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세기 후반 당파 정치와 당파 기록물의 이중성 ― 승정원일기(초)와 조보(초)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The Partisan Politics and Duality of Partisan Records in the late 19th century ― Focused on the Case of Seungjeongwon's Diary-draft and Chobo-draf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243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19세기 후반 정치 운영의 실상을 보여주는 승정원의 비공식 기록물을 찾아내어 이 시기의 관직 임용에 당파적 안배가 여전히 작용한 사실을 밝힌다. 이와 함께 공식적으로는 이 같...

      이 연구는 19세기 후반 정치 운영의 실상을 보여주는 승정원의 비공식 기록물을 찾아내어 이 시기의 관직 임용에 당파적 안배가 여전히 작용한 사실을 밝힌다. 이와 함께 공식적으로는 이 같은 사실을 드러내지 않으려했던 이 시기의 정치 행위와 문화를 주목한다. 이를 위하여 이러한 사실을 담고 있는 『승정원일기』의 초고와 『조보』의 초고와 같은 비공식적 기록물을 공식적 기록물과 비교하고 그 차이와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분석 작업 자체에 중점을 두었는데, 이것은 이 시기 정치사 및 정치문화 연구에서 텍스트 활용 및 비판과 같은 기초 연구가 충실하지 못하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관직 임용에서 당파적 안배가 중요했음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으로 배포하는 기록물에는 이것을 일체 드러내지 않은 것은 이 시기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특히 이것이 이 시기의 『실록』과 『승정원일기』의 인사 기사에 당파를 일체 언급하지 않는 것과 같은 맥락에 놓여 있는 것은 흥미롭다.
      선행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일련의 비공식 기록물은 19세기 후반 관직 안배에서 출신 가문만이 아니라 소속 당파도 뚜렷하게 인지하는 정치적 역학 관계에 주목해야 함을 알려준다. 이와 함께 이러한 사실을 공식적으로는 철저하게 은폐하는 경향도 주목되는데, 이러한 정치 문화는 역사 연구에서 중요한 논제임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관심을 모으지 못했다. 이렇듯 이 연구는 기록물 생산에서 드러난 이중성을 포착함으로써 추후 19세기 후반 정치사와 정치 문화를 새롭게 논의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und unofficial records of Seungjeongwon, which show the reality of political operations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revealed the partisan arrangement still played a major role in the office appointment in this period. Also focuses on th...

      This study found unofficial records of Seungjeongwon, which show the reality of political operations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revealed the partisan arrangement still played a major role in the office appointment in this period. Also focuses on the politics and politic culture of this period which it did not officially reveal. To do this unofficial records such as the draft of Secretary's Diary and the draft of Chobo which contain this fact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public records.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work, this is because studies on text use and criticism in political and political culture in this period are not faithful. It is a prominent feature of this period that it is not revealed in official records, although partisan appointment was important in official appointment. This is similar to not mentioning a single faction in Silok and Seungjeongwon Diary's personnel articles at this time.
      The unofficial records which was not noted in the preceding study, indicates that not only the family but also political partisa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late 19th century government administration. This political culture has not received any attention even though it was an important thesis in history research. This study will discuss political history and political culture of the late 19th by revealing the duality of records produc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영옥, "陵參奉職 수행을 통해 본 齋 黃胤錫의 仕宦의식" 동양한문학회 24 (24): 49-92, 2007

      2 김효경, "조선후기 능 참봉에 관한 연구-???齋亂藁?? 莊陵參奉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고문서학회 20 : 213-236, 2002

      3 김영진, "조선후기 黨派譜 硏究-『北譜』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원 (44) : 299-338, 2011

      4 최동원, "조선중기(선조~현종) 三公·六卿職의 인사운영" 한국학연구소 31 : 243-272, 2009

      5 정만조, "조선중기 유학의 계보와 붕당정치의 전개(1)" 조선시대사학회 17 : 2001

      6 朴正圭, "조선왕조시대의 전근대적 신문에 관한 연구 : 朝報와 그 유사물의 특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2

      7 이근호, "조선시대 吏曹銓郞의 인사 실태" 한국학연구소 31 : 179-207, 2009

      8 김영주, "조선시대 민간인쇄 조보(朝報)의 언론사적 의의" 한국언론정보학회 85 (85): 7-29, 2017

      9 명경일, "조선 후기 事變假注書 日記의 사료적 가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9) : 103-133, 2016

      10 송웅섭, "조선 전기 청요직(淸要職)의 위상과 인사이동 양상" 한국사상사학회 (55) : 1-48, 2017

      1 유영옥, "陵參奉職 수행을 통해 본 齋 黃胤錫의 仕宦의식" 동양한문학회 24 (24): 49-92, 2007

      2 김효경, "조선후기 능 참봉에 관한 연구-???齋亂藁?? 莊陵參奉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고문서학회 20 : 213-236, 2002

      3 김영진, "조선후기 黨派譜 硏究-『北譜』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원 (44) : 299-338, 2011

