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린이 발달 특성에 의한 놀이 공간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layground Design Factors Related to Child’s Characteristic Develop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79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en it comes to child, play is the subject for amusement and it is helpful for various developments such as body, language, recognition and emotion. In other words, child can grow as a man of character through play experience.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child, the symbolic-play of recognition developmental process is a very important factor. Especially, we can know that the spatial condition, playground, becomes play material and it is identical to play program. In additio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symbolic-play and play material using type shows the tendency that it changes from actual thing to virtual thing, in other words, from use of realistic play material to use of unrealistic play material as age increases. Therefore,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playground design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development were 4 types of spatial expressions such as imitation, exaggeration, transformation and story structure. In order to express playground design factors, the playground type can be divided into material type imitation, scale, distortion, repetition, structure movement, sensual change and abstract type in detai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characteristic of symbolic-play space and its relation with playground design factors by selecting extracted 7 factors as frames for space analysis and analyzing how they appear in actual playground cases.
      번역하기

      When it comes to child, play is the subject for amusement and it is helpful for various developments such as body, language, recognition and emotion. In other words, child can grow as a man of character through play experience. In the developmental pr...

      When it comes to child, play is the subject for amusement and it is helpful for various developments such as body, language, recognition and emotion. In other words, child can grow as a man of character through play experience.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child, the symbolic-play of recognition developmental process is a very important factor. Especially, we can know that the spatial condition, playground, becomes play material and it is identical to play program. In additio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symbolic-play and play material using type shows the tendency that it changes from actual thing to virtual thing, in other words, from use of realistic play material to use of unrealistic play material as age increases. Therefore,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playground design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development were 4 types of spatial expressions such as imitation, exaggeration, transformation and story structure. In order to express playground design factors, the playground type can be divided into material type imitation, scale, distortion, repetition, structure movement, sensual change and abstract type in detai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characteristic of symbolic-play space and its relation with playground design factors by selecting extracted 7 factors as frames for space analysis and analyzing how they appear in actual playground ca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어린이에게 있어 놀이는 지극히 즐거운 행위인 동시에 신체, 언어, 인지, 정서 등 다양한 발달에 도움을 준다. 즉 어린이는 놀이 경험을 통해 하나의 인격체로 성장하는 것이다. 어린이의 발달 과정 중 인지 발달 과정에서의 상징놀이는 중요한 요소이며, 특히 창의적 사고와 학습의 주된 동력이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놀이공간이라는 공간적 조건 자체가 곧 놀잇감인 동시에 놀이 프로그램과 동일 시 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징놀이와 놀잇감 사용행태의 발달 과정은 실제에서 가상으로, 즉 사실적 놀잇감 사용에서 연령이 증가 할수록 비사실적 놀잇감의 사용 행태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어린이 발달 특성과 관련한 놀이 공간 디자인의 중요한 특성은 모방성, 과장성, 변형성, 이야기 구조의 4가지 공간 표현 언어로 도출 되었다. 특히 놀이 공간의 디자인 요소로 표현되기 위해 사물 형태 모방, 스케일, 왜곡, 반복, 구조적 이동, 감각변화, 추상적 형태로 세분화될 수 있다. 이렇게 추출된 7가지 요소를 공간 분석의 틀로 삼고, 실제 놀이 공간 사례들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상징놀이 공간의 특성과 놀이 공간 디자인 요소의 관계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어린이에게 있어 놀이는 지극히 즐거운 행위인 동시에 신체, 언어, 인지, 정서 등 다양한 발달에 도움을 준다. 즉 어린이는 놀이 경험을 통해 하나의 인격체로 성장하는 것이다. 어린이의 발...

      어린이에게 있어 놀이는 지극히 즐거운 행위인 동시에 신체, 언어, 인지, 정서 등 다양한 발달에 도움을 준다. 즉 어린이는 놀이 경험을 통해 하나의 인격체로 성장하는 것이다. 어린이의 발달 과정 중 인지 발달 과정에서의 상징놀이는 중요한 요소이며, 특히 창의적 사고와 학습의 주된 동력이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놀이공간이라는 공간적 조건 자체가 곧 놀잇감인 동시에 놀이 프로그램과 동일 시 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징놀이와 놀잇감 사용행태의 발달 과정은 실제에서 가상으로, 즉 사실적 놀잇감 사용에서 연령이 증가 할수록 비사실적 놀잇감의 사용 행태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어린이 발달 특성과 관련한 놀이 공간 디자인의 중요한 특성은 모방성, 과장성, 변형성, 이야기 구조의 4가지 공간 표현 언어로 도출 되었다. 특히 놀이 공간의 디자인 요소로 표현되기 위해 사물 형태 모방, 스케일, 왜곡, 반복, 구조적 이동, 감각변화, 추상적 형태로 세분화될 수 있다. 이렇게 추출된 7가지 요소를 공간 분석의 틀로 삼고, 실제 놀이 공간 사례들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상징놀이 공간의 특성과 놀이 공간 디자인 요소의 관계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Johan Huizinga, "호모 루덴스" 까치 2005

      2 Herbert P. Ginsburg,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학지사 2008

      3 유연화, "유아의 상징놀이에 관한 이론적 고찰" (4) : 2002

      4 조은진, "유아들의 가상놀이 촉진을 위한 놀잇감 사용" 21 (21): 2000

      5 하정연, "유아놀이지도" 공동체 2008

      6 조남숙, "영유아의 상징놀이에 관한 관찰 연구" 7 : 2003

      7 김만진, "아파트 외부공간의 어린이 놀이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2004

      8 김규현, "아파트 단지 내 어린이 놀이터 구조물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2008

      9 조은진, "아동의 상징놀이에 관한 이론적 고찰" 18 (18): 1997

      10 조은진, "상징놀이의 기능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분석:학습 및 학업 성취에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8 (8): 89-108, 2004

      1 Johan Huizinga, "호모 루덴스" 까치 2005

      2 Herbert P. Ginsburg,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학지사 2008

      3 유연화, "유아의 상징놀이에 관한 이론적 고찰" (4) : 2002

      4 조은진, "유아들의 가상놀이 촉진을 위한 놀잇감 사용" 21 (21): 2000

      5 하정연, "유아놀이지도" 공동체 2008

      6 조남숙, "영유아의 상징놀이에 관한 관찰 연구" 7 : 2003

      7 김만진, "아파트 외부공간의 어린이 놀이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2004

      8 김규현, "아파트 단지 내 어린이 놀이터 구조물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2008

      9 조은진, "아동의 상징놀이에 관한 이론적 고찰" 18 (18): 1997

      10 조은진, "상징놀이의 기능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분석:학습 및 학업 성취에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8 (8): 89-108, 2004

      11 Branscombe, "구성주의 유아교육과정" 시그마프레스 2005

      12 전배호, "과장적 요소가 공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01

      13 공수경, "감각체험이 도입된 놀이기구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4

      14 "http://www.unitedplay.com/"

      15 "http://www.playlsi.com/Pages/Home.aspx"

      16 "http://www.eibe.net"

      17 Alamo, Marta Rojals Del, "Design for Fun : playgrounds" Watson-Guptill Pubns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