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암지역에서 마한 소국의 형성 시기와 그 과정 = The formation of Mahan statelets in Yeong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502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영암지역은 마한 소국 중 하나인 일난국이 있었던 것으로 비정되며, 백제 시기에는 월나군, 고미현, 아로곡현, 반나부리현 등이 설치되어서 마한 소국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기에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영암지역에서 마한 소국의 형성과정은 인구의 집중과 강제력을 수반한 수장권의 형성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영암지역은 기원전 8~4세기경의 청동기시대 중기부터 인구가 집중되기 시작하는데, 고고학적으로는 송국리형 주거지와 1,399기에 이르는 지석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영암지역으로 유입된 새로운 인구집단은 지석묘의 형식과 분포상태로 보아 탐진강유역(장흥군 유치면 일대)에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위계가 형성된 군장사회의 가장 큰 특징은 강제력을 수반한 수장권이 형성된 점이다. 전쟁인류학적으로 보면, 평등한 부족사회와 위계가 형성된 군장사회는 전쟁 양상이 서로 달라서 전쟁에 사용되는 무기조합도 다르다. 청동기시대 중기까지 영암지역의 무기조합은 원격전용 투사무기(석촉)+근접전용 단병충격무기(석검)여서 부족사회의 모습을 보이지만, 초기철기시대의 세형동검문화는 원격전용 투사무기(석촉)+근접전용 단병충격무기(세형동검)+근접전용 장병충격무기(동모·동과)여서 군장사회의 특징을 갖추고 있다.
      이로 보아 영암지역은 초기철기시대에 이르러 청동기시대 중기부터 집중되기 시작한 인구를 바탕으로 강제력을 수반한 수장권이 형성되면서 군장사회로 진입한 것으로 생각된다. 마한 소국은 이러한 군장사회의 발전과정을 역사적으로 기록한 것으로 이해된다.
      번역하기

      영암지역은 마한 소국 중 하나인 일난국이 있었던 것으로 비정되며, 백제 시기에는 월나군, 고미현, 아로곡현, 반나부리현 등이 설치되어서 마한 소국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기에 좋은 조건을...

      영암지역은 마한 소국 중 하나인 일난국이 있었던 것으로 비정되며, 백제 시기에는 월나군, 고미현, 아로곡현, 반나부리현 등이 설치되어서 마한 소국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기에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영암지역에서 마한 소국의 형성과정은 인구의 집중과 강제력을 수반한 수장권의 형성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영암지역은 기원전 8~4세기경의 청동기시대 중기부터 인구가 집중되기 시작하는데, 고고학적으로는 송국리형 주거지와 1,399기에 이르는 지석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영암지역으로 유입된 새로운 인구집단은 지석묘의 형식과 분포상태로 보아 탐진강유역(장흥군 유치면 일대)에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위계가 형성된 군장사회의 가장 큰 특징은 강제력을 수반한 수장권이 형성된 점이다. 전쟁인류학적으로 보면, 평등한 부족사회와 위계가 형성된 군장사회는 전쟁 양상이 서로 달라서 전쟁에 사용되는 무기조합도 다르다. 청동기시대 중기까지 영암지역의 무기조합은 원격전용 투사무기(석촉)+근접전용 단병충격무기(석검)여서 부족사회의 모습을 보이지만, 초기철기시대의 세형동검문화는 원격전용 투사무기(석촉)+근접전용 단병충격무기(세형동검)+근접전용 장병충격무기(동모·동과)여서 군장사회의 특징을 갖추고 있다.
      이로 보아 영암지역은 초기철기시대에 이르러 청동기시대 중기부터 집중되기 시작한 인구를 바탕으로 강제력을 수반한 수장권이 형성되면서 군장사회로 진입한 것으로 생각된다. 마한 소국은 이러한 군장사회의 발전과정을 역사적으로 기록한 것으로 이해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Yeongam is a favorable location at which the formation of Mahan statelets can be studied. Yeongam witnessed a period of population aggregation in the middle of bronze age from ca. 8th to 4th centuries BC, as indicated by the appearance of Songguk-ri type settlements and 1,399 dolmens. These dolmens in Yeongam and the surrounding area suggest that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new population influx was from the Tam-jin River basin (Yuchi-myeon region).
      From a war anthropological point of view, an egalitarian tribal society and a hierarchical chiefdom society where coercive power in infested in their leaders have different weaponry assemblages due to their divergent warring patterns. Yeongam in the middle bronze age appeared to be an egalitarian tribal society since the weaponry of this period consisted of ranged projectile weapons (such as arrowheads, and melee hilt weapons (such as stone daggers). On the contrary, chiefdom society aspects indicated by a different weaponry assemblage that consisted of ranged projectile weapons, melee hilt weapons, and melee pole weapons (such as bronze spear and bronze dagger-axe) are observed in the slender bronze age dagger culture during the early iron age at Yeongam.
      Judging by the changes in weaponry assemblages, it is highly likely that Yeongam began to become a chiefdom society as coercive power emerged, which was given rise by the growth of the population since the middle bronze age. The Mahan statelets is understood to have historically recorded this development.
      번역하기

