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호스피스 시설의 유형별 공간구성에 관한 건축 계획적 연구 = An architectural planning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hospices based on typ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30936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漢陽大學校 産業大學院, 200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漢陽大學校 産業大學院 , 建築學 專攻 , 2002

      • 발행연도

        200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x, 86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국문요지: p.i-iii
        Abstract: p. 83-85
        참고문헌: p. 81-82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한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recently socioeconomic level improves greatly and lifestyle alters rapidly, cancer, AIDS, maturing late disease etc. increased. And the allotted span is extended by development of medicine technology including life tool technology, terminal patient's scale increased fairly. Also necessity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ccording to request that interest about quality of life is going to remove terminal patient's pain and keep easy life was risen naturally. Hospice service is enforcing general hospital and hospice facility by increase of hospice demand but establishment of special hospice facility is expected forward because of number of facility is lacking than patient demand.
      This study researches about necessary care environment at hospice facility plan through investigation about terminal patient's special 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type fundamental data of hospice facility for architectural pla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case study of domestic and outside facilities.

      Domestic hospice facility had been developed into general hospital center but home hospice that financial burden is big and offer service in home being not satisfying terminal patient and various request of family to patient and family increased, and necessity of hospice facility operated when see as long-term view separatively is increasing.
      Therefore, though differentiation of service special quality and admission into a hospital surrounding that is offered according to kind of facility proposes element necessary construction environment and plan partial splinter in plan through type comparative study of each facility being required, there is the purpose, it could get study finding following conclusion.

      1. That can look after terminal patient and the family who have ahead death that hospice is different from hospital facility that do patient's treatment by purpose by love general, it is place being space that equip nursing system and program and surrounding to be ago.

      2. If domestic hospice institution classifies according to operation way, about 86 places are operating as free standing hospice 6 places, hospice unit within a hospital 38 places, hospice home care 42 places and equipment that among them, operate ward is not more free standing type 6 places and unit within a hospital type 10 places over 250 sickbed. Change of awareness about terminal patient's hospice service and hospice facility by increase of demand are increasing steadily the latest.

      3. If sort hospice facility that have independence ward by special quality architectural, can sort indie-type that have independence facility, ward-type that general hospital building interior does remodeling, separate ward-type is been elastic separately to hospital site.

      4. Class composition of hospice facility function can classify to patient space, medical examination and treatment space, employee and support space, public space for family and user, transfer and service space by user according to function and purpose of space .

      5. Emphasis of type space plan is as following.

      1) It is desirable that indie-type is situated all in area that escape in downtown, and indie-type and separate ward-type must plan in mid-court style, radiation style etc.. to raise contact with nature and utilize outside space actively in patients' healing establishing walk path, vegetable garden etc.. that consider special quality that contact with surface of land as building which build by horizontal style.
      Space that can improve each constituent's duty achievement and habitability considering team's human composition should be defined, and each class arrangement plans to consider independence of patient space according to the function and secure area.

      2) Ward type can have to secure exclusive use outside space that guarantee patient's independence department and utilize roof floor being situated in the lowermost story or top floor than middle floor of existing hospital ward. Arrange employee space in entrance for outsider's exit and entrance control and can form patient space and public space as there is link and secure patient and family's privacy.


      Recognized about essential point at terminal patient's special quality and type characteristic of hospice facility, architecture plan in this study and
      for front, research that can supply detailed data that consider terminal patient's healing environment is considered should be gone.
      번역하기

      As the recently socioeconomic level improves greatly and lifestyle alters rapidly, cancer, AIDS, maturing late disease etc. increased. And the allotted span is extended by development of medicine technology including life tool technology, terminal pat...

      As the recently socioeconomic level improves greatly and lifestyle alters rapidly, cancer, AIDS, maturing late disease etc. increased. And the allotted span is extended by development of medicine technology including life tool technology, terminal patient's scale increased fairly. Also necessity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ccording to request that interest about quality of life is going to remove terminal patient's pain and keep easy life was risen naturally. Hospice service is enforcing general hospital and hospice facility by increase of hospice demand but establishment of special hospice facility is expected forward because of number of facility is lacking than patient demand.
      This study researches about necessary care environment at hospice facility plan through investigation about terminal patient's special 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type fundamental data of hospice facility for architectural pla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case study of domestic and outside facilities.

