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의 사회적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elderly people using welfare center on happiness.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997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happiness of the elderl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elderly using the elderly welfare center. For this purpose, 815 elderly people using 18 institutions of the elderly welfare centers in Jeollabuk-do were surveyed by the sampling method from April 6 to 20, 2016 and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happin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the higher the elderly self-efficacy and higher self-efficacy. Second, the path from self-efficacy to self-efficacy to euphoria, and from social support to euphoria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professional support among the social support has the greatest effect on the happiness of the elderl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fficacy is also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friendship support did not positively affect the elderly 's euphoria and self-efficac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support has an important effect on euphoria by mediating self-effica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roactive social support to elderly people using a welfare center, and to improve self-efficacy and happines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happiness of the elderl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elderly using the elderly welfare center. For this purpose, 815 elderly people using 18 institutions of the elderly...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happiness of the elderl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elderly using the elderly welfare center. For this purpose, 815 elderly people using 18 institutions of the elderly welfare centers in Jeollabuk-do were surveyed by the sampling method from April 6 to 20, 2016 and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happin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the higher the elderly self-efficacy and higher self-efficacy. Second, the path from self-efficacy to self-efficacy to euphoria, and from social support to euphoria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professional support among the social support has the greatest effect on the happiness of the elderl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fficacy is also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friendship support did not positively affect the elderly 's euphoria and self-efficac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support has an important effect on euphoria by mediating self-effica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roactive social support to elderly people using a welfare center, and to improve self-efficacy and happi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가 노인의 행복감에 미치는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라북도의 노인복지관 18개 기관을 이용하는 노인 815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6일부터 20일까지 유의표집방법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 행복감 간에는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노인들의 자기효능감도 높고 자기효능감이 높은 노인일수록 행복감이 높았다. 둘째, 사회적지지에서 자기효능감에 이르는 경로, 자기효능감에서 행복감에 이르는 경로, 사회적지지에서 행복감에 이르는 경로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지지 중에서 전문가지지가 노인의 행복감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도 크게 나타났다. 반면에 친구지지는 노인의 행복감과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결과적으로 사회적지지가 자기효능감을 매개요인으로 행복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에게 적극적인 사회적지지를 제공함으로써 자기효능감도 증진시키고 행복감도 향상시키는 방안과 친구지지를 강화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가 노인의 행복감에 미치는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라북도의 노인복...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가 노인의 행복감에 미치는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라북도의 노인복지관 18개 기관을 이용하는 노인 815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6일부터 20일까지 유의표집방법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 행복감 간에는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노인들의 자기효능감도 높고 자기효능감이 높은 노인일수록 행복감이 높았다. 둘째, 사회적지지에서 자기효능감에 이르는 경로, 자기효능감에서 행복감에 이르는 경로, 사회적지지에서 행복감에 이르는 경로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지지 중에서 전문가지지가 노인의 행복감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도 크게 나타났다. 반면에 친구지지는 노인의 행복감과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결과적으로 사회적지지가 자기효능감을 매개요인으로 행복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에게 적극적인 사회적지지를 제공함으로써 자기효능감도 증진시키고 행복감도 향상시키는 방안과 친구지지를 강화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혜원,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화연구 : 사회적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2

      2 김아영, "학업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15 (15): 157-184, 2002

      3 심상신, "퇴직 남성의 여가스포츠 참여에 따른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및 행복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59) : 583-598, 2015

      4 박영신, "초등학생의 생활만족도 형성요인에 대한 구조적 관계분석: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5 (5): 57-76, 1999

      5 노병선, "지역노인이 사회적지지와 우울" 다운샘 2005

      6 정덕임, "장기요양시설 서비스질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영신학대학교대학원 2012

      7 이묘숙,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노인의 경제상태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57) : 289-314, 2012

      8 강선경,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이 우울증 노인의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629-643, 2009

      9 통계청, "인구통계연보"

      10 박영신,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 한국인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5 (15): 95-132, 2009

      1 강혜원,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화연구 : 사회적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2

      2 김아영, "학업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15 (15): 157-184, 2002

      3 심상신, "퇴직 남성의 여가스포츠 참여에 따른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및 행복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59) : 583-598, 2015