      Yeongam is a favorable location at which the formation of Mahan statelets can be studied. Yeongam witnessed a period of population aggregation in the middle of bronze age from ca. 8th to 4th centuries BC, as indicated by the appearance of Songguk-ri t...

      Yeongam is a favorable location at which the formation of Mahan statelets can be studied. Yeongam witnessed a period of population aggregation in the middle of bronze age from ca. 8th to 4th centuries BC, as indicated by the appearance of Songguk-ri type settlements and 1,399 dolmens. These dolmens in Yeongam and the surrounding area suggest that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new population influx was from the Tam-jin River basin (Yuchi-myeon region).
      From a war anthropological point of view, an egalitarian tribal society and a hierarchical chiefdom society where coercive power in infested in their leaders have different weaponry assemblages due to their divergent warring patterns. Yeongam in the middle bronze age appeared to be an egalitarian tribal society since the weaponry of this period consisted of ranged projectile weapons (such as arrowheads, and melee hilt weapons (such as stone daggers). On the contrary, chiefdom society aspects indicated by a different weaponry assemblage that consisted of ranged projectile weapons, melee hilt weapons, and melee pole weapons (such as bronze spear and bronze dagger-axe) are observed in the slender bronze age dagger culture during the early iron age at Yeongam.
      Judging by the changes in weaponry assemblages, it is highly likely that Yeongam began to become a chiefdom society as coercive power emerged, which was given rise by the growth of the population since the middle bronze age. The Mahan statelets is understood to have historically recorded this develop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朴淳發, "遼寧 粘土帶土器文化의 韓半島 定着 過程" (創刊) : 37-63, 2004

