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반도 통일에서 종교의 역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588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북한은 이념상 종교를 허용할 수 없는 나라이다. 그러나 통일되기 전 월맹이 남베트남의 공산화를 위해서 종교에 대해 포용정책을 취하며 적절히 이용하였던 것처럼 북한정권도 1980년대 이...

      북한은 이념상 종교를 허용할 수 없는 나라이다. 그러나 통일되기 전 월맹이 남베트남의 공산화를 위해서 종교에 대해 포용정책을 취하며 적절히 이용하였던 것처럼 북한정권도 1980년대 이후 종교에 대해 관대해 졌다. 또한 독일 통일과정에서 독일교회의 역할이 컸다고 한다. 그러나 동독의 교회는 동독체제에 대한 개혁이나 저항운동을 한 것이지, 통일과정에는 직접적으로 기능을 하지 않았다는 분석도 있다. 즉 독일통일은 베를린 장벽의 붕괴, 동독자유총선거의 결과 그리고 독일통일에 책임과 권한을 갖고 있던 4대 연합국들과의 합의를 이끌어 낸 “2+4 회담” 등 여러 과정의 결과라는 것이다. 그러나 동독의 교회가 동독의 변화에 기여를 한 것은 사실이고, 그 변화는 어느 정도 통일과도 연관이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동서독과 남북한의 종교교류에서 세 가지 큰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하나는, 동서독 교회들은 ‘교회의 날’ 행사를 함께 하면서도, 그것을 반전․반핵․평화운동이라고 했지, ‘통일운동’이라고 표현하지 않았다. 그러나 한반도의 남북한 종교 지도자들은 종교교류를 하면서 ‘통일운동’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동독의 개혁. 저항운동의 주도세력은 기독교인들이었다. 그러나 북한에는 동독에서처럼 개혁․저항운동을 수행할 만한 종교조직과 종교인이 아직 없다는 것이다. 또한 북한은 대남 종교교류의 창구가 사실상 하나인 단일 창구인데 반하여, 남한의 대북창구는 불교, 기독교, 천주교 등 각 종교, 종파, 조직 그리고 기구 별로 다양하다. 그러므로 남한 내 각 종교, 종파들간의 경쟁과 분파주의도 극복되어야 한다.남북한간의 종교교류가 더 활성화되면 북한 주민들의 종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차츰 바뀌게 되어 남북화해와 협력에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통일에 기여도 할 것이다. 그리고 분명한 것은 통일된 한반도는 종교의 자유가 있는 곳이어야 한다. 종교의 자유가 있는 곳은 다원주의 사회이다. 한반도 통일과정에서도 종교의 역할이 있다면, 그것은 다원주의적인 사회로 통일이 될 때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남북한간의 종교교류는 더욱 활성화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e Untersuchungsergebnisse meiner Studie über die Grundzüge der Rolle der Religion bei dem Vereinigungsprozess bestehen aus folgenden wesentlichen Punkten: Nordkorea ist ein Staat, der aus ideologischen Gründen die Religion in seinem Land nicht er...

      Die Untersuchungsergebnisse meiner Studie über die Grundzüge der Rolle der Religion bei dem Vereinigungsprozess bestehen aus folgenden wesentlichen Punkten: Nordkorea ist ein Staat, der aus ideologischen Gründen die Religion in seinem Land nicht erlauben kann. Trotzdem strebt die nordkoreanische Regierung seit 1980 an, die Religion strategisch zu verwenden, so wie das kommunistische Nordvietnam die Religion beim Vereinigungsprozess als Versöhnungspolitik benutzt hat.Man glaubt, dass die evangelische Kirche bei der Wiedervereinigung Deutschlands eine große Rolle gespielt hat. Aber die Kirche in der ehemaligen DDR trug nicht direkt zu der deutschen Wiedervereinigung bei, sondern eher durch ihre Beihilfe zu der Reformations- und Protestbewegung gegen das System der DDR. Das heißt, die deutsche Wiedervereinigung ergibt sich durch den Fall der Berliner Mauer, die freie Wahl im März 1990 in der DDR und den “2+4 Vertrag”, der von den Außenministern der beiden deutschen Staaten und den vier Siegermächten unterschrieben wurde. Besonders darf die Dynamik des deutschen Vereinigungsprozesses nicht darüber hinweg täuschen, dass die Frage der nationalen Einheit nicht ohne Zustimmung des Auslandes und hier vor allem der Siegermächte des 2. Weltkrieges, die nach wie vor die Verantwortung für Deutschland als Ganzes trugen, möglich gewesen wäre. Aber der Beitrag der evangelischen Kirche in der DDR zu der dortigen Reformbewegung bereitete trotzdem die deutsche Wiedervereinigung mit vor. Aber wenn man die Rolle der Religion, besonders der evangelischen Kirche in der ehemaligen DDR, auf die koreanische Situation bezieht, findet man folgende Unterschiede: Erstens bezeichnen die Vertretern der koreanischen Religion die Annährungs- und Aussöhnungsprozesse von süd- und nordkoreanischen Religiösen als “Bewegung für die Wiedervereinigung Koreas,” während der deutsche evangelische Kirchenbund, EKD und BEK gemeinsam die Kirchentage veranstalteten, sie aber nicht “Bewegung zur Wiedervereinigung” Deutschlands, sondern “Friedensbewegung” nannten. Zweitens ist heute Nordkorea im Gegensatz zur ehemaligen DDR noch unfähig und unreif, so dass die gesellschaftliche Reformation oder die Protestbewegung innerhalb des Staates von selbständigen religiösen Gruppen oder Einzelkämpfern nicht durchgeführt werden kann. Außerdem kontrolliert die nordkoreanische Regierung die nordkoreanischen Delegierten, während die verschiedenen religiösen Institutionen in Südkorea nach Religionen, Sekten und Organisationen unterschiedlich gegliedert sind. Dadurch verursacht die diffuse Verschiedenheit der Institutionen in Südkorea eine ineffiziente Konkurrenz und Aufsplitterung untereinander und gegeneinander im Annährungsversuch mit Nordkorea. Die zukünftige Aktivierung der Zusammenarbeit im religiösen Bereich von Süd- und Nordkorea kann das negative Verständnis der Religion der Nordkoreaner sukzessiv verändern. Und darüber hinaus kann sie doch zur Kommunikation und zur Versöhnung Koreas führen. In diesem Sinne spielt die Religion eine wichtige Rolle für die koreanische Wiedervereinigung.Was nicht vergessen werden darf ist, dass das vereinigte Korea eine “Freiheit der Religion” haben muss. Die Annährung an das Konzept der pluralistischen Demokratie ist der Anfang auf dem Weg zur Wiedervereinigung in Korea. Deswegen müssen die Annährungs- und Aussöhnungsprozesse im religiösen Bereich auch in Korea aktiviert werd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타 분단국 통일과정에서 종교의 역할
      • 1. 베트남의 사례
      • 2. 예멘의 사례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타 분단국 통일과정에서 종교의 역할
      • 1. 베트남의 사례
      • 2. 예멘의 사례
      • 3. 독일의 사례
      • Ⅲ. 남ㆍ북한 종교계의 교류현황과 통일운동
      • 1. 불교계의 교류현황과 통일운동
      • 2. 기독교계의 교류현황과 통일운동
      • 3. 천주교의 교류현황과 통일운동
      • 4. 천도교의 교류현황과 통일운동
      • Ⅳ. 결 론
      • 참고문헌
      • Zusammenfassu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재규, "한반도 통일을 위한 종교의 역할"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966

