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도 입춘굿에 나타난 전통축제의 원리 = The Principle of performance of the traditional festival in the Jejudo Iypchoongu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368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20세기 초까지 전승되었던 전통사회의 제주도 입춘굿의 연행에 나타나는 원리를 주술적 원리, 구성과 진행의 원리, 정서적 원리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본 것이다. 이 세 가지 원...

      이 글은 20세기 초까지 전승되었던 전통사회의 제주도 입춘굿의 연행에 나타나는 원리를 주술적 원리, 구성과 진행의 원리, 정서적 원리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본 것이다. 이 세 가지 원리는 미리 연역적인 틀을 세우고 진행한 것이 아니라 문헌을 비롯한 각종 자료의 기록에 근거해 연행의 각 부분을 고찰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것이다.
      이같은 원리를 1965년부터 시도되기 시작한 제주도 입춘굿의 복원사례와 대입했을 때, 먼저 전통사회의 입춘굿에는 유사의 법칙에 근거한 모방과 접촉의 법칙에 근거한 변환을 중심으로 하는 강력한 주술적 원리가 작동하고 있음이 확인됐다. 이에 비해 오늘날의 입춘굿은 주술적 제의에서 예술이 분화해간 것처럼 미리 만들어진 공연텍스트, 즉 대본을 토대로 있는 그대로 재현하며 공연양식의 완성도에 집중하는 예술적 연행에 치우쳐 있음이 확인됐다.
      둘째, 전통사회의 입춘굿은 맞이에 해당되는 거리굿이 제주읍성 일대를 장시간에 걸쳐 순례하는 것으로 시작해서 ‘跳躍亂舞’의 과정으로 마무리되는 연속적인 연행이었다. 이러한 양식의 진행은 ‘내고 달고 맺고 푸는’ 원리에 입각한 것이다. 한편 복원시기 입춘굿놀이 중 탐라국 입춘굿놀이를 제외한 세 가지 사례들은 민속예술경연대회 출품용으로 복원된 연행인 관계로 제한된 시공간 속에서 압축적으로 연행됨으로써 이러한 원리가 적용되지 않았다.
      셋째, 전통사회의 입춘굿에는 흥을 매개로 한에서 신명으로 이어지는 신명풀이의 정서적 원리가 나타난다. 특히 기간의 학문적 연구와 현장의 복원과정에서 축제의 뒤풀이 정도로 여겨졌던 ‘跳躍亂舞’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임이 확인됐다. 복원사례의 경우에 이같은 원리가 적용되는 경우는 탐라국 입춘굿놀이라고 할 수 있는데, 맞이에서 놀이에 이르는 연행의 흐름은 제대로 구현하고 있으나, 축제의 절정부라고 할 수 있는 ‘跳躍亂舞’가 마련되지 않고 있음이 확인됐다.
      위와 같이 이 글에서는 전승시기 입춘굿을 중심으로 제주도 입춘굿의 연행양상과 연행원리를 분석했다. 본 연구가 지니는 한계는 학문적인 입장에서는 학제적 연구를 통해 한계를 극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장으로의 환원과 관련해 제주도 무속이 살아있는 전승현장을 비롯해 탐라국 입춘굿놀이에 깊이 관여하는 예술인과 협력하며 현장의 연행텍스트로 바꿔 거듭되는 복원행위를 통해 한계와 가능성을 검증 받아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머리말-새롭게 정리해야할 축제의 의미
      • 2. 제주도 입춘굿에 나타난 연행의 원리
      • 3. 맺음말-변환의 가능성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1. 머리말-새롭게 정리해야할 축제의 의미
      • 2. 제주도 입춘굿에 나타난 연행의 원리
      • 3. 맺음말-변환의 가능성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斗奉, 『濟州島實記』, 1936"

      2 J. G. Frazer, "황금가지" 삼성출판사 1990

      3 조동일, "한국인의 신명ㆍ신바람ㆍ신명풀이"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30 : 1997

