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비유적 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모방시 쓰기 수업 연구 = A Study on Imitative Poetry Writing Class to Improve Metaphorical Expressions among Korean Language Lear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282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imitative poetry writing class as a way to improve metaphorical expressions among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discuss its effect based on actual class. For advanced level learners, the writing education must enable them to acquire sophisticated and creative expressions. Therefore, this study designed an imitative poetry writing class that can be applied to Korean writing class and proposed an instruction model that consists of original text reading and imitative poetry writing.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in this model is to ensure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text based on discussions and dialogues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s and between learners and to lead to imitative poetry writing subsequently. This study analyzed a case of an actual class to which the proposed model was applied. In the class, learners read three pieces of original text and understood them by forming various discussions and dialogues. And then, by using metaphorical expressions related to a poem, they wrote an imitative poem. The imitative poems written by the learners showed four types of metaphorical expressions: first, expressions that copied those found in the original text; second, direct use of idiomatic expressions based on basic metaphors; third, expansion or sophistication of basic metaphors; and, fourth, creation of new metaphors. Most learners mostly used the third type of expressions while some progressed to the fourth type. This demonstrates that practicing creative and metaphorical expressions through imitative poetry writing was relatively successful. In other words, imitative poetry writing had educational effects on improving linguistic expressions and creative expressions among learn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imitative poetry writing class as a way to improve metaphorical expressions among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discuss its effect based on actual class. For advanced level learners, the writing education mu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imitative poetry writing class as a way to improve metaphorical expressions among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discuss its effect based on actual class. For advanced level learners, the writing education must enable them to acquire sophisticated and creative expressions. Therefore, this study designed an imitative poetry writing class that can be applied to Korean writing class and proposed an instruction model that consists of original text reading and imitative poetry writing.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in this model is to ensure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text based on discussions and dialogues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s and between learners and to lead to imitative poetry writing subsequently. This study analyzed a case of an actual class to which the proposed model was applied. In the class, learners read three pieces of original text and understood them by forming various discussions and dialogues. And then, by using metaphorical expressions related to a poem, they wrote an imitative poem. The imitative poems written by the learners showed four types of metaphorical expressions: first, expressions that copied those found in the original text; second, direct use of idiomatic expressions based on basic metaphors; third, expansion or sophistication of basic metaphors; and, fourth, creation of new metaphors. Most learners mostly used the third type of expressions while some progressed to the fourth type. This demonstrates that practicing creative and metaphorical expressions through imitative poetry writing was relatively successful. In other words, imitative poetry writing had educational effects on improving linguistic expressions and creative expressions among learn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한국어 학습자들의 비유적 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모방시 쓰기 수업을 제안하고, 실제 수업 사례를 통해 그 효과를 고찰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고급 단계의 학습자들에게는 고급 단계에 맞는 세련되고 창의적인 표현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쓰기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어 쓰기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모방시 쓰기 수업을 설계하고 수업 모형을 제안하였다. 수업 모형은 원텍스트 읽기 과정과 모방시 쓰기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담론과 대화를 통해 원텍스트를 충분히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방시를 쓰도록 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진행한 실제 수업 사례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수업에서 학습자들은 세 편의 시를 읽고, 다양한 담론과 대화를 형성하면서 원텍스트를 이해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바탕으로 시 한 편에 대해 비유적 표현을 활용하여 모방시를 썼다. 학습자들이 작성한 모방시에는 네 가지 양상의 비유적 표현들이 나타났다. 첫째는 원텍스트의 표현들을 그대로 답습한 경우, 둘째는 기본 은유를 바탕으로 한 관습적인 표현을 그대로 사용한 경우, 셋째는 기본 은유를 확장하거나 구체화하여 새롭게 만든 경우, 넷째는 일상적인 은유적 사고에서 일탈하여 새로운 은유를 만든 경우 등이었다.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세 번째 경우에 해당하는 표현들을 많이 사용했고, 네 번째의 경우까지 나아간 학습자들도 있었다. 이는 모방시 쓰기를 통해 참신하고 비유적인 표현을 연습한 것이 비교적 성공적이었음을 나타낸다. 모방시 쓰기는 비유적 표현을 활용해서 글을 써봄으로써 학습자의 창의적 언어 표현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한국어 학습자들의 비유적 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모방시 쓰기 수업을 제안하고, 실제 수업 사례를 통해 그 효과를 고찰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고급 단계의 학습자들에...

