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여 林川郡 城隍祠와 庾黔弼 = Seonghwangsa and Yugeumpil(庾`黔弼) in Limcheon-goon of Buye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368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에 위치한 成興山城 안에 고려 太師 庾黔弼을 모신 사우가 있다. 이 사우는 고려시대로부터 행정관청에서 주관하던 城隍祠로 추정된다. 임천군은 통일신라시대로부터 ...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에 위치한 成興山城 안에 고려 太師 庾黔弼을 모신 사우가 있다. 이 사우는 고려시대로부터 행정관청에서 주관하던 城隍祠로 추정된다. 임천군은 통일신라시대로부터 국가 祀典의 하나인 小祀의 제장으로 인식되어 종교적인 공간으로 인식되었고, 금강의 주요 물길과 직접 연결되어 군사적, 행정적 요충지로 백제시대로부터 부각되었다. 이러한 토대 속에 고려의 후 삼국 통일 후 요구되는 사회적인 욕구 즉 지역 내에 면면히 흐르고 있던 후백제의 극복이라는 정치적 측면까지 복합되면서 유금필이라는 인물이 신령으로 좌정하게 된다.
      후백제의 잔당의 횡포로 인해 피폐해진 지역사회를 회복시키는 공을 세웠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지역의 신령은 인간적인 치적보다는 종교적인 심성을 자극할 수 있는 것이 계기가 되어야 한다. 많은 지역에서 실존인물이 신령으로 좌정하는 경우에 그의 역사적 인물평이나 공적 보다는 지역민에 대한 선행이 원인이 되었다. 유금필 역시 동일한 차원에서 주신으로 봉안된 것으로 여겨진다. 백성에 대한 진휼, 즉 사회적으로 가장 절실한 문제를 극복해준 존재였기에 신령으로 탄생된 것이다.
      유금필을 모신 성황사는 변화를 겪으면서도 지금까지 존속되었다. 『東國輿地勝覽』(15세기 중반)에는 백제 때 축성된 성흥산성 안에 위치했다. 그러나 『與地圖書』(18세기 중반)에는 산성 밖으로 옮겨지고 건물로 이루어진 성황사에서 제단의 형태인 성황단으로 바뀐다. 『湖西邑誌』(19세기 후반)에 수록된 지방도에 성황사와 성황단 모두 표기되어 있다. 산성 안의 성황사에는 유금필 태사가 모셔져 있는데, 주민들 사이에서 오래도록 숭앙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렇다면 성황단이 건립된 후에도 여전히 성황사가 존속했으며, 그 신당의 主神은 여전히 유금필이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 남아 있는 성흥산성 안의 유금필 사당은 고려시대로부터 조선후기까지 줄곧 관치제가 베풀어지던 성황사이며, 그 주신은 고려의 개국공신이자 태사직을 수행한 유금필이다.
      현재의 사당 안에는 유금필과 더불어 그 가족이 신령으로 봉안되어 있다. 부인을 비롯하여 아들 1명, 딸 2명이 봉안되어 있는데, 이것은 실제의 가족관계와는 무관하다. 그러나 부모와 아들, 딸로 구성된 조화로운 가족구성원은 화평하고, 안정된 가정의 본보기가 된다. 이러한 신령의 존재는 결국 화평과 안정을 이끄는 존재로 간주되며, 그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군민들은 그러한 신령의 영향속에서 동일한 화평의 세계를 맞게 된다. 이처럼 신령으로 탄생된 유금필은 그가 지닌 인간적인 武人으로서의 모습이 아닌 주민의 어려움을 돌보고, 지역을 돌보는 자애로운 성격을 지니게 된다. 부인을 비롯하여 아들과 두 딸을 거느린 여느 가정의 가장처럼 고을의 좌장이 되어 지역신으로 숭앙되고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머리말
      • 2. 임천군 성황사의 변천
      • 3. 유금필과 성황사
      • 4. 맺음말
      • 국문요약
      • 1. 머리말
      • 2. 임천군 성황사의 변천
      • 3. 유금필과 성황사
      • 4.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肯益, 練藜室記述 別集"