      4 박영신, "초등학생의 생활만족도 형성요인에 대한 구조적 관계분석: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5 (5): 57-76, 1999

      5 노병선, "지역노인이 사회적지지와 우울" 다운샘 2005

      6 정덕임, "장기요양시설 서비스질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영신학대학교대학원 2012

      7 이묘숙,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노인의 경제상태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57) : 289-314, 2012

      8 강선경,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이 우울증 노인의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629-643, 2009

      9 통계청, "인구통계연보"

      10 박영신,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 한국인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5 (15): 95-132, 2009

      11 한경혜, "세대 간 사회적 지원 교환과 노인의 심리적 복지" 12 (12): 55-80, 2000

      12 조해경, "성공적 노화에 관한 연구 : 노인들의 성인학습을 통하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13 김선, "생활무용참여 노인의 자기 효능감,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 30 (30): 175-191, 2013

      14 조윤주, "생산적 활동이 여성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요구-조절-지지 모델의 적용"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15 박진효, "사회적지지가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구조방정식모형"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5

      16 전상남, "사회적 지지가 무배우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신체적․인지적 기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 34 (34): 87-101, 2014

      17 김동휘,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우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시설 이용 노인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18 박지원,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5

      19 오영은, "농촌 노인의 고독감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사회적 자본의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20 이상구, "노인종합복지관 여가프로그램 참가유형에 따른 이용만족도, 고독감 및 성공적 노후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 19 (19): 133-154, 2006

      21 심민경, "노인의 죽음에 대한 불안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 부산광역시 노인종합복지관 이용 노인을 대상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1

      22 권중돈, "노인의 자기인식과 차별경험이 노인의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49) : 81-106, 2010

      23 윤귀현,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가 고독감과 사회적 연결망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재활학회 5 (5): 9-20, 2009

      24 김미령, "노인의 스트레스와 성인자녀의 지지가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소 32 : 1-27, 2012

      25 여미옥,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참여 태도와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3

      26 서은주, "노인의 성공적 노화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27 김정애, "노인의 생활체육활동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3

      28 최현보, "노인의 노화불안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노인 자원봉사 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9 보건사회연구원, "노인생활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14

      30 조영주, "노인복지관 서비스 품질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의 조절효과" 사회과학연구소 39 (39): 193-221, 2015

      31 서채원, "노인 생활체육활동 참여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자아효능감,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2

      32 이화, "노년기 지각된 사회적지지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스트스와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33 Baumgardner, S. R., "긍정적 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9

      34 Orkibi, H., "The subjective well-being of Israeli adolescents attending specialized school classes" 106 (106): 515-526, 2014

      35 Diener, E.,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49 (49): 71-75, 1985

      36 Zimet, G. D.,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52 (52): 30-41, 1988

      37 Kozma, A., "The measurement of happiness:Development of the Memorial University of Newfoundland Scale of Happiness (MUNSH)" 35 (35): 906-912, 1980

      38 Gallagher, E. N.,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predi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44 (44): 1551-1561, 2008

      39 Frieder R. L., "Social Self- Efficacy and Short-Term Variability in Social Relationships:The Macarthur Successful Aging Studies" 12 (12): 657-666, 1997

      40 Holahan, C. K.,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aging:A longitudinal analysis" 42 (42): 65-68, 1987

      41 Zimmerman, B. J., "Self- motivation for academic attainment: The role of self-efficacy beliefs and personal goal-setting" 29 : 663-676, 1992

      42 Mahoney, M. J., "Psychological predictors of elite and non-elite performance in Olympic weight lifting" 1989

      43 Cohen, S.,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13 : 79-125, 1983

      44 Diener, E., "New findings and future directions for subjective well-being research" 69 : 851-864, 2012

      45 Schunk, D., "Goal setting and self-efficacy during self- regulated leaming" 25 : 71-86, 1991

      46 Diener, E., "Factors predicting the subjective well-being of nations" 69 (69): 851-864, 1995

      47 Latham, G. P., "Cognitive and motivational mediators of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on performance" University of Toronto 1991

      48 Yoon, E., "Acculturation, social connected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14 (14): 246-255,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KCI등재
      2015-06-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Welfare For The Aged ->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4 1.64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61 2.658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