      Domestic hospice facility had been developed into general hospital center but home hospice that financial burden is big and offer service in home being not satisfying terminal patient and various request of family to patient and family increased, and necessity of hospice facility operated when see as long-term view separatively is increasing.
      Therefore, though differentiation of service special quality and admission into a hospital surrounding that is offered according to kind of facility proposes element necessary construction environment and plan partial splinter in plan through type comparative study of each facility being required, there is the purpose, it could get study finding following conclusion.

      1. That can look after terminal patient and the family who have ahead death that hospice is different from hospital facility that do patient's treatment by purpose by love general, it is place being space that equip nursing system and program and surrounding to be ago.

      2. If domestic hospice institution classifies according to operation way, about 86 places are operating as free standing hospice 6 places, hospice unit within a hospital 38 places, hospice home care 42 places and equipment that among them, operate ward is not more free standing type 6 places and unit within a hospital type 10 places over 250 sickbed. Change of awareness about terminal patient's hospice service and hospice facility by increase of demand are increasing steadily the latest.

      3. If sort hospice facility that have independence ward by special quality architectural, can sort indie-type that have independence facility, ward-type that general hospital building interior does remodeling, separate ward-type is been elastic separately to hospital site.

      4. Class composition of hospice facility function can classify to patient space, medical examination and treatment space, employee and support space, public space for family and user, transfer and service space by user according to function and purpose of space .

      5. Emphasis of type space plan is as following.

      1) It is desirable that indie-type is situated all in area that escape in downtown, and indie-type and separate ward-type must plan in mid-court style, radiation style etc.. to raise contact with nature and utilize outside space actively in patients' healing establishing walk path, vegetable garden etc.. that consider special quality that contact with surface of land as building which build by horizontal style.
      Space that can improve each constituent's duty achievement and habitability considering team's human composition should be defined, and each class arrangement plans to consider independence of patient space according to the function and secure area.

      2) Ward type can have to secure exclusive use outside space that guarantee patient's independence department and utilize roof floor being situated in the lowermost story or top floor than middle floor of existing hospital ward. Arrange employee space in entrance for outsider's exit and entrance control and can form patient space and public space as there is link and secure patient and family's privacy.


      Recognized about essential point at terminal patient's special quality and type characteristic of hospice facility, architecture plan in this study and
      for front, research that can supply detailed data that consider terminal patient's healing environment is considered should be gon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사회 경제적 수준이 크게 향상되고 생활양식이 급속히 변화하면서 암, 에이즈, 만성질환 등이 증가하였고 생명연장 기술을 비롯한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면서 말기환자의 규모가 상당히 증가하였다. 또한 경제수준의 향상으로 사람들은 삶의 질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말기환자들의 고통을 제거하고 편안한 삶을 유지하고 자 하는 요구에 따라 호스피스와 완화의학의 필요성이 자연스럽게 대두되게 되었고 이의 발전은 시대적 요구로 인식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호스피스의 인가 기준이나 업무의 표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대부분의 호스피스 기관이 인력, 시설, 설비, 운영체계 등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말기환자의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호스피스 시설의 확충 및 그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하겠다.

      현재 국내에서 호스피스 전용 병동을 운영하는 시설은 독리시설이 6개 종합병원내 병동시설이 10개로서 서비스의 주 대상 질환인 암으로 사망하는 환자가 연간 5만명에 이르는 상황에서 그 수요에 대한 대책 및 법제화가 시급히 요구된다.
      국내 호스피스 시설은 종합병원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으나 환자 및 가족에게 재정적 부담이 크고 말기환자와 가족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어 가정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가정 호스피스가 증가하였고, 장기적인 전망으로 볼때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호스피스 시설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시설의 종류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 특성과 입원 환경의 차별화가 요구되고 있어 각 시설의 유형별 비교연구를 통해 호스피스 시설 계획에 필요한 유형별 공간구성 및 계획적 요소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호스피스는 환자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병원시설과는 다른 죽음을 앞둔 말기환자와 그 가족을 사랑으로써 돌볼 수 있는 총체적, 전인적 간호체계와 프로그램 및 환경을 갖춘 공간이며 장소이다.

