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얼음장수의 뜨거웠던 하루 - 3․15의거 한 참여자에 관한 미시사적 분석 - = One day hotly experienced by an ice dealer - An micro-historical analysis on a participant in the 3․15 worthy uprising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282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review a historic event through a window of individual experience done by a person named Sang-Chil HA, He made some 50 years lately a testimony that he had participated actively in the manifestation occurred at the night of March 15 in 1960. For this purpose we applicate the micro-history methodology that tries to write a history of ‘possibility’ as much as possible by utilizing private recordings and testimonies etc. that have been traditionally considered as non-historical sources. This paper begins to summarize the profile of the target person and give the totality of his testimony before estimating the historic value contained in his testmony. And we will treat two following questions that will be respectively given one chapter. First question concerns the motivation of his participation in the event. We can derive a sentiment of justice shared among others and embodied into the person in question by studying both social factors and individual ones. Secondly, it is the question about the reasons for his long silence. It becomes possible to verify how exhaustively the horror to an eventual revenge by the public power and the red trauma influenced upon the life of one individual.
      번역하기

      This paper attempts to review a historic event through a window of individual experience done by a person named Sang-Chil HA, He made some 50 years lately a testimony that he had participated actively in the manifestation occurred at the night of Marc...

      This paper attempts to review a historic event through a window of individual experience done by a person named Sang-Chil HA, He made some 50 years lately a testimony that he had participated actively in the manifestation occurred at the night of March 15 in 1960. For this purpose we applicate the micro-history methodology that tries to write a history of ‘possibility’ as much as possible by utilizing private recordings and testimonies etc. that have been traditionally considered as non-historical sources. This paper begins to summarize the profile of the target person and give the totality of his testimony before estimating the historic value contained in his testmony. And we will treat two following questions that will be respectively given one chapter. First question concerns the motivation of his participation in the event. We can derive a sentiment of justice shared among others and embodied into the person in question by studying both social factors and individual ones. Secondly, it is the question about the reasons for his long silence. It becomes possible to verify how exhaustively the horror to an eventual revenge by the public power and the red trauma influenced upon the life of one individu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960년 3․15의거 당일 야간 시위에 주도적으로 참가했던 한 개인의 증언을 바탕으로 그의 개인사를 하나의 창으로 삼아 역사적 사건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적 기록이나 증언 등 이른바 비 사료들도 활용해 최대한 가능성의 역사를 기술하고자 하는 미시사 방법론을 원용한다. 이 글은 먼저 연구 대상자의 프로필과 증언을 제시한 후 증언에 내포된 역사적 가치를 평가한다. 그의 증언은 당일 시청 앞 야간시위의 주요 사건들에 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크다. 다음, 증언에서 도출되는 다음 두 가지 질문을 각각 하나의 장으로 다룬다. 첫 번째 의문은 증언자의 의거 참가 동기에 관한 것이다. 사회적 요인을 바탕으로 개인적 요인을 검토함으로써 공유된 가치이자 개인에게 체화된 정의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의문은 그의 오랜 침묵의 이유를 다룬다. 이를 통해 보복 공포와 빨갱이 트라우마가 한 개인에게 어떻게 작용했던가를 보여주는 사례를 확보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이 글은 1960년 3․15의거 당일 야간 시위에 주도적으로 참가했던 한 개인의 증언을 바탕으로 그의 개인사를 하나의 창으로 삼아 역사적 사건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적 기록이나 ...