      2 김승근, "靈巖 龍山里 龍山支石墓 나群" 東北亞支石墓硏究所·靈巖郡 2008

      3 崔盛洛, "靈巖 長川里 住居址 Ⅱ" 木浦大學博物館·全羅南道·靈巖郡 1986

      4 崔盛洛, "靈巖 長川里 住居址" 木浦大學博物館·全羅南道·靈巖郡 1986

      5 이영문, "靈巖 西湖里 小西湖 가群 支石墓" 東北亞支石墓硏究所·靈巖郡 2008

      6 李榮文, "靈巖 望山里·彩枝里 支石墓" 木浦大學校博物館·靈巖郡 1996

      7 東北亞支石墓硏究所, "靈巖 會門里 會村支石墓 나群" 2016

      8 李榮文, "靈巖 南海神祠址" 목포대학교 박물관·영암군 2000

      9 金元龍, "靈岩郡 月松里의 石器文化 -半月形石刀를 중심으로-" 24 : 131-148, 1963

      10 金元龍, "靈岩出土의 銅矛·銅製劍把頭飾" 1 (1): 34-35, 1960

      1 朴淳發, "遼寧 粘土帶土器文化의 韓半島 定着 過程" (創刊) : 37-63, 2004

      2 김승근, "靈巖 龍山里 龍山支石墓 나群" 東北亞支石墓硏究所·靈巖郡 2008

      3 崔盛洛, "靈巖 長川里 住居址 Ⅱ" 木浦大學博物館·全羅南道·靈巖郡 1986

      4 崔盛洛, "靈巖 長川里 住居址" 木浦大學博物館·全羅南道·靈巖郡 1986

      5 이영문, "靈巖 西湖里 小西湖 가群 支石墓" 東北亞支石墓硏究所·靈巖郡 2008

      6 李榮文, "靈巖 望山里·彩枝里 支石墓" 木浦大學校博物館·靈巖郡 1996

      7 東北亞支石墓硏究所, "靈巖 會門里 會村支石墓 나群" 2016

      8 李榮文, "靈巖 南海神祠址" 목포대학교 박물관·영암군 2000

      9 金元龍, "靈岩郡 月松里의 石器文化 -半月形石刀를 중심으로-" 24 : 131-148, 1963

      10 金元龍, "靈岩出土의 銅矛·銅製劍把頭飾" 1 (1): 34-35, 1960

      11 崔盛洛, "靈岩 山湖里·麗川 上巖洞 고인돌" 木浦大學校博物館·麗川市·靈岩郡 1993

      12 이영문, "靈岩 奄吉里 支石墓群" 동북아지석묘연구소 2013

      13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거푸집과 청동기" 2011

      14 박희현, "한국 고인돌 문화에 대한 고찰 –상한연대를 중심으로-" 46 : 1-24, 1984

      15 金壯錫, "충청지역 송국리유형 형성과정" 한국고고학회 51 : 33-56, 2003

      16 윤다정, "초기철기시대 남한지역 흑색마연토기의 전개과정" 호남고고학회 56 : 120-149, 2017

      17 이종철, "청동기시대 송국리형문화의 전개와 취락 체계" 진인진 2016

      18 조진선, "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무기조합과 전쟁유형·사회유형" 한국고고학회 (115) : 81-109, 2020

      19 조진선, "전 영암용범의 연대와 출토지" 호남고고학회 25 : 45-73, 2007

      20 朴淳發, "우리나라 初期鐵器文化의 展開過程에 대한 약간의 考察" 3 : 37-62, 1993

      21 이영문, "영암의 고인돌" 목포대학교박물관·영암군 2003

      22 영해문화유산연구원, "영암 청룡리 연정지석묘 다군" 2012

      23 영해문화유산연구원, "영암 청룡리 연정지석묘 다군" 2012

      24 영암군, "영암 선황리 당리 지석묘 나군 정밀발굴조사 약보고서(유인물)" 2020

      25 전라남도, "영암 서호리 소서호 가군 지석묘Ⅱ" 2020

      26 최성락, "영암 금계리 유적" 목포대학교박물관·영암군 2004

      27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영산강유역 지석묘Ⅱ 나주·영암" 2016

      28 성춘택, "수렵채집민의 이동성과 한반도 남부의 플라이스토세말~홀로세초문화변동의 이해" 한국고고학회 (72) : 4-35, 2009

      29 김장석, "송국리단계 저장시설의 사회경제적 의미" 한국고고학회 (67) : 4-39, 2008

      30 박찬규, "문헌자료로 본 전남지역 馬韓小國의 위치" 백제학회 (9) : 22-42, 2013

      31 조진선, "마한으로의 출발, 청동기-초기철기시대 영암지역의 사회·정치 변동" 85-114, 2021

      32 송아름, "남한지역 마제석검 형태 변이의 시·공간적 분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33 金貞愛, "나주 운곡동유적Ⅰ -지석묘·기와가마-" 羅州市·馬韓文化硏究院 2008

      34 박대재, "국가형성기의 복합사회와 초기국가" 한국고대학회 (38) : 227-282, 2013

      35 김승옥, "계층 사회와 비배자의 출현" 사회평론 61-139, 2007

      36 한국 토양조사 사업기구, "개략 토양도 –전라남도-"

