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배움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문학적 논고(論考) = The Study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of the Erudition Based on the Human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674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invigoration of the educational capital for developing practical theori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o actualize in lifelong learning society. In the 21st century, multicultural education will be the key 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invigoration of the educational capital for developing practical theori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o actualize in lifelong learning society. In the 21st century, multicultural education will be the key to achieve the successful edutopia. But until now, the research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as not enough to analysis of the practical researches for the future. The erudition was the instinct of human-being. Therefore, the erudition was the power of reformatting personal and social lives. To achieve the eru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invigoration of educational capital that inter-related among the human capital, social capital, and educational capital. To invigorate the educational capital, we must focus on the multicultural person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hunan capitals. In addition to this, we need to integrate among spaces, political relationships, and program development for the invigoration of educational capltal. These should be the 'Expects' to promise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을 인문학에 기반하여 배움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새롭게 정립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21세기 포스트모던의 지식기반사회에서 다문화교육은 한국교육의 성패를 좌우...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을 인문학에 기반하여 배움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새롭게 정립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21세기 포스트모던의 지식기반사회에서 다문화교육은 한국교육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열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이루어진 다문화교육은 미래지향적이지 못하다. 이를 위하여 인문학과 그에 기반한 배움의 의미와 가치가 도움을 준다. 배우는 것은 인간의 본능이다. 그러기에 배운다는 것은 개인의 삶과 공동체를 개조하는 힘이다. 인간의 배움이 제대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인간자본과 사회자본, 그리고 교육자본이 상호관여적으로 연계된 교육자본화의 노력이 필요하다. 다문화교육을 교육자본화하기 위해서는 이 나라에 머물고 있는 다문화인들을 이 사회의 중요한 인력자원으로 간주하는 관점부터 필요하다. 그래서 그들을 위한 공간, 관계 활동의 교육자본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이 사회의 발전을 약속하는 기대의 힘으로 작용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준상, "호모 에루디티오" 학지사 1999

      2 윤진, "현대사화와 다문화주의" 한울 2002

      3 설동훈, "한국의 다문화사회 정책의 문제점과 대안" 아카넷 (8) : 2010

      4 한준상, "학습학" 학지사 2001

      5 최항석, "평생교육으로서의 다문화주의" 18 : 9-32, 2010

      6 최항석, "배움의 향연" 공동체 2012

      7 최항석, "배움의 쟁점과 경향" 공동체 2012

      8 이승환, "동양의 학문과 인문정신" 아카넷 (2) : 2007

      9 김광억, "다민족 국가와 다문화사회" 아카넷 (8) : 2010

      10 박상섭, "다문화의 시대적 추이와 새로운 민족개념의 가능성과 당위성" 아카넷 (8) : 2010

      1 한준상, "호모 에루디티오" 학지사 1999

      2 윤진, "현대사화와 다문화주의" 한울 2002

      3 설동훈, "한국의 다문화사회 정책의 문제점과 대안" 아카넷 (8) : 2010

      4 한준상, "학습학" 학지사 2001

      5 최항석, "평생교육으로서의 다문화주의" 18 : 9-32, 2010

      6 최항석, "배움의 향연" 공동체 2012

      7 최항석, "배움의 쟁점과 경향" 공동체 2012

      8 이승환, "동양의 학문과 인문정신" 아카넷 (2) : 2007

      9 김광억, "다민족 국가와 다문화사회" 아카넷 (8) : 2010

      10 박상섭, "다문화의 시대적 추이와 새로운 민족개념의 가능성과 당위성" 아카넷 (8) : 2010

      11 김성곤, "다문화시대의 한국인" 열음사 2002

      12 최충옥,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9

      13 서종남, "다문화교육과 한국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생활지도" 2008

      14 윤희, "다문화교육 입문" 서울대학교 중앙다문화교육센터 2008

      15 김성길, "다문화 배움논쟁" 공동체 2015

      16 한준상, "교육자본론" 학지사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6 0.706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