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터랙티브 인스톨레이션에 나타난 연대기적 정보의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Ways of Representing Chronological Information in Interactive Install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79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traditional static information design to digital based interactive information design, there have been various trials and efforts to find an appropriate interface which fits the characteristics of specific information and to present the information effectively. The ways of representing history as chronological information, which are applied to many new ways of interactive installation can enhance user's attention, participation and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and also deliver emotional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physical devices and digital contents by using visual and other senses simultaneously. However the following questions arise: how do we link these relations in a better way in terms of delivering information?; what is the best way for the audience to interact with information more easily and in a user-friendly manner using physical devices?; how can we offer sensory experiences to the audience without losing the quality of information? These questions are very important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interactive installation. This thesis focuses on the research of various visualization of chronological information which is classified by media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Also this shows the elements of interface and methods of interaction when connecting chronological information to interactive installation.
      번역하기

      From traditional static information design to digital based interactive information design, there have been various trials and efforts to find an appropriate interface which fits the characteristics of specific information and to present the informati...

      From traditional static information design to digital based interactive information design, there have been various trials and efforts to find an appropriate interface which fits the characteristics of specific information and to present the information effectively. The ways of representing history as chronological information, which are applied to many new ways of interactive installation can enhance user's attention, participation and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and also deliver emotional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physical devices and digital contents by using visual and other senses simultaneously. However the following questions arise: how do we link these relations in a better way in terms of delivering information?; what is the best way for the audience to interact with information more easily and in a user-friendly manner using physical devices?; how can we offer sensory experiences to the audience without losing the quality of information? These questions are very important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interactive installation. This thesis focuses on the research of various visualization of chronological information which is classified by media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Also this shows the elements of interface and methods of interaction when connecting chronological information to interactive install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통적 인쇄 방식의 정적인 인포메이션 디자인으로부터 인터랙티브 요소가 도입된 디지털 방식의 인포메이션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정보의 성격에 맞는, 그리고 그 정보를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찾는 시도와 노력들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그 중 새롭고 다양한 형태의 인터랙티브 인스톨레이션(Interactive Installation)에 도입된 역사적 정보 등을 다룬 연대기적 정보의 표현 방식은 피지컬 디바이스(Physical Device)와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를 연결하는 프로세스에서 시각 외에 다른 오감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과 참여도, 정보 이해도의 증진은 물론 감성적 경험(Emotional experience)까지 전달할 수 있다. 하지만, 정보의 전달 측면에서 어떻게 하면 이 연결 방식을 좀 더 효율적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을지, 사용자들이 정보를 좀 더 쉽게, 그리고 친근하게 인터랙션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지, 정보의 질을 잃지 않으면서 어떻게 감각적 경험(Sensory experience)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미디어별 연대기적인 정보의 다양한 시각화 방법의 사례분석에 중점을 두었고, 인터랙티브 인스톨레이션의 특징에 맞춰 연대기 정보의 접목 시 고려해야 될 인터페이스 요소, 인터랙션 방식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전통적 인쇄 방식의 정적인 인포메이션 디자인으로부터 인터랙티브 요소가 도입된 디지털 방식의 인포메이션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정보의 성격에 맞는, 그리고 그 정보를 효율적으로 표현...

      전통적 인쇄 방식의 정적인 인포메이션 디자인으로부터 인터랙티브 요소가 도입된 디지털 방식의 인포메이션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정보의 성격에 맞는, 그리고 그 정보를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찾는 시도와 노력들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그 중 새롭고 다양한 형태의 인터랙티브 인스톨레이션(Interactive Installation)에 도입된 역사적 정보 등을 다룬 연대기적 정보의 표현 방식은 피지컬 디바이스(Physical Device)와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를 연결하는 프로세스에서 시각 외에 다른 오감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과 참여도, 정보 이해도의 증진은 물론 감성적 경험(Emotional experience)까지 전달할 수 있다. 하지만, 정보의 전달 측면에서 어떻게 하면 이 연결 방식을 좀 더 효율적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을지, 사용자들이 정보를 좀 더 쉽게, 그리고 친근하게 인터랙션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지, 정보의 질을 잃지 않으면서 어떻게 감각적 경험(Sensory experience)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미디어별 연대기적인 정보의 다양한 시각화 방법의 사례분석에 중점을 두었고, 인터랙티브 인스톨레이션의 특징에 맞춰 연대기 정보의 접목 시 고려해야 될 인터페이스 요소, 인터랙션 방식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어사전 편찬회, "한국어 대사전" 삼성문화사 1986

      2 오병근, "정보디자인교과서" 안그라픽스 2008

      3 김승태, "시간정보 그래픽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국민대 2006

      4 "두산백과사전 온라인사전"

      5 Jenn Visocky O'Grady, "The Information Design Handbook" How 2008

      6 Colin War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rgan Kaufmann 2004

      7 Nathan Shedroff, "Information Interaction Design: A Unified Field Theory of Design"

      8 Lobert L. Harris, "Information Graph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9 Robert Jacobson, "Information Design" The MIT Press 1999

      10 GeonDong Kim, "History of Time Keeping Tools"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2007

      1 한국어사전 편찬회, "한국어 대사전" 삼성문화사 1986

      2 오병근, "정보디자인교과서" 안그라픽스 2008

      3 김승태, "시간정보 그래픽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국민대 2006

      4 "두산백과사전 온라인사전"

      5 Jenn Visocky O'Grady, "The Information Design Handbook" How 2008

      6 Colin War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rgan Kaufmann 2004

      7 Nathan Shedroff, "Information Interaction Design: A Unified Field Theory of Design"

      8 Lobert L. Harris, "Information Graph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9 Robert Jacobson, "Information Design" The MIT Press 1999

      10 GeonDong Kim, "History of Time Keeping Tools"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2007

      11 Donald A. Norman, "Emotional Design" Basic Books 2004

      12 Dan Saffer, "Designing for Interaction" AIGA Design Press 2006

      13 Edward Tufte, "Beautiful Evidence" Graphics Press LLC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