장에서 주로 제기된 주요 고용 이슈는 노동수요 위축에 따른 고용상승폭 둔화, 고령화와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노동공급 구조 변화, 일자리 창출 구조의 취약성,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고용수준의 질적 저하 등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노동시장이 고용창출과 고용안정성 측면에서 구조적인 문제점과 해결해야 할 과제를 많이 지니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제조업 취업자가 2011년 이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며 전체 취업자 증가를 이끌었으나 2016년 하반기부터 감소 추세로 전환되었다. 이것은 국내 조선업종과 주력 제조업의 경기 침체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1차 금속 제조업’,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등 조선업 관련 산업과 주력 제조업 등에서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그 감소의 영향이 제조업 취업자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자영업자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 특히 60대 연령층에서 주로 소규모 사업체가 증가하였다.
      이처럼 제조업 위기로 인한 취업자 수의 감소는 국내 경제의 문제점으로 부각될 수 있고, 실제 최근에 사회적인 문제로써 고용문제가 화두가 되고 있으며 정부는 해결책을 찾기에 고심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글로벌 금융위기 등을 거치면서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경제, 금융시장 등의 변동성이 확대되었다. 이에 기업은 인력채용 시 노동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탄력적 임금제도 등을 도입하고, 비정규직 채용을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고용환경은 고용의 질적 수준 저하를 가져오고, 우리가 예상하지 못한 다양한 곳에서 불안정한 고용에 따른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인 비용이 발생할 것이 분명하다.
      국가, 기업 및 개인의 성장과 발전과 관련해서 고용의 중요성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인적자원이 풍부하고 우수한 곳에서 기업들이 노동생산성의 증대와 인력감축을 구조조정의 중요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을 고려했을 때 고용창출과 안정적인 직장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해결과제라 할 수 있다. 특히 고용자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이 고용창출에 기여하는 바가 있다면 국가적인 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이 바탕이 돼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제조업체의 재무정보와 한국고용정보원의 종업원 수 등의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소제조업체의 재무적 성과가 고용창출과 고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기술난이도에 따른 산업별로 고용창출과 고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고용창출과 고용안정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재무성과들을 확인하여 중소제조업체의 재무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정부차원의 조세정책과 민간금융시장에서 고용창출과 고용안정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신용보증기금 보증이용기업 중 2011년부터 2016년까지 6개년 재무제표를 보유한 제조업 영위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제조원가명세서 등의 재무자료를 수집하였고, 해당기업의 고용정보 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으로부터 수집하여 최종적으로 6,162개의 표본기업을 추출하였으며, 합동OLS 모형 및 이원고정효과 모형 등의 패널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할 수 있는 시사점은 아래와 같다.
      첫째, 고용창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성장성 재무성과인 매출액증가율과 총자산증가율이 정(+)의 변수로 채택되었고, 수익성 재무성과에서는 총자산영업이익률, 매출액영업이익률 및 금융비용부담률이 중소제조업체의 고용창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안정성 재무성과로는 순운전자본비율이 정(+)의 영향이 있고, 활동성 관련 재무성과에는 재고자산회전기간이 유의미한 부(-)의 변수로 채택되었으며, 생산성 관련 재무성과로는 노동장비율이 부(-)의 변수로 채택되었다. 통제변수인 기업규모는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업력은 부(-)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고용안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성장성 재무성과인 매출액증가율이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고, 수익성 재무성과는 총자산영업이익률이 부(-)의 관련성을 나타냈으며, 안정성 재무성과는 유동비율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성 재무성과에서는 매출채권회전기간이 유의미한 부(-)의 관련성을 보였고, 생산성 재무성과에서는 1인당 부가가치가 유의미한 부(-)의 관련성을 보였다.
      셋째, 기술난이도별 유의미한 변수는 대체로 전체 모형과 유사한 결과가 확인되었으나 고용창출 측면에서는 중기술 산업에서 활동성과 생산성 관련 재무성과가 모두 채택되지 않았다. 저기술 산업은 의미 있는 생산성 변수가 확인되지 않았다. 고용안정성 측면에서는 고기술 산업은 성장성과 활동성 변수가 채택되었고, 중기술 산업은 수익성 변수, 저기술 산업은 성장성 및 안정성 변수가 채택되어 산업별로 의미 있는 변수들이 중복되지 않았다. 또한, 기술난이도 측면에서 생산성 변수는 고용안정성과 유의미한 변수를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중소제조업체의 재무적 성과가 고용창출 및 고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서 유의미한 재무성과를 파악하여 고용창출과 고용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고용창출을 위한 정부 및 금융정책 측면에서 기업성장에 따른 적정 재고자산 관리 및 단기유동성 확보를 위해 재고자산을 대상으로 동산담보대출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중소기업이 고용지원 세제를 적용받을 수 있도록 중소기업 등에 대한 특별세액 감면 제도와의 중복적용을 허용하여 고용창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기업의 매출원가 절감을 통한 영업이익의 증대를 위해 구매자금대출 이용기업에 대한 세제혜택 확대를 제시하였다.
      고용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한 금융정책 측면에서는 중소제조업체의 금융비용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정부 정책자금을 확대 운영하여 장기저리 자금을 원활히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또한 매출채권을 조기에 현금화 할 수 있는 상환청구권이 없는 팩토링 제도를 활성화시켜 중소기업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용창출 및 고용안정성이 우수한 기업들을 판별할 수 있는 고도화된 고용평가모형을 개발하여 여신한도 확대, 금리우대 등의 우대정책의 시행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소제조업체의 재무자료와 고용정보를 활용하여 기존 연구에서 많이 다루지 않았던 재무성과가 고용창출 및 고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써 많은 연구자들이 참고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분석대상기업의 일반화에 대한 제한과 비교적 관찰기간이 단기인 점 등의 한계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financial performance of SME manufacturers on employment creation and employment stability by using panel data such as financial information of SME manufacturers and the number of employees of Korea Employ...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financial performance of SME manufacturers on employment creation and employment stability by using panel data such as financial information of SME manufacturers and the number of employees of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level of technology on employment creation and employment stability by industry were investigat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creation are growth rate and growth rate of total assets, which are positive (+) variables. In profitability financial performance, total asset profit margin, sales profit margin and financial cost ratio ar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creation. As the stability financial performance, net working capital ratio affects positively. In the activity financial performance, the period of inventory turnover is adopted as a negative variable. The firm size, which is a control variable, has a positive (+) effect and establishment period is a positive (-) effect.
