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호응 부사 습득 양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518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호응 부사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의 전반적인 습득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연구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가부판단법과 7점 리커트 척도법에 근거한 수용성 판단 실험을 두 개 채택하였으며 전자(실험 1)에서는 중 · 고급 수준의 중국인 학습자 83명(중급 53명, 고급 30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후자(실험 2)에서는 중 · 고급 수준의 중국인 학습자 131명을 실험 집단(중급 53명, 고급 78명)으로, 50명의 모어 화자를 통제 집단으로 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1은 개별 호응 부사의 습득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총 39개의 호응 부사를 선택하여 가부판단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중 · 고급 학습자 모두 ‘극어 관련 호응 부사 > 문형 관련호응 부사 > 양태관련 호응 부사’ 순으로 습득률이 높았으며, 개별 부사로는 ‘아무리, 어찌, 부디, 드디어, 전혀, 별로’는 비교적 습득하기 쉬운 부사이고 ‘비록, 아마, 아무래도, 하물며, 어쩌면, 아무쪼록, 어서, 겨우, 결코, 오로지, 그다지’는 습득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부사별로 습득 양상을 살펴보았으나 실험 설계상 집단 간의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검증하기 어려워 실험 2를 별도로 수행하였다.
      실험 2는 집단 간 차이, 즉 모어 화자 집단과 학습자 집단, 그리고 학습자 집단(중급과 고급) 내 차이를 신뢰도 있게 살펴보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 실험에서는 역균형화, 준랜덤화, 블록 설계 등을 이용하였다. 피험자를 변량 요인으로 한 혼합효과모형 분석 결과 집단과 문법성, 그리고 이의 상호작용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호응 부사의 유형은 유의하지 않았다. 단변량 분산분석 결과로는 집단 간 차이는 통제 집단과 실험집단, 즉 모어 화자와 학습자 사이에 나타났으며 정문과 비문에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실험 집단 간, 즉 중급 학습자 집단과 고급 학습자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호응 부사에 관련하여서는 그 문법적 특성을 중급 수준에서도 유의하게 구분할 수 있으나 숙달도가 향상되어도 호응 부사 습득은 유의한 수준으로 향상되지 않으며 모어 화자 집단의 수준에도 이르지 못한다고 결론지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호응 부사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의 전반적인 습득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연구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가부판단법과 7점 리커트 척도법에 근거한 수용성 판단 실험을 두 개 채택하...