      2. 호스피스의 대상은 더 이상 의료적인 치료가 불가하고 수명이 6개월 이내로 예견되는 말기환자로서 입원당시 의식이 뚜렷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환자와 그 가족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환자와 가족을 위한 공간적인 배려가 요구된다.

      3. 국내 호스피스 기관은 운영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독립시설형 6개소, 병원시설형 38개소, 가정방문형 42개소로서 약 86개소가 운영중이며 그중 병동을 운영하는 시설은 독립형 6개소와 병원형 10개소 250여 병상에 불과하다. 말기환자의 호스피스 서비스에 대한 인식의 변화 및 수요의 증가로 인해 호스피스 시설은 최근 꾸준히 증가 하고 있어 호스피스의 법적 제도 및 시설 기준의 정립이 시급하다.

      4. 호스피스 독립 병동을 가지고 있는 시설을 건축적 특성으로 분류하면 독립시설을 가지고 있는 독립형, 종합병원 건물내부를 리모델링한 병동형, 병원 부지에 별도로 신축된 별동형으로 분류할 수 있고, 독립형은 시설의 위치에 따라 전원형과 의원형으로 구분되고 병동형은 규모에 따라 전층형과 부분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5. 호스피스 시설은 공간의 기능․목적에 따라서 이용자 중심으로 환자공간, 진료공간, 직원 및 지원공간, 가족 및 이용자를 위한 공용공간, 이동 및 서비스 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환자공간
      환자공간은 병실, 임종실, 목욕실, 공용 화장실로 구분할 수 있으며 말기 환자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특성을 고려하여 계획하여야 한다.
      병실은 환자의 주생활공간으로 직접적인 간호와 환자의 다양한 일상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서 크기는 일반 병원시설 보다 넓게 계획되어야 하며, 따뜻하고 아늑한 가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독립형은 1인실과 2인실 위주 구성하고 병동형은 소인실과 다인실의 비를 병원의 실정에 맞게 조정하여야 하며, 다인실은 기존병동의 모듈의 한계를 고려한 4인실로 계획한다.
      화장실은 전체 병실내에 두어야 하고 휠체어 이용자를 고려한 치수계획을 해야하며, 다인실 환자를 고려하여 병동내 환자 공용화장실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한다.
      임종실은 다인실이 운영되는 시설에는 환자의 신변정리를 위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2) 진료공간
      병동형과 별동형은 병원내 타 시설의 사용이 가능하나 독립형은 별도로 계획되어야 하며, 환자와 간호사, 자원봉사자의 동선을 고려하여 간호대기실(N.S)과 병실을 중심으로 가까운 곳에 배치하여야 하며, 환자가 병실을 비롯한 환자공간에서 진료공간으로 이동할 경우 외출과 같은 느낌을 갖게 하여 기분전환을 할 수 있는 공간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3) 직원 및 지원공간
      직원 및 지원공간은 환자의 간호를 지원하는 간호공간과 직원들의 업무와 휴식 위한 사무공간과 각종 서비스를 위한 공간으로 구분되며 독립형이 병동형 보다 인력구성 측면에서 더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간호공간은 환자의 간호를 지원하는 공간으로, 간호사의 작업 및 동선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므로 간호대기실과 간호관계제실의 상호관련도를 고려한 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사무공간은 말기환자 간호에 따른 심리적, 정신적 부담감 및 스트레스가 심한 직원들의 휴식공간을 고려한다.

      4) 공용공간
      환자와 그 가족들을 위한 공간으로 환자를 위한 데이룸, 담화실, 알코브가 가족을 위한 가족실, 간이주방, 유아놀이방, 화장실이 있고 기도실, 예배실, 식당, 외부공간은 환자와 가족 모두를 위한 공간이다. 병동형 보다 가족의 체제 기간이 긴 독립형 시설에서 세분화된 구성이 요구된다.

      6. 유형별 공간계획의 중점은 다음과 같다.