      4 김익두, "한국 희곡/연극 이론 수립을 위한 제언" 한국문학언어학회 39 : 2003

      5 이종진, "풍물굿 가락의 구조와 역동성" 안동대학교 대학원 1997

      6 문무병, "탐라국 입춘굿놀이" 제주전통문화연구소 2000

      7 조동일, "탈춤의 원리 신명풀이" 지식산업사 2006

      8 김지하, "탈춤의 민족미학" 실천문학사 2004

      9 류정아, "축제의 연행론적 분석" 한국프랑스학회 47 : 2004

      10 이상일, "축제의 드라마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 한국연극학회 10 : 1998

      1 "金斗奉, 『濟州島實記』, 1936"

      2 J. G. Frazer, "황금가지" 삼성출판사 1990

      3 조동일, "한국인의 신명ㆍ신바람ㆍ신명풀이"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30 : 1997

      4 김익두, "한국 희곡/연극 이론 수립을 위한 제언" 한국문학언어학회 39 : 2003

      5 이종진, "풍물굿 가락의 구조와 역동성" 안동대학교 대학원 1997

      6 문무병, "탐라국 입춘굿놀이" 제주전통문화연구소 2000

      7 조동일, "탈춤의 원리 신명풀이" 지식산업사 2006

      8 김지하, "탈춤의 민족미학" 실천문학사 2004

      9 류정아, "축제의 연행론적 분석" 한국프랑스학회 47 : 2004

      10 이상일, "축제의 드라마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 한국연극학회 10 : 1998

      11 한양명, "축제 민속지 작성을 위한 구상" 안동대 민속학연구소 2003

      12 현용준, "제주도 무속자료 사전" 신구문화사 1980

      13 현용준, "제주도 무속연구" 집문당 1986

      14 강정식, "제주도 당굿과 경제" 비교민속학회 27 : 2004

      15 문무병, "제주도 굿의 연희적 특징-굿의 전투성에 관한 일고" 제주도연구회 6 : 1989

      16 Victor Turner, "제의에서 연극으로" 현대미학사 1996

      17 한양명, "전통축제의 성격과 민속예술의 위상 in : 민속예술의 정서와 미학" 월인 1999

      18 심규호, "입춘굿 탈놀이의 전승과 과제" 17 : 2000

      19 박명진, "연극 용어의 기원과 변화: 원근법과 주체구성" 한국미학 예술학회 20 : 2004

      20 허원기, "신명풀이로 본 판소리의 연행방식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0

      21 문무병, "신명남, 그 아름다운 하나됨을 위하여?, 탐라국입춘굿놀이 종합팜플렛, 1999"

      22 이상일, "변신이야기" 밀알 1994

      23 Richard Shechner, "민족연극학" 한국문화사 2004

      24 김헌선, "민속예술의 정서와 미학(민속예술의 정서와 미학)" 월인 1999

      25 문무병, "민속예술의 방향과 과제-제주도 입춘굿놀이" 한국역사민속학회 3 : 1993

      26 한양명, "민속예술을 통해본 신명풀이의 존재양상과 성격" 비교민속학회 22 : 2002

      27 현용준, "문헌신화와 무속신화" 집문당 1992

      28 박흥주, "도시마을굿의 축제성 전승 방안"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6 : 2002

      29 임재해, "굿의 주술성과 변혁성" 비교민속학회 9 : 1992

      30 "국립문화재연구소, 『제주도?세시풍속』, 2001"

      31 J. Harison, "고대예술과 제의" 예전사 1996

      32 현용준, "花盤考, 濟州道 巫俗과 그 周邊" 집문당 2002

      33 李源祚, "耽羅錄"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1989

      34 鳥居龍藏, "日本周圍民族の原始宗??神話宗?人類?的?究" 岡しょいん 1924

      35 金錫翼, "心齋潗, 杏文會" 제주문화사 1990

      36 한양명, "原典과 變換 -도시축제로서 제주입춘굿놀이의 문제와 가능성-" 한국민속학회 37 : 313-336, 2003

      37 "全羅南道 濟州島廳, 『未開の寶庫 濟州島』, 1924"

      38 송석범, "?民俗藝術競演大會에 다녀와서……?, 『제주도』 23호, 제주도, 196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rklife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lklife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6 1.48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