      Second, as a variable tha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stability, the growth rate of sales growth as a growth financial result has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and profitability financial performance has a negative relation with total assets profitability, Stability financial performance shows that the liquidity ratio has a positive effect. In active financial performance, the turnover period of trade receivables was significantly (-) related. In productive financial performance, per capita value added was significantly (-) related.
      Third, significant variables were found to be similar in terms of technology level. However, in terms of job creation, both the activity and productivity - related financial performance were not adopted in the middle industry. There was no meaningful productivity variable in the low tech industry. In terms of employment stability, growth and activity variables were adopted for high technology industries, profitability variables for medium and low technology industries, and growth and stability variables for low technology industries. Also, in terms of technical level, the productivity variable could not confirm employment stability and significant variables.
      In terms of government and financial policies for job creation,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mortgage lending for inventory assets in order to manage proper inventory assets and secure short-term liquidity in line with business growth. In addition, we proposed a way to maximize the effect of job creation by permitting SMEs to apply the special tax exemption system for SMEs such that the employment support tax is applied. To increase the operating profit by reducing the company's cost of sale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tax benefit for companies that use purchase finance loans.
      In terms of financial policy for enhancing employment stabilit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government policy funds to ease the financial burden of SMEs, thereby helping to raise funds for long-term and low interest, It should support th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be operated stably by activating factoring system which does not have right to request repayment.
      Finally, we developed a sophisticated employment valuation model to identify firms with excellent job creation and employment stability, and suggested ways to implement preferential policies such as expanding the credit limit and preferential interest rates.
      This study is expected to refer to many researchers a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performance and employment creation, employment stability, which was not much covered in previous researches, using financial data and employment information of SME manufacturers. 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generalization of the analyzed companies and the observation short period of yea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방법 및 구성 4
      • 제2장 고용정책에 대한 이론적 고찰 7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방법 및 구성 4
      • 제2장 고용정책에 대한 이론적 고찰 7
      • 제1절 고용정책 7
      • 1. 고용정책의 개념과 기능 7
      • 2. 고용형태 10
      • 3. 고용현황 15
      • 제2절 국내 고용정책 17
      • 1. 고용창출 제도 17
      • 2. 고용안정망 제도 24
      • 제3절 해외 고용정책 27
      • 1. EU의 고용정책 27
      • 2. 미국의 고용정책 34
      • 3. 일본의 고용정책 39
      • 제3장 재무성과, 고용창출 및 안정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44
      • 제1절 재무성과 44
      • 1. 재무성과의 개념 및 분석 44
      • 2. 재무성과 요인 46
      • 제2절 고용창출 65
      • 1. 고용창출의 개념 65
      • 2. 고용창출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67
      • 제3절 고용안정성 75
      • 1. 고용안정성의 개념 75
      • 2. 고용안정성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77
      • 제4장 실증분석 83
      •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83
      • 1. 연구모형의 설정 83
      •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87
      • 3. 연구가설의 설정 98
      • 제2절 실증조사 설계 및 분석방법 101
      • 1. 자료수집 101
      • 2. 표본구성 102
      • 3. 통계분석 방법 105
      • 제3절 조사대상의 기초통계분석 108
      • 1. 기초통계량 108
      • 2. 상관분석 115
      • 제4절 연구 분석 결과 118
      • 1. 연구가설의 검증 결과 118
      • 2. 기술난이도에 따른 분석 결과 127
      • 제5장 중소제조업체의 고용창출 및 고용안정성 제고 방안 136
      • 제1절 중소제조업체의 고용창출 제고 방안 136
      • 제2절 중소제조업체의 고용안정성 제고 방안 143
      • 제6장 결론 및 향후 연구 149
      • 제1절 결론 및 시사점 149
      •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153
      • 참 고 문 헌 155
      • 부 록 168
      • ABSTRACT 17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철중, "『재무 분석』", 서울: 한국금융연수원, 2016