      2 한국방송프로듀서연합회평화문제연구소, "통일북한 핸드북" 평화문제연구소 1997

      3 조민, "통일과정에서의 민간단체의 역할" 민족통일연구원 1996

      4 박명철, "통일과정에서 남북한 교회의 활동과 윤리적 과제" 7 (7): 2003

      5 Eckert, Rainer, "저항운동, 반대세력, 독재정치: 독일의 두 번째 독재정권(1945-1989/90) 하의 교회" 7 (7): 2003

      6 김국신, "예멘 통합사례 연구" 민족통일연구원 1993

      7 김일성, "세기와 더불어" 평양 1992

      8 민족자주통일 불교운동협의회, "불교계 통일운동의 전개과정과 향후 전망" 통 (통): 1991

      9 류성민, "북한종교연구 Ⅱ" 현대사회연구소 1992

      10 고태우, "북한의 종교정책" 민족문화사 1989

      1 박재규, "한반도 통일을 위한 종교의 역할"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966

      2 한국방송프로듀서연합회평화문제연구소, "통일북한 핸드북" 평화문제연구소 1997

      3 조민, "통일과정에서의 민간단체의 역할" 민족통일연구원 1996

      4 박명철, "통일과정에서 남북한 교회의 활동과 윤리적 과제" 7 (7): 2003

      5 Eckert, Rainer, "저항운동, 반대세력, 독재정치: 독일의 두 번째 독재정권(1945-1989/90) 하의 교회" 7 (7): 2003

      6 김국신, "예멘 통합사례 연구" 민족통일연구원 1993

      7 김일성, "세기와 더불어" 평양 1992

      8 민족자주통일 불교운동협의회, "불교계 통일운동의 전개과정과 향후 전망" 통 (통): 1991

      9 류성민, "북한종교연구 Ⅱ" 현대사회연구소 1992

      10 고태우, "북한의 종교정책" 민족문화사 1989

      11 "북한실상 자료집" 내외통신사 1995

      12 류성민, "북한 주민의 종교에 대한 인식과 종교현황" (16) : 1998

      13 김병로, "북한 종교정책의 변화와 종교실태" 통일연구원 2002

      14 정천구, "북한 불교의 오늘과 통일시대 불교의 역할" 통 (통): 1995

      15 북한문제연구소, "북한 365일" 북한문제연구소 2004

      16 眞保潤一郞, "베트남 현대사" 서울 1986

      17 김도태, "베트남 통합사례 연구" 민족통일연구원 1993

      18 Cahn, "베트남 공산화의 이상과 현실" 조명문화사 1989

      19 Bickhardt, Stephan, "베를린 장벽 붕괴 직전의 반정부세력들과 교회의 통합에 관한 관점" 7 (7): 2003

      20 김학성, "동서독 인적교류 실태 연구" 민족통일연구원 1996

      21 이말테, "독일통일에서 종교의 역할" 아태평화재단 소식 (17) : 1996

      22 박명철, "독일통일에 비추어 본 우리의 통일 현실 :독일통일에 있어서 교회의 역할" 1997

      23 김병로, "남북한 통합을 위한 종교교류, 협력의 제도화 방안" 통일연구원 2002

      24 Band 2, "Verlag Wissenschaft und Politik" 1985

      25 Bidwel,Robin, "The Two Yemens" Westview Press 1983

      26 Norman, "Islam and the State in South Yemen"

      27 Hanke,Christian, "Die Deutschlandpolitik der Evangelischen Kirche in Deutschland von 1945 bis 1990" Duncker & Humboldt 1999

      28 Poter,Gareth, ".Vietnam:The Politics of Bureaucratic Socialism" Cornell University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7 0.855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