      2 서영대, "한국의 성황신앙과 군자봉 성황사 , 시흥 군자봉 성황제" 시흥문화원 2005

      3 권상로, "한국사찰전서,상" 동국대출판부 1979

      4 박호원, "한국공동체신앙의 역사적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5 서영대, "한국ㆍ중국의 성황신앙사와 순청의 성황대신사적 , 성황제와 성황당" 민속원 1998

      6 김효경, "한국 마을신앙의 인물신연구" 충남대 대학원 1998

      7 윤용혁, "통일신라ㆍ고려기의 부여 , 부여군지 제2권-부여의 역사" 부여군지편찬위원회 2004

      8 이관호, "충남 홍성의 마을공동체신앙연구" 한양대 대학원 1992

      9 이해준, "조선시대의 부여 , 부여군지-부여의 역사" 부여군지편찬위원회 2004

      10 이동희, "조선시대 전라도의 감사 수령명단-전북편: 장수(長水) 현감/ 정읍(井邑) 현감 /진안(鎭安) 현감/ 태인(泰仁) 현감/ 함열(咸悅) 현감/ 흥덕(興德) 현감" 전북대 전라문화연구소 6 : 1995

      1 "李肯益, 練藜室記述 別集"

      2 서영대, "한국의 성황신앙과 군자봉 성황사 , 시흥 군자봉 성황제" 시흥문화원 2005

      3 권상로, "한국사찰전서,상" 동국대출판부 1979

      4 박호원, "한국공동체신앙의 역사적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5 서영대, "한국ㆍ중국의 성황신앙사와 순청의 성황대신사적 , 성황제와 성황당" 민속원 1998

      6 김효경, "한국 마을신앙의 인물신연구" 충남대 대학원 1998

      7 윤용혁, "통일신라ㆍ고려기의 부여 , 부여군지 제2권-부여의 역사" 부여군지편찬위원회 2004

      8 이관호, "충남 홍성의 마을공동체신앙연구" 한양대 대학원 1992

      9 이해준, "조선시대의 부여 , 부여군지-부여의 역사" 부여군지편찬위원회 2004

      10 이동희, "조선시대 전라도의 감사 수령명단-전북편: 장수(長水) 현감/ 정읍(井邑) 현감 /진안(鎭安) 현감/ 태인(泰仁) 현감/ 함열(咸悅) 현감/ 흥덕(興德) 현감" 전북대 전라문화연구소 6 : 1995

      11 이능화, "조선무속고" 동문선 1991

      12 최문휘, "여기가 부여다" 한민 1992

      13 양만정, "순창 성황대신사적 현판의 발견과 그 고찰" 옥천문화 61-, 1993

      14 부여지간행위원회, "성흥산성실기 , 부여지" 부여군 1929

      15 김도현, "삼척 邑治 城隍祠의 지속과 변동 , 박물관지" 강원대 박물관 2006

      16 이필영, "부여군의 마을신앙" 부여문화원 2003

      17 정병삼, "내포지역의 불교문화 , 당진 안국사지석불 조사" 충남발전연구원 2004

      18 김갑동, "고려시대 지명개칭 , 망이ㆍ망소이의 재조명" 서구문화원 2003

      19 김갑동, "고려시대 성황신앙과 지방통치" 한국사연구회 74 : 1991

      20 鄭 幹, "鳴皐先生文集"

      21 "許 筠, 惺所覆?稿"

      22 "與地圖書"

      23 "湖西邑誌"

      24 "東國輿地勝覽"

      25 兪 啓, "市南先生文集"

      26 "太宗實錄"

      27 "吳希文, 鎖尾錄"

      28 "光海君日記"

      29 成 俔, "傭齋叢話 , 大東野乘" 민족문화추진회 197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rklife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lklife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6 1.48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