      2 김성중, 성제환, "한국의 고용정책",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005

      3 이희연, 노승철, "『고급통계분석론』", 고양시: 문우사, 2013

      4 민인식, 최필선, "『패널데이터 분석』", 서울: 지필미디어, 2012

      5 권성일, "『최신기업신용분석』", 서울: 한국금융연수원, 2016

      6 강규호, "“기술혁신과 고용창출”", 『경제분석』. 12(1). pp.53-75, 2006

      7 오상호, "「독일의 실업부조제도」", 『국제노동브리프』. 16(5). pp.23-41, 2018

      8 노호창, "「영국의 실업부조제도」", 『국제노동브리프』. 16(5). pp.9-23, 2018

      9 정영훈, "「일본의 실업부조제도」", 『국제노동브리프』. 16(5). pp.42-59, 2018

      10 김두순, 이정아, 윤정혜, 박진희, 박세정, 김하영, 김안정, 김수현, "『2017 KEIS 노동시장 분석』", 음성군: 한국고용정보원, 2017

      1 김철중, "『재무 분석』", 서울: 한국금융연수원, 2016

      2 김성중, 성제환, "한국의 고용정책",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005

      3 이희연, 노승철, "『고급통계분석론』", 고양시: 문우사, 2013

      4 민인식, 최필선, "『패널데이터 분석』", 서울: 지필미디어, 2012

      5 권성일, "『최신기업신용분석』", 서울: 한국금융연수원, 2016

      6 강규호, "“기술혁신과 고용창출”", 『경제분석』. 12(1). pp.53-75, 2006

      7 오상호, "「독일의 실업부조제도」", 『국제노동브리프』. 16(5). pp.23-41, 2018

      8 노호창, "「영국의 실업부조제도」", 『국제노동브리프』. 16(5). pp.9-23, 2018

      9 정영훈, "「일본의 실업부조제도」", 『국제노동브리프』. 16(5). pp.42-59, 2018

      10 김두순, 이정아, 윤정혜, 박진희, 박세정, 김하영, 김안정, 김수현, "『2017 KEIS 노동시장 분석』", 음성군: 한국고용정보원, 2017