      본 연구는 호응 부사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의 전반적인 습득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연구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가부판단법과 7점 리커트 척도법에 근거한 수용성 판단 실험을 두 개 채택하였으며 전자(실험 1)에서는 중 · 고급 수준의 중국인 학습자 83명(중급 53명, 고급 30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후자(실험 2)에서는 중 · 고급 수준의 중국인 학습자 131명을 실험 집단(중급 53명, 고급 78명)으로, 50명의 모어 화자를 통제 집단으로 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1은 개별 호응 부사의 습득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총 39개의 호응 부사를 선택하여 가부판단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중 · 고급 학습자 모두 ‘극어 관련 호응 부사 > 문형 관련호응 부사 > 양태관련 호응 부사’ 순으로 습득률이 높았으며, 개별 부사로는 ‘아무리, 어찌, 부디, 드디어, 전혀, 별로’는 비교적 습득하기 쉬운 부사이고 ‘비록, 아마, 아무래도, 하물며, 어쩌면, 아무쪼록, 어서, 겨우, 결코, 오로지, 그다지’는 습득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부사별로 습득 양상을 살펴보았으나 실험 설계상 집단 간의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검증하기 어려워 실험 2를 별도로 수행하였다.
      실험 2는 집단 간 차이, 즉 모어 화자 집단과 학습자 집단, 그리고 학습자 집단(중급과 고급) 내 차이를 신뢰도 있게 살펴보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 실험에서는 역균형화, 준랜덤화, 블록 설계 등을 이용하였다. 피험자를 변량 요인으로 한 혼합효과모형 분석 결과 집단과 문법성, 그리고 이의 상호작용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호응 부사의 유형은 유의하지 않았다. 단변량 분산분석 결과로는 집단 간 차이는 통제 집단과 실험집단, 즉 모어 화자와 학습자 사이에 나타났으며 정문과 비문에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실험 집단 간, 즉 중급 학습자 집단과 고급 학습자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호응 부사에 관련하여서는 그 문법적 특성을 중급 수준에서도 유의하게 구분할 수 있으나 숙달도가 향상되어도 호응 부사 습득은 유의한 수준으로 향상되지 않으며 모어 화자 집단의 수준에도 이르지 못한다고 결론지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the acquisition of Korean concord adverbs by adult Chinese speakers. Whereas a regular adverb has only the function of modifying other phrases, a concord adverb shows some concord with some specific elements in a given sentence. Based on their syntactico-semantic properties, concord adverb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modality-related, final-ending-related and polarity-related concord adverbs.
      We developed two acceptability judgment tasks for our purpose. One of them was a Yes/No task which composed of 78 sentences, and the other was a 7-point Likert scale task which composed of 48 sentences. 83 and 138 subjects participated at the first and second experiment respectively.
      The first experiment shows that the difficult adverbs for L2 learners include amwuli, ecci, pwuti, tutie, cenhye, and pyello. On the contrary, It shows that the easier adverbs are pilok, ama, amwulayto, hamwulmye, eccemyen, amwuccolok, ese, kyewu, kyelkho, oloci , and kutaci .
      The second experiment was devised for the comparison between groups. Its mixed effect model analysis reveals that the difference comes from the comparison between native speaker and learner groups. However the difference within learner groups are not significant. It means that the acquisition of concord adverbs does not improve, even though the proficiency increases.
      번역하기

      This paper deals with the acquisition of Korean concord adverbs by adult Chinese speakers. Whereas a regular adverb has only the function of modifying other phrases, a concord adverb shows some concord with some specific elements in a given sentence. ...

      This paper deals with the acquisition of Korean concord adverbs by adult Chinese speakers. Whereas a regular adverb has only the function of modifying other phrases, a concord adverb shows some concord with some specific elements in a given sentence. Based on their syntactico-semantic properties, concord adverb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modality-related, final-ending-related and polarity-related concord adverbs.
      We developed two acceptability judgment tasks for our purpose. One of them was a Yes/No task which composed of 78 sentences, and the other was a 7-point Likert scale task which composed of 48 sentences. 83 and 138 subjects participated at the first and second experiment respectively.
      The first experiment shows that the difficult adverbs for L2 learners include amwuli, ecci, pwuti, tutie, cenhye, and pyello. On the contrary, It shows that the easier adverbs are pilok, ama, amwulayto, hamwulmye, eccemyen, amwuccolok, ese, kyewu, kyelkho, oloci , and kutaci .
      The second experiment was devised for the comparison between groups. Its mixed effect model analysis reveals that the difference comes from the comparison between native speaker and learner groups. However the difference within learner groups are not significant. It means that the acquisition of concord adverbs does not improve, even though the proficiency increa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머리말
      • 2. 호응 부사의 범위와 선행 연구
      • 3. 실험 1: 개별 호응 부사의 습득 양상
      • 4. 실험 2 : 호응 부사 습득에서의 집단 간 차이
      • 국문요약
      • 1. 머리말
      • 2. 호응 부사의 범위와 선행 연구
      • 3. 실험 1: 개별 호응 부사의 습득 양상
      • 4. 실험 2 : 호응 부사 습득에서의 집단 간 차이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채희락, "호응 부사어 구문 분석: 하향 무한 이접성과 인덱스 구구조문법"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38) : 183-225, 2004

      2 박선희,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부사 오류 분석" 2014 (2014): 34-39, 2014