      4 최동원, "조선중기(선조~현종) 三公·六卿職의 인사운영" 한국학연구소 31 : 243-272, 2009

      5 정만조, "조선중기 유학의 계보와 붕당정치의 전개(1)" 조선시대사학회 17 : 2001

      6 朴正圭, "조선왕조시대의 전근대적 신문에 관한 연구 : 朝報와 그 유사물의 특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2

      7 이근호, "조선시대 吏曹銓郞의 인사 실태" 한국학연구소 31 : 179-207, 2009

      8 김영주, "조선시대 민간인쇄 조보(朝報)의 언론사적 의의" 한국언론정보학회 85 (85): 7-29, 2017

      9 명경일, "조선 후기 事變假注書 日記의 사료적 가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9) : 103-133, 2016

      10 송웅섭, "조선 전기 청요직(淸要職)의 위상과 인사이동 양상" 한국사상사학회 (55) : 1-48, 2017

      11 김경수, "조보의 발행과 그 성격" 한국사학회 58・59 : 1999

      12 박정규, "조보의 기원에 대한 연구" 서울대 언론정보연구소 15 : 1978

      13 김영주, "조보(朝報)에 대한 몇 가지 쟁점 - 필사조보의 기원, 명칭, 폐간시기, 기문기사 성격과 민간인쇄조보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43 (43): 247-281, 2008

      14 명경일, "정조대 傳敎軸을 통해 본 『承政院日記』의 문서 謄錄 체계" 한국고문서학회 44 : 77-116, 2014

      15 Palais James Bernard, "전통한국의 정치와 정책" 신원문화사 1993

      16 "장서각디지털아카이브"

      17 차배근, "우리나라 조보에 대한 신문학적 분석고" 서울대 언론정보연구소 17 : 1980

      18 황현, "역주 매천야록" 문학과지성사 2005

      19 19세기정치사연구반, "역사와현실 1" 한국역사연구회 1989

      20 막스 베버, "소명으로서의 정치" 후마니타스 2011

      21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2 이태진, "붕당정치 성립의 역사적 배경" 단국대 부설 동양학연구소 18 : 1988

      23 성대경, "대원군초기집정기의 권력구조"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15 : 1982

      24 안외순, "대원군집정기 인사정책과 지배세력의 성격" 동양고전학회 1 : 1993

      25 김병우, "대원군집권기 정치세력의 성격" 계명사학회 2 : 1991

      26 안외순, "대원군의 사회적 기반과 지지세력" 한서대 동양고전연구소 6 : 2000

      27 연갑수, "대원군 집정의 성격과 권력구조의 변화" 서울대 인문대학 국사학과 27 : 1992

      28 "국사편찬위원회"

      29 "고려대학교 해외한국학자료센터"

      30 막스 베버, "경제와 사회" 나남 2009

      31 Courant Maurice, "韓國書誌" 일조각 1994

      32 최준, "韓國新聞史" 일조각 1960

      33 "蔭案"

      34 "潛譜"

      35 민건호, "海隱日錄 Ⅰ" 부산근대역사관 2008

      36 "武譜"

      37 "朝鮮王朝實錄"

      38 김돈, "朝鮮後期 黨爭史硏究의 현황과 「국사」敎科書의 敍述方式" 역사교육연구회 39 : 1986

      39 조광현, "朝鮮後期 外官의 褒貶制度와 褒貶文書 연구" 한국고문서학회 49 : 69-105, 2016

      40 한충희, "朝鮮初期 議政府堂上官硏究" 대구사학회 87 : 1-32, 2007

      41 "日省錄"

      42 "文科榜目"

      43 정만조, "承政院日記의 作成과 史料的 價値" 한국학연구소 24 : 95-116, 2002

      44 "承政院日記"

      45 김병우, "大院君의 統治體制 確立과 統治政策" 대구사학회 80 : 37-70, 2005

      46 金炳佑, "大院君의 政治的 地位와 國政運營" 대구사학회 70 : 33-70, 2003

      47 金炳佑, "大院君의 執權過程과 權力行使" 부산경남사학회 (60) : 135-176, 2006

      48 "古文書 Ⅰ・Ⅱ"

      49 "南譜"

      50 "北譜"

      51 조계영, "『승정원일기』의 修納과 관리에 대한 고찰"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9) : 43-74, 2016

      52 한철호, "『매천야록』에 나타난 황현의 역사인식" 한국근현대사학회 (55) : 7-33, 2010

      53 유영옥, "『頤齋亂藁』를 통해 본 '朝報'의 유통과 함의" 동양한문학회 33 (33): 237-266, 2011

      54 신병주, "『承政院日記』의 자료적 가치에 관한 연구"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4 : 2001

      55 김경숙, "18세기 陵參奉 金斗璧의 관직생활과 왕릉수호"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8 : 2005

      56 강성득, "17~18世紀 承政院 注書職의 人事實態" 한국학연구소 31 : 273-305,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8-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DAEDONG MUNHWA YEON'GU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6-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Institute of Eastern Studies ->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5 1.776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