      11 강영걸, "“기업복지와 노동생산성”", 『경영학연구』. 31(2). pp.529-550, 2002

      12 이재홍, "「미국의 고용․훈련정책」", 『한국노동연구원』, 2010

      13 손혜경, "「스웨덴의 실업부조제도」", 『국제노동브리프』. 10(9). pp.34-45, 2012

      14 김병화, 임현준, "「설비투자 결정요인 분석」", 『경제분석』. 8(4). pp.32-74, 2002

      15 배무기, "『한국의 노사관계와 고용』", 서울: 경문사, 1991

      16 김영신, 황상현, 허원제, 유진성, 송원근, "「2013년도 세법개정안 평 가」", 『한국경제연구원 정책연구』. 2013(9). pp.1-79, 2013

      17 권혁, "『노동유연화와 해고보호법』", 서울: 집문사, 2010

      18 윤윤규, "「기업 고용성과의 결정요인」", 『월간노동리뷰』. 6. pp.21-34, 2013

      19 김유선, "「2010년 비정규직 규모와 실태」", 『노동사회』. 156. pp.63-103, 2011

      20 남재량, "「고용불안과 그 원인에 관한 연구」", 『노동경제논집』. 28(3). pp.111-139, 2005

      21 김성오, 정진호, 정원호, 윤윤규, "『고용창출 메커니즘에 관한 연 구』",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012

      22 송동섭, 심재우, "「생존분석을 이용한 기업부실예측」", 『상업교육연 구』. 24(4). pp.195-212, 2010

      23 방하남, 이상호, "「좋은 일자리의 개념구성 결정요인」", 『한국사회 학』. 40(1). pp.93-126, 2006

      24 이근희, "「노동생산성의 고용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경제학과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02

      25 이정언, "「독일의 고용유연성 확대와 고용안정」",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3(12). pp.966-973, 2013

      26 문영만,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 차이 및 결정요인", 『산업노동 연구』. 19(1). pp.139-175, 2013

      27 김수곤, 이주호, "『노동경제 40년사: 인력개발과 고용정책』", 서울: 한국경영자총협회, 1989

      28 박구도, 조범준, "「총요소생산성의 고용에 대한 영향 분석」", 『한국 은행, 조사통계월보』, 2011

      29 홍순욱, "「임직원 평균근속연수와 기업가치의 관계」", 『관리회계연 구』. 16(2). pp.139-169, 2016

      30 정남기, "「지식서비스산업의 고용연계성 증대 방안」", 『질서경제저 널』. 15(4). pp.1-16, 2012

      31 김현식, 이명호, 송두한, "「CSR 수행과 종업원 생산성 간의 관계 연 구」",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2014(8). pp.1038-1049, 2014

      32 김성환, 김진산, "「교육투자가 기업의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경 영교육연구』. 66. pp.117-146, 2011

      33 남경희, 장유미, "「한 일 양국의 고령자일자리정책 비교연구」", 『일 본근대학연구』. 39. pp.259-282, 2013

      34 김혜원, 이영민, "「OECD 주요국가 청년 직업교육훈련 비교분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5(4). pp.385-395, 2015

      35 주무현, "「고용안정제도의 고용유지효과와 전달체계」", 『한국지역 고용학회 학술대회』. 2010(2). pp.5-23, 2010

      36 강보경, 공덕암, "「경남지역 고용현황과 고용창출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25(5). pp.3383-3414, 2012

      37 심충진, 이준규, "「고용증대 세액공제제도의 효과에 관한 연구」", 『세무와 회계저널』. 12(2). pp.435-454, 2011

      38 노용환, 주무현, "「중소기업 정책자금 고용효과의 지속성 분석」", 『중소기업연구』. 34(2). pp.49-65, 2012

      39 박재혁, 정규언, "「고용창출을 위한 조세지원 제도의 효과 분석」", 『조세연구』. 17(3). pp.195-217, 2017

      40 박재곤, 정윤선, 변창욱, "『지역별 제조업 투자의 효율성과 효과성 분석』", 서울: 산업연구원, 2011

      41 김종운, 이윤보, 이동주, "「창업이 고용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중소기업연구』. 33(2). pp.75-92, 2011

      42 김웅희, 황영현, 이정기, "「고용창출지원세제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 『세무학연구』. 30(3). pp.37-69, 2013

      43 김동훈, "「법인세가 기업투자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분석」", 『산업 경제연구』. 28(4). pp.1617-1638, 2015

      44 김연아, 정원오, "「비정규직 직업이동의 동태적 특성과 영향요인」", 『사회복지연구』. 46(1). pp.85-109, 2015

      45 옥지호, "「중소기업의 수익성이 고용성장에 미치는 영향」", 『Korea Business Review』. 18(4). pp.297-323, 2014

