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역사회 중심의 휴먼서비스 전달체계의 협력적 거버넌스와 네트워크 관리자의 역할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이다.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휴먼서비스 전달체계에 있어 네트워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217541
2015
Korean
학술저널
77-100(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사회 중심의 휴먼서비스 전달체계의 협력적 거버넌스와 네트워크 관리자의 역할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이다.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휴먼서비스 전달체계에 있어 네트워크...
본 연구는 지역사회 중심의 휴먼서비스 전달체계의 협력적 거버넌스와 네트워크 관리자의 역할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이다.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휴먼서비스 전달체계에 있어 네트워크가 중요 기제로 작동하고 있으며, 참여자들 간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조정하고 네트워크에서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네트워크 관리와 네트워크 관리자가 필요하다. 네트워크 관리주체를 정부에 국한 짓는 한계에서 벗어나 정부 외의 다른 주체가 진행하는 네트워크 관리 활동을 분석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에 수원시 휴먼서비스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설계 및 활동관리,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정부가 아닌 네트워크 관리조직이 운영하는 네트워크도 효과적일 수 있다. 둘째, 네트워크 형성 단계에 지방자치단체장의 의지가 크게 작용한다. 셋째, 네트워크의 견고함을 위한 디지털 연계가 중요하다. 넷째, 네트워크 관리자의 헌신 및 배려는 네트워크의 견고함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더불어 휴먼서비스센터가 관리하는 수원시 복지네트워크의 참여자인 공공·민간부문의 서비스 종사자에게 네트워크의 만족도 및 효과체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참여자 관점에서의 네트워크 효과성을 판단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정부 외의 네트워크 관리자의 가능성과 역할 및 기능,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필수요소 및 개선방안에 대한 함의를 제시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