      1) 독립형은 도심에서 벗어난 전원지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독립형과 별동형은 수평형으로 건축된 건물로서 지면과 접하는 특성을 고려한 산책로, 텃밭 등을 설치하여 자연과의 접촉을 높여 환자들의 치유에 외부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중정형, 방사형 등으로 계획하여야 한다.
      팀의 인적구성을 고려하여 각 구성원의 임무 수행과 거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각 부문별 배치는 환자공간을 중심으로 진료공간, 직원, 공용공간을 분리하여 별동으로 배치 함으로써 환자들의 거주공간을 방문자와 직원들로부터 분리하여 각각의 독립성과 영역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병동형은 도심지역의 수직형 건물내에 위치한 시설로서 병동부의 형태는 판상형의 중복도형이다. 기존 병원시설 병동부층의 중간보다는 최하층이나 최상층에 위치하여 환자의 독립성을 보장하고 옥상을 활용한 전용 외부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하겠다. 외부인의 출입 통제를 위해 직원공간을 입구 쪽에 배치하고 환자공간과 공용 공간을 연계성 있게 조직하여 환자와 가족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말기환자의 특성과 호스피스 시설의 유형별 특징, 건축 계획시 주안점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앞으로 말기환자의 치유 환경을 고려한 세부적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최근 사회 경제적 수준이 크게 향상되고 생활양식이 급속히 변화하면서 암, 에이즈, 만성질환 등이 증가하였고 생명연장 기술을 비롯한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면서 말...


      최근 사회 경제적 수준이 크게 향상되고 생활양식이 급속히 변화하면서 암, 에이즈, 만성질환 등이 증가하였고 생명연장 기술을 비롯한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면서 말기환자의 규모가 상당히 증가하였다. 또한 경제수준의 향상으로 사람들은 삶의 질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말기환자들의 고통을 제거하고 편안한 삶을 유지하고 자 하는 요구에 따라 호스피스와 완화의학의 필요성이 자연스럽게 대두되게 되었고 이의 발전은 시대적 요구로 인식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호스피스의 인가 기준이나 업무의 표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대부분의 호스피스 기관이 인력, 시설, 설비, 운영체계 등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말기환자의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호스피스 시설의 확충 및 그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하겠다.

      현재 국내에서 호스피스 전용 병동을 운영하는 시설은 독리시설이 6개 종합병원내 병동시설이 10개로서 서비스의 주 대상 질환인 암으로 사망하는 환자가 연간 5만명에 이르는 상황에서 그 수요에 대한 대책 및 법제화가 시급히 요구된다.
      국내 호스피스 시설은 종합병원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으나 환자 및 가족에게 재정적 부담이 크고 말기환자와 가족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어 가정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가정 호스피스가 증가하였고, 장기적인 전망으로 볼때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호스피스 시설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시설의 종류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 특성과 입원 환경의 차별화가 요구되고 있어 각 시설의 유형별 비교연구를 통해 호스피스 시설 계획에 필요한 유형별 공간구성 및 계획적 요소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호스피스는 환자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병원시설과는 다른 죽음을 앞둔 말기환자와 그 가족을 사랑으로써 돌볼 수 있는 총체적, 전인적 간호체계와 프로그램 및 환경을 갖춘 공간이며 장소이다.

      2. 호스피스의 대상은 더 이상 의료적인 치료가 불가하고 수명이 6개월 이내로 예견되는 말기환자로서 입원당시 의식이 뚜렷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환자와 그 가족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환자와 가족을 위한 공간적인 배려가 요구된다.

      3. 국내 호스피스 기관은 운영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독립시설형 6개소, 병원시설형 38개소, 가정방문형 42개소로서 약 86개소가 운영중이며 그중 병동을 운영하는 시설은 독립형 6개소와 병원형 10개소 250여 병상에 불과하다. 말기환자의 호스피스 서비스에 대한 인식의 변화 및 수요의 증가로 인해 호스피스 시설은 최근 꾸준히 증가 하고 있어 호스피스의 법적 제도 및 시설 기준의 정립이 시급하다.