      46 김상호, 임현준, "「총요소생산성 향상이 노동시간에 미치는 영향」", 『경제학연구』. 54(1). pp.5-32, 2006

      47 박상언, 이영면, "「‘고용의 질’에 관한 글로벌 기준과 측정지표」",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1(2). pp.149-177, 2007

      48 강유덕, 이현진, 이철원, 오태현, 김준엽, "「유럽 주요국의 산업경쟁 력 제고정책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4(22), 2014

      49 김상봉, 조경준, "「부도예측모형을 이용한 기업부실화의 원인분석」", 『시장경제연구』. 40(1). pp.85-106, 2011

      50 장인성, "「생산성 향상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및 정책시사점」", 『 일자리 정책연구』, 2010

      51 김병수, 신민식, 김수은, "「중소기업의 운전자본관리와 현금유동성간 의 관계」", 『금융공학연구』. 8(2). pp.163-185, 2009

      52 김흥식, 조경식, "「한국기업에서 순운전자본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 구」", 『경영교육연구』. 30(6). pp.123-144, 2015

      53 김승회, 이장희, 김은희, "「기업의 고용안정이 회계적 이익조정에 미 치는 영향」", 『전문경영인연구』. 20(4). pp.341-358, 2017

      54 김우철, 황성현, 표학길, 전영준, 이철, 이영, "「법인세 부담이 기업 의 투자활동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경제의 분석』. 13(2). pp.51-112, 2007

      55 송준호, 신기철, "「기업의 복리후생이 생산성과 근속연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3). pp.1-20, 2017

      56 송일호, "「설비투자가 생산성과 고용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분석」", 『생산성논집』. 23(3). pp.259-278, 2009

      57 김정은, 전성일, 임종옥, "「법인세율 인하가 투자 및 경영활동에 영 향을 미치는가」", 『경영교육연구』. 67. pp.71-92, 2011

      58 이상규, 허용덕, 이원옥, "「호텔산업의 고용환경변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15(4). pp.27-42, 2006

      59 노용환, 홍성철, "「정부지원 R&D의 중소기업 기술 및 고용 성과에 대한 연구」", 『기술혁신연구』. 24(2). pp.57-87, 2016

      60 배영임, "“중소기업 R&D활동이 고용창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10(3). pp.75-83, 2015

      61 류예린, 지상현, 이균봉, "「기업의 주요 재무지표와 투자활동의 관련성 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5(1). pp.323-343, 2012

      62 박진하, 윤석만, "「고용창출세액공제제도가 고용창출과 투자에 미치 는 영향」", 『조세연구』. 15(2). pp.161-187, 2015

      63 김성률, 오호철, "「비정규직 근로자의 고용상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법률실무연구』. 5(2). pp.59-80, 2017

      64 김성환, 김종운, "「기업의 재무적 안정성이 고용과 고용안정성에 미 치는 영향」", 『경영연구』. 28(4). pp.271-297, 2013

      65 문선웅, 하태정, "「정부연구개발투자의 제조업 고용창출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기술혁신연구』. 21(1). pp.1-26, 2013

      66 권중생, 김태형, 김정원, "「고용형태에 따른 고용특성과 조직 몰입 및 직무만족 간 관계」",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0(4). pp.209-232, 2006

      67 이부형, 최성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산업별 일자리 창출력 변 화와 시사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주평』. 664. pp.1-15, 2015

      68 한종수, "「한국의 비정규직 근로자 실태 및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방 안」", 『평화학연구』. 16(3). pp.151-174, 2015

      69 이형석, "「“품질경쟁력 우수기업” 수상기업의 재무성과에 관한 연 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70 안수란, "「미국의 고용 훈련정책과 견습프로그램 확대를 위한 행정 명령」", 『국제사회보장리뷰』. 3. pp.53-63, 2017

      71 김흥식, 조경식, "「한국기업에서 순운전자본관리가 기업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 『경영연구』. 30(3). pp.303-325, 2015

      72 황덕순, "「청년고용 문제,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전략과 정책이 필요 하다」", 『국제노동브리프』. 14(5). pp.1-4, 2016

