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산업과 우리나라 수출함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ulture Industry and Korea"s Exports Fun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844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화콘텐츠산업의 해외 진출 확대는 다른 산업들의 수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통상에서도 문화서비스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문화콘텐츠산업의 수출에 ...

      문화콘텐츠산업의 해외 진출 확대는 다른 산업들의 수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통상에서도 문화서비스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문화콘텐츠산업의 수출에 따른 한류의 확산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과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상승하고 한국산 제품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여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문화산업이 우리나라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우리나라 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적 노력은 하나의 산업의 발전을 도모한다는 단순한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수출 증대를 통한 국가 경제의 지속적 성장과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검토되고 시행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의 수출행태함수 추정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율이 우리나라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환율의 안정적 유지를 위한 거시경제 정책이 매우 중요하지만, 우리나라 수출의 지속적 확대를 위해서는 국가간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환율 정책보다는 문화산업을 글로벌 차원으로 발전시키는 정책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류가 글로벌 무대로 확산됨으로써 국가 수출 증대에 더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 문화산업의 업그레이드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rough the global diffusion of Korean Wave(Hallyu), the culture industry is contributing to Korea’s export and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analyzes empirically the effect of culture industry on the Korea’s ...

      Through the global diffusion of Korean Wave(Hallyu), the culture industry is contributing to Korea’s export and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analyzes empirically the effect of culture industry on the Korea’s export. According to the export behavior function discussed in this paper, in addition to the culture industry, exchange rates obviously have significant impact on Korea’s export. Therefore macro-economic policy efforts to stabilize exchange rate is important to support Korean firms’ export activities. However, exchange stability policy measures such as government intervention to the foreign exchange market often cause unnecessary conflict among trading nations, whichmay bring adverse effect to the national economy as a whole. This situation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development of the culture industry is more efficient way to enhance Korea’s export capability than exchange rate related macro-economic policies. We may conclude that,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economy, it is very important for Korea to continue the diffusion of KoreanWave(Hallyu) throughout the world and to build globally competitive culture industry through appropriate policymeasur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문화콘텐츠산업의 해외 진출 확대는 다른 산업들의 수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통상에서도 문화서비스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문화콘텐츠산업의 수출에 ...

      문화콘텐츠산업의 해외 진출 확대는 다른 산업들의 수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통상에서도 문화서비스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문화콘텐츠산업의 수출에 따른 한류의 확산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과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상승하고 한국산 제품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여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문화산업이 우리나라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우리나라 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적 노력은 하나의 산업의 발전을 도모한다는 단순한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수출 증대를 통한 국가 경제의 지속적 성장과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검토되고 시행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의 수출행태함수 추정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율이 우리나라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환율의 안정적 유지를 위한 거시경제 정책이 매우 중요하지만, 우리나라 수출의 지속적 확대를 위해서는 국가간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환율 정책보다는 문화산업을 글로벌 차원으로 발전시키는 정책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류가 글로벌 무대로 확산됨으로써 국가 수출 증대에 더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 문화산업의 업그레이드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rough the global diffusion of Korean Wave(Hallyu), the culture industry is contributing to Korea’s export and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analyzes empirically the effect of culture industry on the Korea’s ...

      Through the global diffusion of Korean Wave(Hallyu), the culture industry is contributing to Korea’s export and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analyzes empirically the effect of culture industry on the Korea’s export. According to the export behavior function discussed in this paper, in addition to the culture industry, exchange rates obviously have significant impact on Korea’s export. Therefore macro-economic policy efforts to stabilize exchange rate is important to support Korean firms’ export activities. However, exchange stability policy measures such as government intervention to the foreign exchange market often cause unnecessary conflict among trading nations, whichmay bring adverse effect to the national economy as a whole. This situation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development of the culture industry is more efficient way to enhance Korea’s export capability than exchange rate related macro-economic policies. We may conclude that,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economy, it is very important for Korea to continue the diffusion of KoreanWave(Hallyu) throughout the world and to build globally competitive culture industry through appropriate policymeasur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II. 우리나라 수출 및 문화산업의 추이와 최근 동향
      • III. 수출과 문화산업 부가가치 성장과 분석 모형의 설정
      • IV. 문화산업과 우리나라 수출행태함수 추청 결과
      • V. 맺는 말
      •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II. 우리나라 수출 및 문화산업의 추이와 최근 동향
      • III. 수출과 문화산업 부가가치 성장과 분석 모형의 설정
      • IV. 문화산업과 우리나라 수출행태함수 추청 결과
      • V. 맺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경제연구원,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과 시사점" 2014