      4. 호스피스 독립 병동을 가지고 있는 시설을 건축적 특성으로 분류하면 독립시설을 가지고 있는 독립형, 종합병원 건물내부를 리모델링한 병동형, 병원 부지에 별도로 신축된 별동형으로 분류할 수 있고, 독립형은 시설의 위치에 따라 전원형과 의원형으로 구분되고 병동형은 규모에 따라 전층형과 부분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5. 호스피스 시설은 공간의 기능․목적에 따라서 이용자 중심으로 환자공간, 진료공간, 직원 및 지원공간, 가족 및 이용자를 위한 공용공간, 이동 및 서비스 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환자공간
      환자공간은 병실, 임종실, 목욕실, 공용 화장실로 구분할 수 있으며 말기 환자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특성을 고려하여 계획하여야 한다.
      병실은 환자의 주생활공간으로 직접적인 간호와 환자의 다양한 일상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서 크기는 일반 병원시설 보다 넓게 계획되어야 하며, 따뜻하고 아늑한 가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독립형은 1인실과 2인실 위주 구성하고 병동형은 소인실과 다인실의 비를 병원의 실정에 맞게 조정하여야 하며, 다인실은 기존병동의 모듈의 한계를 고려한 4인실로 계획한다.
      화장실은 전체 병실내에 두어야 하고 휠체어 이용자를 고려한 치수계획을 해야하며, 다인실 환자를 고려하여 병동내 환자 공용화장실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한다.
      임종실은 다인실이 운영되는 시설에는 환자의 신변정리를 위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2) 진료공간
      병동형과 별동형은 병원내 타 시설의 사용이 가능하나 독립형은 별도로 계획되어야 하며, 환자와 간호사, 자원봉사자의 동선을 고려하여 간호대기실(N.S)과 병실을 중심으로 가까운 곳에 배치하여야 하며, 환자가 병실을 비롯한 환자공간에서 진료공간으로 이동할 경우 외출과 같은 느낌을 갖게 하여 기분전환을 할 수 있는 공간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3) 직원 및 지원공간
      직원 및 지원공간은 환자의 간호를 지원하는 간호공간과 직원들의 업무와 휴식 위한 사무공간과 각종 서비스를 위한 공간으로 구분되며 독립형이 병동형 보다 인력구성 측면에서 더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간호공간은 환자의 간호를 지원하는 공간으로, 간호사의 작업 및 동선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므로 간호대기실과 간호관계제실의 상호관련도를 고려한 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사무공간은 말기환자 간호에 따른 심리적, 정신적 부담감 및 스트레스가 심한 직원들의 휴식공간을 고려한다.

      4) 공용공간
      환자와 그 가족들을 위한 공간으로 환자를 위한 데이룸, 담화실, 알코브가 가족을 위한 가족실, 간이주방, 유아놀이방, 화장실이 있고 기도실, 예배실, 식당, 외부공간은 환자와 가족 모두를 위한 공간이다. 병동형 보다 가족의 체제 기간이 긴 독립형 시설에서 세분화된 구성이 요구된다.

      6. 유형별 공간계획의 중점은 다음과 같다.

      1) 독립형은 도심에서 벗어난 전원지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독립형과 별동형은 수평형으로 건축된 건물로서 지면과 접하는 특성을 고려한 산책로, 텃밭 등을 설치하여 자연과의 접촉을 높여 환자들의 치유에 외부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중정형, 방사형 등으로 계획하여야 한다.
      팀의 인적구성을 고려하여 각 구성원의 임무 수행과 거주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각 부문별 배치는 환자공간을 중심으로 진료공간, 직원, 공용공간을 분리하여 별동으로 배치 함으로써 환자들의 거주공간을 방문자와 직원들로부터 분리하여 각각의 독립성과 영역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병동형은 도심지역의 수직형 건물내에 위치한 시설로서 병동부의 형태는 판상형의 중복도형이다. 기존 병원시설 병동부층의 중간보다는 최하층이나 최상층에 위치하여 환자의 독립성을 보장하고 옥상을 활용한 전용 외부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하겠다. 외부인의 출입 통제를 위해 직원공간을 입구 쪽에 배치하고 환자공간과 공용 공간을 연계성 있게 조직하여 환자와 가족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말기환자의 특성과 호스피스 시설의 유형별 특징, 건축 계획시 주안점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앞으로 말기환자의 치유 환경을 고려한 세부적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