      73 김종관, 윤준섭, "「인적자원유연성과 고용불안정성, 이직의도의 관계 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4(6). pp.3157-3175, 2011

      74 권기욱, 최은정, "「고용 형태와 정서적 몰입의 관계 : 조직 공정성 지각의 조절 효과」", 『기업경영연구』. 66. pp.93-115, 2016

      75 고은정, 양동훈, "「한국형 일하기 좋은 기업지표와 노동생산성, 기업 성과 간의 관계」", 『고객만족경영연구』. 18(4). pp.75-95, 2016

      76 김성환, "「금융시장 환경 및 소유지배구조가 기업의 고용창출에 미 치는 영향」",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9(4). pp.85-107, 2014

      77 문영만,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생활만족도 패널분석 : 잠재성장모형을 중 심으로", 『산업노동연구』. 20(2). pp.187-218, 2014

      78 김묵한, 황민영, 김범식, "「고용의 질 지수를 활용한 서울시 고용의 질 평가와 구성요소별 분해」", 『서울도시연구』. 16(4). pp.217-231, 2015

      79 박노윤, "「고용안정성이 종업원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은행원 을 대상으로」", 『금융지식연구』. 8(1). pp.29-58, 2010

      80 고윤성, 최형규, "「연구개발투자 및 설비투자와 고용창출, 그리고 기 업성과에 대한 연구」", 『회계정보연구』. 35(2). pp.115-141, 2017

      81 우준희, "「한국과 일본의 노동시장 레짐: 경제위기 이후의 정책대응 을 중심으로」", 『동아연구』. 75. pp.169-219, 2018

      82 정이기, 홍재범, "「투자와 고용성장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 산 업간 차이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31(7). pp.1363-1382, 2018

      83 김문겸, 이상호, 김순철, "「부채가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비교」", 『기업경영연구』. 43. pp.47-70, 2012

      84 김동훈, "「기업의 투자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법인세 및 재무요 인에 관한 연구」", 『국제회계연구』. 53. pp.349-371, 2014

      85 강유덕, 이현진, 이철원, 오태현, 김준엽, "「저성장시대의 고용확대 정책: 유럽-주요국 사례 및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연 구원. 15(21), 2015

      86 오세열, 정호정,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고용창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30(7). pp.33-44, 2012

      87 권순원, 정동일, "가교 혹은 함정? 노동시장 구조와 비정규직 근로 자의 고용형태 전환에 대한 연구", 『인사조직연구』. 24(2). pp.9-41, 2016

      88 오세열, 정호정, "「우리나라 중견기업의 고용창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상장 중견기업을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1). pp.359-370, 2017

      89 최은정, "『고용 형태가 조직시민행동과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교환이론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90 김천구, "「금융위기 이후 산업별 일자리 창출력 변화-제조업과 정 보통신업이 성장고용 주도」", 『한국경제주평』. 152. pp.1-21, 2012

      91 조준기, 이동명, "“비상장 중소기업의 현금전환기간 관리가 기업도 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영교육연구』. 32(4). pp.207-228, 2017

      92 정이기, 홍재범, "「기업의 투자가 고용성장에 미치는 영향 : 기술투 자, 인적투자, 설비투자를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3). pp.1459-1468, 2017

      93 배호영, "「중소기업의 고용불안정성이 경영혁신에 미치는 영향-전략 적 인적자원관리의 조절효과」", 『대한경영학회지』. 28(8). pp.2047-2064, 2015

      94 김윤성, 이규용, "「고용불안성이 조직시민행동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계약 파기의 매개효과 검증」", 『조직과 인사관리연 구』. 27(4). pp.223-252, 2003

      95 한진환, "「잔류종업원의 고용불안의 선행요인 및 고용불안이 임파워 먼트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19(4). pp.1219-1244, 2006

      96 박남수, "『호텔 종사원의 고용불안정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97 박호현, "『호텔종사원이 지각하는 고용불안정성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 심리적 계약위반 매개효과와 경영진 신뢰의 조절효과』", 경기 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98 신수림, "산업체 종사자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고용안정성, 조 직경력관리지원, 프로틴 경력태도, 프로틴 경력관리행동의 인 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99 박상언, 이영면, "「고용조정을 경험한 조직에서 사원들이 느끼는 고 용불안과 신뢰 그리고 직무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신뢰의 조절효 과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33(2). pp.503-529,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