      이 글은 1960년 3․15의거 당일 야간 시위에 주도적으로 참가했던 한 개인의 증언을 바탕으로 그의 개인사를 하나의 창으로 삼아 역사적 사건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적 기록이나 증언 등 이른바 비 사료들도 활용해 최대한 가능성의 역사를 기술하고자 하는 미시사 방법론을 원용한다. 이 글은 먼저 연구 대상자의 프로필과 증언을 제시한 후 증언에 내포된 역사적 가치를 평가한다. 그의 증언은 당일 시청 앞 야간시위의 주요 사건들에 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크다. 다음, 증언에서 도출되는 다음 두 가지 질문을 각각 하나의 장으로 다룬다. 첫 번째 의문은 증언자의 의거 참가 동기에 관한 것이다. 사회적 요인을 바탕으로 개인적 요인을 검토함으로써 공유된 가치이자 개인에게 체화된 정의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의문은 그의 오랜 침묵의 이유를 다룬다. 이를 통해 보복 공포와 빨갱이 트라우마가 한 개인에게 어떻게 작용했던가를 보여주는 사례를 확보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귀옥, "지역조사와 구술사 방법론"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2 (22): 2000

      2 서익진, "원조, 경제발전의 전제조건인가" 리아미디어 2010

      3 배창호, "영화 『흑수선』"

      4 최승호, "영화 『자백』"

      5 하상칠, "부정선거 개표 막기 위해 시청 앞서 싸워 . 3 15의거 증언록: 1960, 우리는 이렇게 싸웠다"

      6 "대담 자료 : 하상칠, 하상칠 가족들, 3 15의거기념사업회 관계자(회장, 사무차장 등), 3 15의거국가유공자회(4 19혁명공로자회경남지부) 회장"

      7 긴즈부르그, "다시,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17

      8 곽차섭, "다시,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17

      9 곽차섭, "다시,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17

      10 긴즈부르그, "다시,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17

      1 김귀옥, "지역조사와 구술사 방법론"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2 (22): 2000

      2 서익진, "원조, 경제발전의 전제조건인가" 리아미디어 2010

      3 배창호, "영화 『흑수선』"

      4 최승호, "영화 『자백』"

      5 하상칠, "부정선거 개표 막기 위해 시청 앞서 싸워 . 3 15의거 증언록: 1960, 우리는 이렇게 싸웠다"

      6 "대담 자료 : 하상칠, 하상칠 가족들, 3 15의거기념사업회 관계자(회장, 사무차장 등), 3 15의거국가유공자회(4 19혁명공로자회경남지부) 회장"

      7 긴즈부르그, "다시,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17

      8 곽차섭, "다시,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17

      9 곽차섭, "다시,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17

      10 긴즈부르그, "다시,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17

      11 이은진, "근대마산 압축된 모순의 폭발지" 경남대학교 출판부 2004

      12 태륜기, "권력과 재판" 삼민사 1983

      13 "국가보훈처 결정 공문, 4 19혁명 유공자포상 공적심사 결과안내"

      14 윤택림, "구술사 연구방법론" 아르케 2006

      15 최인훈, "광장/구운몽" 문학과지성사 2014

      16 이상윤, "3월 15일 밤 국제신보 기자 구타 사건의 진상"

      17 강만길, "3 15항쟁의 역사성과 민주주의적 성격" 사단법인3 15의거기념사업회 (7) : 1999

      18 남재우, "3 15의거의 성격 변화 군사정권 26년간을 중심으로" 2005

      19 사단법인3 15의거기념사업회, "3 15의거사"

      20 남부희, "3 15의거를 어떻게 볼 것인가 굴절과 왜곡에서 자주적 민족운동의 좌표까지" 3 15의거기념사업회 (1) : 1995

      21 사단법인3 15의거기념사업회, "3 15의거 학술논문총서"

      22 "3 15의거 증언록 : 1960 우리는이렇게 싸웠다"

      23 사단법인3 15의거기념사업회, "3 15의거 증언록 : 1960 우리는 이렇게 싸웠다"

      24 김무신, "3 15의거 증언록 : 1960 우리는 이렇게 싸웠다" 사단법인3 15의거기념사업회 2010

      25 "3 15의거 유공자 107명 늦깎이 포상"

      26 사단법인3 15의거기념사업회, "3 15의거 40주년기념 학술심포지엄 자료집"

      27 홍중조, "3 15의거"

      28 이은진, "3 15 마산 1차의거 누가 왜 참가하였는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Humanistic Studies, Kyungnam University -> Institute for Human studies, Kyungnam University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2 0.83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