      3 조효설,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양태부사에 대한 연구 : 호응관계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4 조승은,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양태부사의 교육 방안 연구 : '아마, 어쩌면, 혹시, 아무래도, 설마'를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5 이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양태부사 교육 방안 연구-'아무리'와 '비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15

      6 김지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양태부사 ‘아마’와 ‘혹시’의 어휘 정보 연구" 한국어학회 47 : 163-190, 2010

      7 왕주위, "한국어 양태부사와 중국어 어기부사의 대조 연구 : '결코, 과연, 만약, 물론, 아마'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8 박정은, "한국어 양태 표현 부사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0

      9 채희락, "한국어 부사어의 분류와 분포 제약" 언어연구소 (29) : 283-323, 2002

      10 임유종, "한국어 부사 연구" 한국문화사 1999

      1 채희락, "호응 부사어 구문 분석: 하향 무한 이접성과 인덱스 구구조문법"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38) : 183-225, 2004

      2 박선희,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부사 오류 분석" 2014 (2014): 34-39, 2014

      3 조효설,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양태부사에 대한 연구 : 호응관계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4 조승은,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양태부사의 교육 방안 연구 : '아마, 어쩌면, 혹시, 아무래도, 설마'를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5 이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양태부사 교육 방안 연구-'아무리'와 '비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15

      6 김지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양태부사 ‘아마’와 ‘혹시’의 어휘 정보 연구" 한국어학회 47 : 163-190, 2010

      7 왕주위, "한국어 양태부사와 중국어 어기부사의 대조 연구 : '결코, 과연, 만약, 물론, 아마'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8 박정은, "한국어 양태 표현 부사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0

      9 채희락, "한국어 부사어의 분류와 분포 제약" 언어연구소 (29) : 283-323, 2002

      10 임유종, "한국어 부사 연구" 한국문화사 1999

      11 이영,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중 양태 표현의 대조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12 이설, "한·중 부정 양태부사 대조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13 최형연,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호응 부사 습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5

      14 문혜정,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양태부사 '아마'와 '혹시' 연구" 부경대학교 2015

      15 李小雅,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양태부사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6 최영란,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 표현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17 임유종, "정도 부사의 결합 관계와 한국어 교육" 한국언어문화학회 (42) : 371-393, 2010

      18 임유종, "연결어미 호응 부사의 사용 양상과 한국어 교육―연령별 구어 자료를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33) : 79-101, 2005

      19 채희락, "어휘 항목에 기인하는 무한이접성" 언어연구소 (35) : 353-373, 2005

      20 임유종, "부정소 호응 부사에 의한 연어와 사전 기술" 한국언어문화학회 (27) : 235-256, 2005

      21 임유종, "부정 표현과 호응하는 부사의사용 양상과 언어 발달" 한국어의미학회 15 : 227-248, 2004

      22 임유종, "부정 표현과 호응하는 부사의 사용 양상과 한국어 교육" 한민족문화학회 (20) : 187-214, 2007

      23 金京勳, "국어의 부사 수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78

      24 박지숙, "국어 의문형 서법 부사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5 임유종, "국어 부사의 하위 분류" 34 : 175-204, 1998

      26 임유종, "국어 부사의 범주 정립과 호응 및 어순에 관한 연구"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8

      27 손남익, "국어 부사 연구" 도서출판 박이정 1995

      28 婁文娟, "韓·中 推測 樣態副詞 對照 硏究 : '아마', '어쩌면', '혹시'를 中心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29 金京勳, "現代國語 副詞語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30 Baayen, R. H., "Mixed-effects modeling with crossed random effects for subjects and items" 59 : 390-412, 2008

      31 Chae, H. -R., "Downward unbounded discontinuities in Korean: An IPSG analysis of concord adverbial constructions" Stanford University 19-41, 2003

      32 Sprouse, J., "A comparison of informal and formal acceptability judgments using a random sample from Linguistic Inquiry 2001-2010" 134 : 219-248,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Urimalgeul -> Urimalgeul: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1.03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