      이 논문은 한국어 학습자들의 비유적 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모방시 쓰기 수업을 제안하고, 실제 수업 사례를 통해 그 효과를 고찰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고급 단계의 학습자들에게는 고급 단계에 맞는 세련되고 창의적인 표현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쓰기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어 쓰기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모방시 쓰기 수업을 설계하고 수업 모형을 제안하였다. 수업 모형은 원텍스트 읽기 과정과 모방시 쓰기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담론과 대화를 통해 원텍스트를 충분히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방시를 쓰도록 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진행한 실제 수업 사례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수업에서 학습자들은 세 편의 시를 읽고, 다양한 담론과 대화를 형성하면서 원텍스트를 이해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바탕으로 시 한 편에 대해 비유적 표현을 활용하여 모방시를 썼다. 학습자들이 작성한 모방시에는 네 가지 양상의 비유적 표현들이 나타났다. 첫째는 원텍스트의 표현들을 그대로 답습한 경우, 둘째는 기본 은유를 바탕으로 한 관습적인 표현을 그대로 사용한 경우, 셋째는 기본 은유를 확장하거나 구체화하여 새롭게 만든 경우, 넷째는 일상적인 은유적 사고에서 일탈하여 새로운 은유를 만든 경우 등이었다.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세 번째 경우에 해당하는 표현들을 많이 사용했고, 네 번째의 경우까지 나아간 학습자들도 있었다. 이는 모방시 쓰기를 통해 참신하고 비유적인 표현을 연습한 것이 비교적 성공적이었음을 나타낸다. 모방시 쓰기는 비유적 표현을 활용해서 글을 써봄으로써 학습자의 창의적 언어 표현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덕, "현대시를 활용한 대학 작문 수업 사례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48 (48): 75-98, 2014

      2 강현화, "한국어이해교육론" 형설출판사 2009

      3 이홍매, "한국어교육에서 모방시 쓰기 를 활용한 현대시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4 최정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인문과학연구소 (63) : 53-90, 2011

      5 오지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채 중심의 자기 표현적 글쓰기 교육 연구-중국인 학습자의 감상일지를 중심으로-" 한국중원언어학회 (25) : 133-158, 2012

      6 전혜영, "한국어 은유표현의 교육" Korean 교육 연구 국제협의회: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 : 93-107, 2006

      7 송지언,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세 문장 쓰기’ 과제 개발 연구 -한국어 교재 분석을 바탕으로-" 국어국문학회 (180) : 221-255, 2017

      8 손영미, "학습자 중심의 시교육 방법 연구: 모방시를 통한 시 창작 활동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9 한상규, "패러디를 활용한 시 창작 교수-학습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0 안소현, "패러디 기법을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안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 박종덕, "현대시를 활용한 대학 작문 수업 사례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48 (48): 75-98, 2014

      2 강현화, "한국어이해교육론" 형설출판사 2009

      3 이홍매, "한국어교육에서 모방시 쓰기 를 활용한 현대시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4 최정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인문과학연구소 (63) : 53-90, 2011

      5 오지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채 중심의 자기 표현적 글쓰기 교육 연구-중국인 학습자의 감상일지를 중심으로-" 한국중원언어학회 (25) : 133-158, 2012

      6 전혜영, "한국어 은유표현의 교육" Korean 교육 연구 국제협의회: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 : 93-107, 2006

      7 송지언,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세 문장 쓰기’ 과제 개발 연구 -한국어 교재 분석을 바탕으로-" 국어국문학회 (180) : 221-255, 2017

      8 손영미, "학습자 중심의 시교육 방법 연구: 모방시를 통한 시 창작 활동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9 한상규, "패러디를 활용한 시 창작 교수-학습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0 안소현, "패러디 기법을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안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1 Flusser, V., "코무니콜로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12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월보"

      13 박영우, "중고등학교에서의 시 교육의 실제" 한국문예창작학회 5 (5): 77-96, 2006

      14 이정찬, "자기표현 글쓰기 교육의 비판적 검토- 수사(修辭)와 탐구 그리고 정체성 -" 한국작문학회 (33) : 65-94, 2017

      15 이지용, "인지의미론을 통한 한국어 관용어 교육의 효율성 연구 -영상도식 은유를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31 : 209-247, 2010

      16 김욱동, "은유와 환유" 민음사 2004

      17 김금숙,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학 교육 목표와 수업 모형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4

      18 조민정,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대학 글쓰기 교재 편찬 방안 연구 - 학습자의 요구조사를 토대로" 한국문법교육학회 18 : 209-240, 2013

      19 박영기, "외국인 대학생을 위한 자기표현적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인 글쓰기반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8 (8): 339-372, 2015

      20 최연희, "영어 쓰기 표현 교육론 : 원리와 적용" 한국문화사 2009

      21 조형일, "어휘의 뜻풀이 정교화를 통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외국어교육연구소 21 : 117-139, 2017

      22 김남희, "시적 자기표현으로서의 고백" 한국어교육학회 (157) : 125-151, 2017

      23 Lakoff, G., "시와 인지" 한국문화사 1996

      24 김준오, "시론" 삼지원 1999

      25 Lakoff, G., "삶으로서의 은유" 박이정 2008

      26 손진은, "독창적 창작 이전 단계로서의 모방시 쓰기" 시안사 8 (8): 47-59, 2005

      27 손진은, "교실 협동학습 패러디 시 쓰기 수업의 실제" 한국어문학회 (130) : 159-186, 2015

      28 유경민, "개념 은유를 활용한 한국의 어휘ㆍ문화 교육 - 인간관계에 대한 개념 은유를 중심으로 -" 한국어의미학회 26 : 153-182, 2008

      29 정미진, "개념 은유를 활용한 외국인 학부생 대상 교양 글쓰기 수업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76) : 507-532, 2011

      30 Britton, J., "The development of writing abilities" Macmillan 19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Humanistic Studies, Kyungnam University -> Institute for Human studies, Kyungnam University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2 0.83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