      2 한국수출입은행, "한류수출 파급효과 분석 및 금융지원 방안" 2012

      3 산업연구원, "콘텐츠산업의 글로벌 경쟁 환경과 한국의 대응전략" 2010

      4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콘텐츠 산업의 경제적 효과 및 전망 분석 연구" 2014

      5 장광수, "원화 강세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행 2007

      6 한국콘텐츠진흥원, "영국 창조산업 정책의 전개와 특성" 2013

      7 국제무역연구원, "세계 수출시장 1위 품목으로 본 우리 수출경쟁력" 2015

      8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콘텐츠 수출 지원 정책 체계 개선 방안 연구" 2014

      9 국제무역연구원, "문화콘텐츠 산업의 수출산업화를 위한 정책과제" 2015

      10 한국벤처투자, "모태펀드 운용현황" 2015

      1 현대경제연구원,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과 시사점" 2014

      2 한국수출입은행, "한류수출 파급효과 분석 및 금융지원 방안" 2012

      3 산업연구원, "콘텐츠산업의 글로벌 경쟁 환경과 한국의 대응전략" 2010

      4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콘텐츠 산업의 경제적 효과 및 전망 분석 연구" 2014

      5 장광수, "원화 강세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행 2007

      6 한국콘텐츠진흥원, "영국 창조산업 정책의 전개와 특성" 2013

      7 국제무역연구원, "세계 수출시장 1위 품목으로 본 우리 수출경쟁력" 2015

      8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콘텐츠 수출 지원 정책 체계 개선 방안 연구" 2014

      9 국제무역연구원, "문화콘텐츠 산업의 수출산업화를 위한 정책과제" 2015

      10 한국벤처투자, "모태펀드 운용현황" 2015

      11 이종원, "계량경제학" 박영사 1997

      12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13 Phillips, P. C. B., "Testing for a Unit Root in Time Series Regression" 75 (75): 335-346, 1988

      14 Durbin, J., "Testing for Serial Correlation in Least Squares Regression When Some of the Regressors are Lagged Dependent Variables" 410-421, 1970

      15 Fuller, W. F., "Introduction to Statistical Time Series" Wiley 1976

      16 British Film Institute, "Economic Contribution of the UK’s Flim, High-End TV, Video game, and Animation Programming Sectors" 2015

      17 Hendry, D. F., "Econometric Methodology : A Personal Perspec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18 Dickey, D. A., "Distribution of Estimators for AR Time Series With a Unit Root" 74 : 427-431, 1979

      19 Stephen E. S., "Copyright Industries in the U.S. Economy" Inter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Alliance 2014

      20 산업연구원, "2020년 무역발전 비전과 전략" 2012

      21 국제무역연구원, "2014년 주요 무역동향지표"

      22 한국콘텐츠진흥원, "2014년 4분기 및 연간 콘텐츠산업 동향분석보고서" 2015

      23 한국콘텐츠진흥원, "2014 해외콘텐츠시장 동향조사" 2014

      24 한국콘텐츠진흥원, "2014 콘텐츠산업통계"

      25 국제무역연구원, "2013년 수출의 국민경제 기여- 수출의 산업연관효과 분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무역학회 -> 한국문화산업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Culture And International Trade -> Korea Society of Culture Industr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3 1.366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