      37 盧重國, "馬韓의 成立과 變遷" 10 : 23-47, 1987

      38 林永珍, "馬韓의 形成과 變遷에 대한 考古學的 考察" 10 : 115-117, 1995

      39 千寬宇, "馬韓諸國의 位置 試論" 42 : 199-239, 1979

      40 金載元, "韓國支石墓硏究" 國立博物館 1967

      41 李健茂, "韓國式 銅劍文化의 性格 - 成立背景에 대하여 -" 文化財硏究所 139-156, 1994

      42 李丙燾,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76

      43 安在晧, "韓國 農耕社會의 成立" 43 : 41-66, 2000

      44 李榮文, "韓國 支石墓 年代에 대한 檢討 -남한지역의 청동기시대 연대와 관련하여-" 65 : 49-69, 2000

      45 이영문, "韓國 支石墓 社會 硏究" 學硏文化社 355-357, 2002

      46 李南奭, "靑銅器時代 韓半島 社會發展段階 問題 -무덤변천을 통해 본 남한지역사회발전-" 16 : 71-113, 1985

      47 崔盛洛, "靈巖郡의 文化遺蹟" 國立木浦大學校博物館·全羅南道·靈岩郡 35-131, 1986

      48 조진선, "耽津江流域圈 支石墓의 形式과 變遷" 호남고고학회 30 : 5-36, 2008

      49 盧爀眞, "粘土帶土器文化의 社會性格에 대한 一考察 -住居遺蹟의 特色을 중심으로-" 45 : 101-123, 2001

      50 朴淳發, "漢江流域의 基層文化와 百濟의 成長過程" 36 : 7-44, 1997

      51 安在晧, "松菊里類型의 檢討" 11 : 1-34, 1992

      52 이형원, "松菊里類型과 水石里類型의接觸樣相" 호서고고학회 (12집) : 15-34, 2005

      53 이홍종, "松菊里文化의 時空的展開" 호서고고학회 (6집) : 77-104, 2002

      54 崔夢龍, "月出山地區의 先史遺蹟 -榮山江流域의 考古學的 調査硏究(6)-" 7 : 65-78, 1975

      55 全羅南道, "文化遺蹟分布地圖 –靈巖郡-" 1999

      56 李範俊, "政治學" 博英社 37-48, 1986

      57 趙鎭先, "支石墓의 立地와 長軸方向 選定에 대한 考察" 6 : 181-210, 1997

      58 이형원, "忠淸西海岸地域의 粘土帶土器文化 流入과 文化接變" 호서고고학회 (34) : 4-29, 2016

      59 조진선, "多鈕精文鏡의 型式變遷과 意味" 한국상고사학회 94 (94): 37-70, 2016

      60 千寬宇, "古朝鮮史·三韓史硏究" 一潮閣 1989

      61 임설희, "南韓地域 粘土帶土器의 登場과 擴散過程" 호남고고학회 34 : 5-42, 2010

      62 李榮文, "全南의 古代 墓制" 木浦大學校博物館·全羅南道 1996

      63 崔夢龍, "全南考古學地名票" 全南每日新聞社出版局 1975

      64 崔夢龍, "全南地方에서 새로이 發見된 先史遺物-榮山江流域의 考古學的 調査硏究(5)-" 全南大學校 湖南文化硏究所 7 : 141-162, 1975

      65 崔夢龍, "全南地方 支石墓社會와 階級의 發生" 39 : 1-14, 1981

      66 李賢惠, "三韓社會形成過程硏究" 一潮閣 1984

      67 林炳泰, "三佛金元龍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Ⅰ -考古學篇-" 一志社 121-140, 1987

      68 Kelly, R. C., "Warless Societies and the Origin of War"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69 Keeley, L. H., "War Before Civilization: The Myth of The Peaceful Savage"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70 Turney-High, H. H., "Primitive War: Its Practice and Concepts"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971

      71 Otterbein, K. F., "Feuding and Warfare: Selected Works of Keith F. Otterbein" Gordon and Breach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전남사학 -> 역사학연구 KCI등재
      2006-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전남사학회 -> 호남사학회
      영문명 : Chonnam Historical Association -> Honam Historical Associ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 1.18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