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귀옥, "지역조사와 구술사 방법론"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2 (22): 2000
2 서익진, "원조, 경제발전의 전제조건인가" 리아미디어 2010
3 배창호, "영화 『흑수선』"
4 최승호, "영화 『자백』"
5 하상칠, "부정선거 개표 막기 위해 시청 앞서 싸워 . 3 15의거 증언록: 1960, 우리는 이렇게 싸웠다"
6 "대담 자료 : 하상칠, 하상칠 가족들, 3 15의거기념사업회 관계자(회장, 사무차장 등), 3 15의거국가유공자회(4 19혁명공로자회경남지부) 회장"
7 긴즈부르그, "다시,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17
8 곽차섭, "다시,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17
9 곽차섭, "다시,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17
10 긴즈부르그, "다시,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17
1 김귀옥, "지역조사와 구술사 방법론"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2 (22): 2000
2 서익진, "원조, 경제발전의 전제조건인가" 리아미디어 2010
3 배창호, "영화 『흑수선』"
4 최승호, "영화 『자백』"
5 하상칠, "부정선거 개표 막기 위해 시청 앞서 싸워 . 3 15의거 증언록: 1960, 우리는 이렇게 싸웠다"
6 "대담 자료 : 하상칠, 하상칠 가족들, 3 15의거기념사업회 관계자(회장, 사무차장 등), 3 15의거국가유공자회(4 19혁명공로자회경남지부) 회장"
7 긴즈부르그, "다시,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17
8 곽차섭, "다시,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17
9 곽차섭, "다시,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17
10 긴즈부르그, "다시,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17
11 이은진, "근대마산 압축된 모순의 폭발지" 경남대학교 출판부 2004
12 태륜기, "권력과 재판" 삼민사 1983
13 "국가보훈처 결정 공문, 4 19혁명 유공자포상 공적심사 결과안내"
14 윤택림, "구술사 연구방법론" 아르케 2006
15 최인훈, "광장/구운몽" 문학과지성사 2014
16 이상윤, "3월 15일 밤 국제신보 기자 구타 사건의 진상"
17 강만길, "3 15항쟁의 역사성과 민주주의적 성격" 사단법인3 15의거기념사업회 (7) : 1999
18 남재우, "3 15의거의 성격 변화 군사정권 26년간을 중심으로" 2005
19 사단법인3 15의거기념사업회, "3 15의거사"
20 남부희, "3 15의거를 어떻게 볼 것인가 굴절과 왜곡에서 자주적 민족운동의 좌표까지" 3 15의거기념사업회 (1) : 1995
21 사단법인3 15의거기념사업회, "3 15의거 학술논문총서"
22 "3 15의거 증언록 : 1960 우리는이렇게 싸웠다"
23 사단법인3 15의거기념사업회, "3 15의거 증언록 : 1960 우리는 이렇게 싸웠다"
24 김무신, "3 15의거 증언록 : 1960 우리는 이렇게 싸웠다" 사단법인3 15의거기념사업회 2010
25 "3 15의거 유공자 107명 늦깎이 포상"
26 사단법인3 15의거기념사업회, "3 15의거 40주년기념 학술심포지엄 자료집"
27 홍중조, "3 15의거"
28 이은진, "3 15 마산 1차의거 누가 왜 참가하였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